A Study on the Optimum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o Establish the Early Counter System on the Industrial Accidents

산업체재난 조기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최적 재해경감활동 방안 연구

  • 이근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재난과학과) ;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재난과학과) ;
  • 이원호 ((특)기업재해경감협회)
  • Received : 2009.10.19
  • Accepted : 2010.04.0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indicates direction on establishment of the operational plan for disaster mitigation and its implementation for maintaining business continuity of the local company of the first step, and seeks plans for maintaining their continu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arly counter system constructed for achieving lasting safe at the any disaster. For achieving it, we investigated the standard of disaster management selected by the government called "Incident Preparedness and Operational Continuity Plan" Guideline, and investigated a guideline to be easily applied to domestic companies. And, we also studied on how to build the operational plan of disaster mitigation and apply IT techniques to A corporation. Especially, this study indicates the models of establishment of risk assessment, impact analysis, prevention and mitigation plan, response management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plan among 5 main steps on "Incident Preparedness and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Guideline. We devised the plan to activate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throughout the country. It shows the skills to be prepared to upgrade the level of disaster response in this study.

본 연구는 아직 초보수준인 국내기업의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한 재해경감 활동계획 수립 및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조기대응체계 구축을 통하여 어떠한 재난에도 안전을 기할 수 있는 기업 연속성 유지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내 재난관리 표준으로 채택된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 관리의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고, 국내기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실행지침을 제시하였으며, A기업을 대상으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 및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사고대비 및 업무연속성 관리의 가이드라인 5단계 주요 절차 중 계획수립단계의 위험 평가, 영향분석, 예방경감계획 및 대응관리계획 수립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고, 국내 재해경감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재난대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기술 부분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Yossi Sheff, "글로벌기업의 사업연속성 확보전략 리질리언트 엔터프라이즈", FKI미디어, p.4(2007).
  2. 한국비씨피협회, "재해대비 민간투자 및 참여 실태조사 분석과 제도마련 연구", 소방방재청, pp.58-70(2005).
  3. BSI, "BS 25999-1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Part 1 Code of Practice", pp.6-31, British Standards, London(2007).
  4. BSI, "BS 25999-2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Part 2 Specification", pp.3-20, British Standards, London(2007).
  5. Jardine & Hrudey, "Mixed Messages in Risk Communication", Risk Analysis, Vol.17, pp.489-498 (1997). https://doi.org/10.1111/j.1539-6924.1997.tb00889.x
  6. Ansel & Wharton, "Risk: Analysis, Assessment, and Management", pp.3-45,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1992).
  7. 이영재, "위기관리: Business Continuity", 생능출판사, pp.134-145(2006).
  8. (특)기업재해경감협회, "기업업무영향력분석 및 프로세스관리", pp.24-45(2008).
  9. E. Yourdon and L.L. Constantine, "Structured Design: Fundamentals of Discipline of Computer Program and System Design", pp.123-130,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1997).
  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관리 표준 연구개발", 소방방재청, pp.260-262(2008).
  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관리 표준 연구개발", 소방방재청, pp.268-270(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