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Chronic Disease on the Stress 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of the Elderly

만성질환이 노인들의 스트레스인지, 우울증상 경험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Choi, Ryoung (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Moon, Hyun-Ju (Dept. of Public Health, Gradua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Byung-Deog (Dept. of HCM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최령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문현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황병덕 (부산카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 Received : 2010.11.30
  • Accepted : 2010.12.2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ary analysis by using original data of perform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doctor's diagnosed disease-related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living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07 and it evaluated finally 720 cases by excluding cases with no answer or a wrong answ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ho stress cognition was influenced when subjects were female and older, low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osteoporo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 depression was influenced when subjects were older, had not health insurance or medical care, and low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ho have suicide thoughts was influenced when subjects were female an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low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 kne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fluenced on the depression about most of the diseases. Particularly, Depression and suicide had a high correl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systematic management of diseases in the depression treatment of the Elderly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수, 강성구(2000), 노인의 신체활동에 따른 신체적성 및 인지기능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Vol.39(4);227-237.
  2. 김남진(2000),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Vol.39(1);149-158.
  3. 통계청(2006), 2006년 고령자 통계.
  4. 이동호(2010),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지, Vol.30(1);93-108.
  5. 통계청(2004), 2003 사회통계조사.
  6. 김숙희(2006), 여성노인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일부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장인협, 최성재(1994), 노인복지학, 서울출판사, p22-26.
  8. 김정은(2009), 노인의 정기적 신체활동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제4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옥석(2007), 농어촌여성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간의 관계,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미숙(1990),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환자가 인지하는 가족의 지지정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정재임, 김경아(2002), 만생질환을 가진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에 관한 조사연구, 경북전문대학, Vol.21(1);375-396.
  12. 김미혜, 이금룡, 정순둘(200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회, Vol.20(3);211-226.
  13. 김원경(2001), 노년기 신체적 건강과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효과, 한국노년학연구, Vol.10(1);55-74.
  14. 차준태, 지용석(2004),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의 심혈관계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Vol.43(5);331-340.
  15. 이민수(1998). 노년기 기분장애의 임상증상 및 예후, 노인정신의학, Vol.2(1);14-19.
  16. Burckhardt(1985), The impack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Vo1.34(1);11-16.
  17. 송경애(1999), PACE 프로그램이 퇴행성관절염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통증 및 관절기능에 미치는 효과-미국이민 한국노인을 중심으로, 류마티스건강학회지, Vol.6(2);278-294.
  18. 이미숙(2010), 도시거주 노인의 만생질환과 우울 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Vol.27(6);5-30.
  19. 김연하(2003), 노인 만성질환과 우울증의 상관성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지영(2002),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재경(1997), 노년기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따른 생활만족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신숙, 이경주(2002), 노인의 일상적인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22(1);1-20.
  23. 서현미(1996), 노인의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남향자(2004), 노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문학석사학위논문.
  25. 허준수, 유수현(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3;7-35.
  26. 김혜령(2003), 일 도시지역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Vol.33(5);544-552.
  27. 고현남(2001), 농어촌지역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Vol.10(4);645-655.
  28. 김형수(2002),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Vol.22(1);159-172.
  29. 윤명숙(2007), 도시.농촌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문제음주 및 삶의 질 관계연구, 노인복지 연구, Vol.38;281-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