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pplicability Assesment of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Using Translation Model

이류모델을 활용한 초단시간 강우예측의 적용성 평가

  • 윤성심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12.30
  • Accepted : 2010.07.3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frequency and size of typhoon and local severe rainfall are increasing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damage also increasing from typhoon and severe rainfall. The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to reduce the damage from typhoon and severe rainfall needs forecasted rainfall using radar data and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model. For this reason,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short-term rainfall forecast using translation model with weather radar data to point out that the utilization of flood forecasting in Korea. This study estimated the radar rainfall using Least-square fitting method and estimated rainfall was used as initial field of translation model. The translation model have verified accuracy of forecasted radar rainfall through the comparison of forecasted radar rainfall and observed rainfall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lmost case studies showed that accuracy is over 0.6 within 4 hours leading time and mean of correlation coefficient is over 0.5 within 1 hours leading time in Kwanak and Jindo radar site. And, as the increasing the leading time, the forecast accuracy of precipitation decreased. The results of the calculated Mean Area Precipitation (MAP) showed forecast rainfall tend to be underestimated than observed rainfall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more than 0.5. Therefore it showed that translation model could be accurately predicted the rainfall relatively.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possibility of translation model application of Korea just within 2 hours leading forecasted rainfall.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과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역시 증가하고 있다.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에는 단시간 강우예측모델과 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예측강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외국의 경우 단시간 강우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강우예측을 수행하고 이를 수문모형과 연계하여 그 적용성을 분석하거나 홍수예보의 활용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예보를 위한 단시간 예측강우의 활용 측면에서 기상레이더 정보와 결합된 이류모델을 활용한 초단시간 강우예보의 국내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소자승법(Least-square fitting) 기법으로 레이더 강우를 추정하고, 추정된 강우를 이류모델의 초기장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레이더 예측강우와 지상관측강우의 비교를 통해 레이더 예측강우의 정확도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도시홍수예보의 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중랑천 유역을 대상으로 초단시간 예측강우의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관악산 레이더와 진도 레이더 대부분의 사례에서 선행시간의 증가에 따라 예측강수의 정확도가 감소하지만 정성적 평가 측면에서 예측강우는 0.6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정량적 측면에서 예측강우와 관측강우와의 상관계수는 평균적으로 선행시간 1시간 이내에서 대부분 0.5 이상의 비교적 좋은 상관성을 보였다. 예측 유역평균강우의 평가 결과 관측강우에 비해 과소추정하는 경향이 있으나 평균적으로 상관계수 0.5 이상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강우를 예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레이더 자료와 이류모델을 통해 산정한 초단시간 예측강우의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섭, 김종필(2008). “기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단시간 강우예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0호, pp. 1023-1034. https://doi.org/10.3741/JKWRA.2008.41.10.1023
  2. 김광섭, 김종필(2009). “연속 CAPPI 자료를 이용한 단기 강우예측 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6B호, pp. 543-550.
  3. 류상범(2002). 기상통계론, 기상연구소
  4. 배덕효(2007). 도시강우유출 실황 및 초단시간예보 결합기술 개발,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 연구단, 연차보고서.
  5. 배덕효, 트란앙푸옹, 윤성심(2009). “수문학적 활용을위한 레이더 강우의 정확도 평가 방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2호, pp. 1039-1052. https://doi.org/10.3741/JKWRA.2009.42.12.1039
  6. 이지윤, 정성훈, 한상옥, 이회상(2008). “초단시간 기상예측을 위한 역학 모델의 도입및 개선 계획.” 2008년도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기상학회, pp. 56-57.
  7. 최지혜, 김영화, 오성남(2005). “5대강 유역에 대한 초단시간 강우예보모델의 검증.”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41권, 제3호, pp. 347-357.
  8. Bellon, A., and Austin, G.L. (1978). “The evaluation of two years of a real-time operation of a short-term precipitation forecasting procedure (SHARP).” J Appl Meteor, Vol. 17, pp. 1778-1787. https://doi.org/10.1175/1520-0450(1978)017<1778:TEOTYO>2.0.CO;2
  9. Cranston, M.D., and Black A.R. (2006). “Flood warning and the use of weather radar in Scotland: a study of flood events in the Ruchill Water catchment.” Meteorological Applications, Vol. 13, pp. 43-52. https://doi.org/10.1017/S1350482705001969
  10. Krajewski, W.F., and Smith, J.A. (2002). “Radar hydrology: rainfall estimation.” Adv Water Resour, Vol. 25, pp. 1387-1394. https://doi.org/10.1016/S0309-1708(02)00062-3
  11. Mecklenburg, S., Jurczyk ,A., Szturc, J., and Osrodka, K. (2005).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s (QPF) based on radar data for hydrological models.” COST Publication Series, EUR, 21525, p. 36.
  12. Morin, E., Krajewski, F.W., David C.G., Gao, X., and Soroosian, S. (2003). “Estimating radar intensities from weather radar data: The scale-dependency problem.” J Hydrol, Vol. 4, pp. 782-797.
  13. Nakakita, E., Ikebuchi, S., Nakamura, T., Kanmuri, M., Okuda, M., Yamaji, A., and Takasao, T. (1996). “Short-term rainfall prediction method using a volume scanning radar and grid point value data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J Geophys Res, Vol. 101, No. D21, pp. 26181-26197. https://doi.org/10.1029/96JD01615
  14. Ogden, F.L., and Julien, P.Y. (1994). “Runoff model sensitivity to radar rainfall resolu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158, pp. 1-18. https://doi.org/10.1016/0022-1694(94)90043-4
  15. Sugimoto, S., Nakakita E., and Ikebuchi, S. (2001). “A stochastic approach to short-term rainfall prediction using a physically based conceptual rainfall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42, pp. 137-155, 2001.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390-5
  16. Shiiba, M., Takasao, T., and Nakakita, E. (1984). “Investigation of short-term rainfall prediction method by a translation model.” Proc. 28th Japanese Conf on Hydraulics, JSCE, pp. 423-428 (in Japanese).
  17. Smith, J.A., and Krajewski, W.F. (1993). “A modeling study of rainfall rate-reflectivity relationship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9, pp. 2505-251 https://doi.org/10.1029/93WR00962
  18. Vieux, B.E. (2004).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ISBN 0-7923-7002-3, Kluwer Academic Publishers, Norwell, Massachusett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y, Vol. 48, p. 293.

Cited by

  1. Urban Inundation Forecasting Using Predicted Radar Rainfall: Case Study vol.14, pp.3,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3.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