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al Glycemic Control to Reduce Mortality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사망률 감소를 위한 적정혈당지표에 관한 연구

  • Yoon, So-Jung (Ewha Graduate school of Clinical Health Sciences, Ewha Womans University) ;
  • Song, Young-Chun (Division of Pharmaceutical Services, Asan Medical Center) ;
  • Kim, Jae-Yeon (Division of Pharmaceutical Services, Asan Medical Center) ;
  • Lee, Byung-Koo (College of Pharmacy & Division of Life and Pharmaceutical Sciences, Ewha Womans University) ;
  • Gwak, Hye-Sun (College of Pharmacy & Division of Life and Pharmaceutical Sciences, Ewha Womans University)
  • 윤소정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 송영천 (서울아산병원 약제부) ;
  • 김재연 (서울아산병원 약제부) ;
  • 이병구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생명약학부) ;
  • 곽혜선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생명약학부)
  • Received : 2010.06.27
  • Accepted : 2010.08.3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서 론: 중환자실에서 집중적 인슐린 요법에 의한 평균혈당강하는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로 인한 저혈당 및 혈당변동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당과 관련한 여러 요인들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적정 혈당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8년 2월부터 7월 사이인 6개월 동안 서울아산병원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4일 이상 재실한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수술의 종류, 중환자실에서의 재실기간, 사망여부, 스테로이드 사용 유무, 기계적 인공호흡기의 사용유무, 신대체요법의 사용유무, 혈당치, 재실기간 중 스테로이드 사용유무와 인슐린 양, 입원 후 첫 24시간 동안의 포도당 주입속도, 입원 후 2일 이내와 그 이후에 발생한 균혈증 감염, APACH II와 SOFA 점수를 조사하였다. 혈당수치는 각각의 환자에서 중환자실 입실 후 가장 처음 측정된 혈당, 재실기간 중 가장 높은 혈당과 가장 낮은 혈당수치를 조사하였고 중환자실 전체 재실기간 동안 혈당수치의 평균과 변동계수를 계산하였다. 이상의 혈당관련지표를 포함한 인자들이 일차 종속변수인 사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환자를 생존군과 사망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ROC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곡선을 사용하여 혈당지표와 APACH 및 SOFA 점수의 cut-off치를 구하여 이로부터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170명 이었고 그 중 23명이 연구 기간 중 중환자실에서 사망하였다. 생존자에 비해 사망자의 최대혈당은 유의적으로 높았고 최소혈당치는 유의적으로 낮아 높은 변동계수를 보였다. ROC곡선으로부터 산출된 혈당치들의 cut-off 수치는 최소혈당치 70 mg/dL, 변동계수 25%, 최대혈당치 250 mg/dL, 평균혈당치 150 mg/dL이었다. 다변량분석에서 최소혈당이 70 mg/dL 보다 큰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오즈비가 0.922(95% 신뢰구간 0.881-0.965)로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변동계수가 25% 보다 높은 집단의 경우 그보다 낮은 집단에 비해 오즈비가 1.121(95% 신뢰구간 1.017-1.236)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Kaplan-Meier 생존분석 결과 최소혈당치 70 mg/dL와 변동계수 25%에 따라 생존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각각 P < 0.001, P < 0.05) 결 론: 고혈당 발생의 감소뿐 아니라 최소혈당치를 70 mg/dL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변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외과계 중환자실에서의 사망률감소를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Wolfe RR, Alson JR, Burke JF. Glucose netabolism in man: response to intravenous glucose infusion. Metabolism 1979; 28: 210-20. https://doi.org/10.1016/0026-0495(79)90066-0
  2. Shangraw RE, Jahoor F, Miyoshi H et al., Differentiation between septic and postburn insulin resistance. Metabolism 1989; 38: 983-9. https://doi.org/10.1016/0026-0495(89)90010-3
  3. Mizock BA. Alteration in carbohydrate metabolism during str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Med 1995; 98: 75-84. https://doi.org/10.1016/S0002-9343(99)80083-7
  4. Van den Berghe G, Wouters P, Weekers F et al., Intensive insulin therapy in critically ill patients. N Engl J Med 2001; 345: 1359-67. https://doi.org/10.1056/NEJMoa011300
  5. Van den Berghe G, Wilmer A, Hermans G et al., Intensive insulin therapy in medical intensive care patients. N Engl J Med 2006; 354: 449-61. https://doi.org/10.1056/NEJMoa052521
  6. Leow MK, Wyckoff J. Under-recognised paradox of neuropathy from rapid glycaemic control. Postgrad Med J 2005; 81: 103-7. https://doi.org/10.1136/pgmj.2004.021162
  7. Egi M, Bellomo R, Stachowski E et al., Variability of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ortality in critically ill patients. Anesthesiology 2006; 105: 244-52. https://doi.org/10.1097/00000542-200608000-00006
  8. Wiener RS, Wiener DC, Larson RJ. Benefits and risks of tight glucose control in critically ill adults: A metaanalysis. JAMA 2008; 300: 933-44. https://doi.org/10.1001/jama.300.8.933
  9. Vriesendorp TM, van Santen S, DeVries HD et al., Predisposing factors for hypoglycem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Med 2006; 34: 96-101. https://doi.org/10.1097/01.CCM.0000194536.89694.06
  10. The Nice-Sugar Study Investigators. Intensive versus conventional glucose control in critically ill patients. N Engl J Med 2009; 360: 1283-97. https://doi.org/10.1056/NEJMoa0810625
  11. Arabi YM, Tamim HM, Rishu AH. Hypoglycemia with insulin therapy in critically ill patients: Predisposing factors and association with mortality. Crit Care Med 2009; 37: 2536-44. https://doi.org/10.1097/CCM.0b013e3181a381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