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f Acute Dyspepsia Patients Depending on Stress Factor and Food Factor

과심상(過心傷), 음식상(飮食傷)에 따른 급성 소화불량증 환자간의 비교 연구

  • Kim, Hyo-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Lee, Soo-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Lee, Ah-Ra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ang, Kyung-Hwa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Won-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김효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 이수정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 이아람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 강경화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김원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Received : 2010.05.25
  • Accepted : 2010.06.04
  • Published : 2010.06.25

Abstract

Dypepsia is the most common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mainly occurs by stress or food. According to the cause of dyspepsia,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urative process are different in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cute dyspepsia patients depending on food factor and stress factor.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use, and the symptoms of 59 acute dyspepsia patients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27 acute dyspepsia patient group caused by stress factor (stress factor group). The other group is 32 acute dyspepsia patient group caused by food factor (food factor group). In addition, we carried out HRV test and compared HRV index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st illness involved in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chest discomfort, thurst, lack of appetite, and exhaustion after meals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many changes of tongue fur in food factor group. But there were many changes of tongue body in stress factor group. The pulse pattern is mostly wiry in stress factor group. But, The pulse pattern is mostly slippery in food factor group. HF, T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food factor group in stress factor group, it means autonomic nerve system was more suppressd in stress factor group than food factor group. Food factor group improved sooner than stress factor group. This study presented the clinic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past medical history, symptoms, tongue diagnosis, pulse pattern, curative process) of acute dyspepsia depending on food factor and stress factor. Thus, it provides the necessity of oriental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called pattern identification for acute dyspepsia.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고문사, pp 673-700, 1995.
  2. 김상효. 동의신경정신과학. 행림출판사, pp 53-63, 258-263, 346.
  3. 이규택. 기능성소화불량환자의 심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51(10):595-599, 1999.
  4. 이숙영, 문 구, 문석재. 비위와 칠정에 관한 문헌적 고찰(동서의학의 비교). 대한한의학회지 13(1):141-151, 1992.
  5. 이준호, 김학양, 노승혁, 윤덕형, 김경호, 최종형. 한국인 소화 불량 환자 중 어느환자에서 내시경 검사를 할 것인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2: 1-7, 2001.
  6.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공저. 비계내과학. 그린문화사, pp 51-59, 154-157, 1994.
  7. 강상건, 김형준, 이상열, 차만진, 황혜헌.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분노, 감정표현불능증과 우울. 가정의학회지 23(7): 881-887, 2002.
  8. 강형구. 비위와 신지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pp 100-108, 1990.
  9.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공저. 비계내과학. 서원당, p 56, 1987.
  10. 고수미, 문 구, 문석재. 만성 위염에 대한 최근의 동서의학 결합 진치개황. 대한한의학회지 15(1):400-409, 1994.
  11. 홍석의, 김강산, 김병기.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간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소화기 장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5(2):48-58, 1994.
  12. 이준성. 기능과 소화불량증(기능적 원인).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10(2):11-17, 2004.
  13. 박동일, 이풍렬, 이용욱, 김지은, 현재근, 김창섭.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자율신경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6(2):215, 2000.
  14. 김지은, 이풍렬, 박동일, 현재근, 김영호, 심상군.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자율신경 기능 이상과 위배출시간의 연관성. 대한소화기학회지 36(5):573-582, 2000.
  15. 전우현, 박재우, 김진석, 홍종희, 홍상선, 박석규, 김진성, 윤상협, 류봉하, 류기원.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한방 치료 후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임상적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2(3):361-366, 2001.
  16. 윤상협, 류봉하, 류기원, 김진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반하사심탕 엑기스제의 임상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4(2):329-366, 2003.
  17. 김정희. 스트레스 평가 그리고 대책. 대성문화사, pp 11-17, 1991.
  18. 공현식, 유봉하, 박동원, 유기원. 단삼보혈탕이 스트레스로 유발된 백서 위장관의 조직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1(1):74-86, 2000.
  19. 김민수, 곽민아, 장우석, 이기태, 정기삼, 정태영 등. 전침 자극이 정상 성인의 심박변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4):157-159, 2003.
  20. 우종민. 심박동수 변이 측정법의 개념과 임상적 활용. 대한정신신체의학회지 12(1):3-14, 2004.
  21. 배은주, 김동현, 유경환, 박성욱, 윤성우, 고창남. 화병 환자의 심박변이도 특성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6(4):844-852, 2005.
  22. 박정준, 임낙철. HRV 측정으로 본 불면증 환자에 대한 연구.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3(1):39-45, 2004.
  23. 이성도, 김재연, 김기탁, 변미권, 김상헌, 박동일. HRV를 이용한 신경증 환자의 자율신경계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fal(1):1-6, 2006.
  24. 이건영, 이형구, 정승기, 정희재. 심박변이도 측정을 통한 다한증 환자의 자율신경계 기능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9(1):1-11, 2008.
  25. 임인환, 정승환, 엄은진, 이범준, 나병조. 소화불량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탄산 증상 유무와 심박변이도와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9(4):904-912, 2008.
  26. 김소연, 윤상협.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위장관 미주신경 활성 평가를 위한 심박변이 지표와 장음지표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0(1):173-180, 2009.
  27. 황의원, 심신증. 서울, 행림출판사, pp 16-29, 33-34, 43-49, 87-106, 1985.
  28. 김동우. 스트레스의 한의학적 이해. 동의신경정신생리학회지 4(1):19-26, 1993.
  29. 홍원식. 정교황제내경소문. 동양의학연구소출판부, pp 23-25, 145-146, 1981.
  30. 황의원, 김지혁. 동양정신의학. 현대의학서적사, pp 99-102, 107-109, 638, 685-689, 783, 1987.
  31. 강형구. 비위와 신지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pp 100-108, 1990.
  32. 유희영, 이상용. 정동 스트레스가 오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pp 49-60, 1990.
  33. 이봉교, 김봉희, 박영배. 한방진단학. 성보사, pp 69, 75, 176, 196, 219-221, 224-227,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