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ductivity Analysis of Deck Plate Installation Work in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철골조 데크플레이트 공사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정세림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 조규만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09.10.16
  • Accepted : 2009.12.06
  • Published : 2010.02.20

Abstract

Deck plates have been widely used for steel framework due to their merits in terms of schedule reduction and work repetition. For this reas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ck plat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form type and their constructability. In this study, through an actual case study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CYCLONE method. Based on this model, this study not only analyzed the productivity of the work process of the deck plate in steel framework, but also identified the occurrence of idle time in the work process. In addition, using a sensitivity analysis, productivity and duration could be analyzed according to variation of input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deck plate work in steel frameworks. Using the model, it is expected that project managers would be able to predict the productivity and total duration of the deck plate work in the early project phase, which will enable managers to make an appropriate plan for input resources.

철골공사의 데크플레이트 공사는 공사기간이 짧고, 반복적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기존의 데크플레이트와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은 데크플레이트의 형태 및 시공성 등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분석 및 전문가 면담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작업 프로세스 및 작업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CYCLONE 기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철골조 데크플레이트공사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투입되는 자원의 유휴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한편,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투입된 자원의 변화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기간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철골조 데크플레이트공사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매니져가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 해당 건설현장의 데크플레이트 공사에 대한 생산성 및 작업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적절한 자원투입계획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희외, 데크플레이트 바닥판 공법의 생산성 향상방안 제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제16권 제12호, pp.175-182, 2000.12
  2. 김태희외, 데크플레이트 바닥판 공법의 시공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제20권 제1호, pp.505-508, 2000.4
  3. 윤대중외, 국내데크작업의 생산성 증대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제23권 제1호, pp.415-418, 2003.4
  4. 임남기외, 슬립폼과 데크플레이트를 채용한 벽식 아파트의 적용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6호, pp.107-114, 2004.6
  5. (주)코스틸, http://www.kosteel.co.kr
  6. Halpin, Daniel W, Riggs, Leland S, Planning and analysis of construction operations, John Wiley & Sons, Inc., pp.99-101, 1992
  7. Cho, K., Integrated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Model For Repetitive Construction Process of High-rise Buildings, Ph. 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pp.118-119, 2009.2
  8. Hong, T. and Hastak, M., Simulation on construction process of FRP bridge deck panels,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Elsevier v.16, n.1, pp.620-631, 2006.10

Cited by

  1. A Dynamic Erection Simulation Model of Column-Beam Structures Using Composite Precast Concrete Components vol.79, pp.3-4, 2015, https://doi.org/10.1007/s10846-014-0115-9
  2.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free-form building technology vol.58, pp.3, 2015, https://doi.org/10.1080/00038628.2014.927751
  3. Evaluation of Structural Safety and Economic Feasibility for Removable Steel Plate Eco Deck Plate vol.30, pp.9, 2014, https://doi.org/10.5659/JAIK_SC.2014.3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