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경계정충(驚悸怔忡) 변증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Park, Dae-Myung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Sang-Ryong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ang, Wee-Chang (Dept. of Business and Information Statistic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e-Jeon University) ;
  • Jung, In-Chul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박대명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상룡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강위창 (대전대학교 경영대학 비즈니스정보통계학과) ;
  • 정인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Received : 2010.05.07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tandard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Methods : The advisor committee on this study was organized by 15 neuropsychiatry professors of oriental medical colleges. The items and structure of the instrument were based on review of published literature. We took consultation 2 times from the advisor committee and we also took additional advices by e-mail. Results : 1. We divided the symptoms and signs of jing ji and zheng chong into 9 pattern identification. - heart deficiency with timidity(心膽虛怯), heart qi deficiency(心氣虛), heart blood deficiency(心血虛), heart yang inactivity(心陽不振), heart blood stasis(心血瘀阻), phlegm turbidity obstructing(痰濁阻滯), yin deficiency with effulgent fire(陰虛火旺), water qi intimidating the heart(水氣凌心), dual deficiency of the heart and spleen(心脾兩虛). 2. We got the mean weights that reflect standard deviation to each symptom of 9 pattern identification which had been scored on a 100-point scale. 3. We made out the Korean instrument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It was composed of 17 questions in question-and-answer form. Conclusions :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was developed through experts' disscussion. I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instrument is confirmed through additional clinical trial,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jing ji and zheng chong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subsequent research.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보건복지부

References

  1.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편집위원회. 한의신경정신과학. 경기:집문당. 2007:227-34.
  2. 권종준, 김태헌, 강형원, 류영수. 不安 및 不安 病症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1):159-69.
  3. Freud S. 정신분석입문. 서울:홍신문화사. 2007 :322-38.
  4. 이천 편저 진주표 역해. 신대역 편주 의학입문. 서울:법인문화사. 2009:1437-8.
  5.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일조각. 2009:323-60.
  6. 임현주, 김석환, 이상룡, 정인철. 화병변증도구 개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5):1071-7.
  7. 변준섭, 양수영, 강위창, 박양춘. 감모변증도구 개발에 대한 예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6):1226-31.
  8. 김규곤, 강창완. 한의학에서의 변증점수개발에 대한 가중주성분분석의 응용. 한국통계학회 1999; 12(1):17-28.
  9. 남상수, 김용석, 박동석. 驚悸怔忡의 病因 病理 및 鍼灸治療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1995;11(2):151-69.
  10. 김형철, 정대규. 驚悸怔忡에 대한 고찰. 동서의학. 1992;17(3):1-17.
  11. 정대규, 이정우. 心悸의 病因에 關한 文獻的 考察. 동서의학. 1994;19(4):5-22.
  12. 이효경, 김태헌, 류영수, 강형원. 東醫寶鑑에 나타난 驚悸 怔忡에 관한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1):215-34
  13. 정인철, 이상룡. 不安障碍患者 19例에 대한 臨床的 考察.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8;9(2) :161-9.
  14. 박귀영, 이상룡. 凡不安障碍의 臨床的 考察.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1995:287-305.
  15. 김영준, 김진형, 류희영, 홍성수, 김태헌, 류 영수, 강형원. 恐怖症 환자의 발작강도 및 예기불안에 대한 한의학적 임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2):1-11.
  16. 정찬수, 국윤재, 최성열, 강형원, 류영수, 김 태헌. 불안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心 大小관련 성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 16(2):35-42.
  17. 김진형, 국윤재, 최성열, 김태헌, 류영수, 강 형원. MMPI 임상척도와 성격척도를 통해 살펴 본 공황장애 환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1):129-42.
  18. 김윤용, 조혜영, 권용주, 조성훈, 황의완. 어 혈로 인한 정충, 경계환자의 혈부축어탕 치험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3):249-59.
  19. 정연탁, 임윤경. 膻中(CV17)혈에 자락부황법을 시술한 驚悸怔忡환자 27례 대한 증례보 고.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7;16(2) :199-210.
  20. 노동진, 이상룡, 정인철. 범불안장애의 중의학 약물 임상시험 최신 동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4):79-89.
  21.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교실. 心系內科學. 서울:군자출판사. 2006:80-3.
  22. 王永炎 沈紹功. 今日中醫內科.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0:487-9.
  23. 田德祿. 中醫內科學. 北京:中國中醫葯出版社. 2005:135-8.
  24. 上海科學技術出版社. 實用中醫內科學.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6:327-9.
  25. 王永炎. 臨床中醫內科學. 北京:北京出版社. 1994 :526-9.
  26. 鄧鐵濤. 實用中醫診斷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4:383-4.
  27. 신순식.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III).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1997:466-7.
  28. 朱文鋒. 中醫診斷與 鑑別診斷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9:104-5.
  29. 楊思澍, 張樹生, 傅景華. 中醫臨床大全. 北京: 北京科學技術出版社. 1991:156-60.
  30. 王顯明. 中醫內科辨證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4:460-1.
  31. 朱文鋒 何淸湖. 現代中醫臨床診斷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3:263-5.
  32. 彭勃. 中醫內科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0 :59-61.
  33. 張伯臾. 中醫內科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8 :196-9.
  34. 焦樹德. 樹德中醫內科.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5:170-1.
  35. 中國中醫葯出版社. 實用中醫辨證論治學. 北京: 中國中醫葯出版社. 2006:287-8.
  36. 湖南科學校出版社. 內科症狀辨治. 山西:湖南科學校出版社. 2000:295-300.
  37. 馮興華 高榮林. 中醫內科臨床手冊.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6:44-5.
  38. 姚乃禮. 中醫症狀鑑別診斷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4:292-4.
  39. 中醫硏究院. 中醫症狀鑑別診斷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7:238-9.
  40. 전국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한방병리학. 서울:한의문화사. 2001:172.
  41. 정우열, 안규석. 한방임상병리학. 서울:영임사. 1998:46.
  42. 송낙근. 설문지 통계분석을 통한 변증진단 객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5;11(1) :127-38.
  43. 최선미, 박경모, 정찬실, 성현제, 안규석. 심병증 진단요건의 표준 설정을 위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4):84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