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iminary Study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화병 한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Cheong, Myung-Hee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Lee, Sang-Ryong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ang, Wee-Chang (Dept. of Business and Information Statistic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e-Jeon University) ;
  • Jung, In-Chul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정명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상룡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강위창 (대전대학교 경영대학 비즈니스정보통계학과) ;
  • 정인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Received : 2010.05.27
  • Accepted : 2010.06.03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tandard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Methods : The advisor committee on this study was organized by 17 neuropsychiatry professors of oriental medical colleges. The items and structure of the instrument were quoted from the instrument of pattern identification for hwa-byung. We took consultation twice from the advisor committee and we also took additional advices by e-mail. Results : We discriminated between bian-zheng and su-zheng from the answers of the advisor committee. We got the mean weight of each symptom and sign from the answers of the advisor committee. We got the final weight from the combination of the ratio of bian-zheng to the number of all answers of the advisor committee and mean weight. Conclusions : The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was developed through experts' discussion. I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instrument is confirmed through additional clinical trial, the instrument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 for hwa-byung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subsequent research.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보건복지부

References

  1.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일조각. 2009:321-2.
  2.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편집위원회. 한의신경정신과학. 경기:집문당. 2007:215-26
  3. 이시형. 홧병에 대한 연구. 高醫. 1977;1(2):63-9.
  4. 민성길. 홧병(火病)의 개념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989;28(4):604-16.
  5. 민성길. 홧병(火病)과 恨. 대한의학협회지. 1991; 34(11):1189-98.
  6. Lin K. Hwabyung a korean culture-bound syndrome?. Am j psychiatry. 1983;140(1):105-7.
  7. 민성길, 남궁기, 이호영. 홧병에 대한 일 역학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0;29:867-74.
  8. 김혜경. 농촌 여성노인들의 화병 유병률과 관련요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9. 민성길, 이민홍, 강홍조, 이호영. 홧병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의학협회지. 1987;30(2):187-97.
  10. Min SK, Suh SY, Song KJ. Symptoms for diagnostic criteria of hwa-byung, an anger syndrome. Psychiatry Invest In Press. 2009; 6:7-12. https://doi.org/10.4306/pi.2009.6.1.7
  11. 민성길, 박청산 한정옥. 홧병에 있어서의 방어기제와 대응전략. 신경정신과학. 1993;32(4): 506-15.
  12. 민성길, 이민홍, 신정호, 박묵희, 김만권, 이호영. 홧병에 대한 진단적 연구. 대한의학협회지. 1986;29(6):653-61.
  13. 박지환. 홧병에 대한 진단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7;36(4):496-502.
  14. Roberts ME, Han K, Weed NC. Development of a scale to assess Hwa-Byung, a Korean culture-bound syndrome, using the Korean MMPI-2. Transcultural psychiatry. 2006;43(3): 383-400. https://doi.org/10.1177/1363461506067715
  15. 민성길, 서신영, 전덕인, 홍현주, 박상진, 송기준. 화병 증상에 대한 paroxetine의 효과.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009;20(2):90-7.
  16. 박진성, 구병수. 火 및 火病의 意義에 관한 문헌적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 8(1):187-200.
  17. 김종우, 현경철, 황의완. 화병의 기원에 대한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9;10(1):205-15.
  18. 문충모, 김지혁, 황의완. Stress와 火에 관한 東西醫學的 考察.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88; 9(1):153-60.
  19. 김종우, 황의완. 한의학에서 본 홧병의 해석,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4;5(1):9-15.
  20. 지상은, 김종우, 황의완, 조황성. 화병 환자의 임상양상에 대한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8(2):63-84.
  21. 이승기, 김종우, 황의완. 홧병환자 1例의 임상보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6;7(1):173-80.
  22. 안병수, 이병렬. 舍岩鍼法 중 心勝格에 의한 火病 2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2;11(1)151-62.
  23. 김진우, 안대종, 이순이, 왕덕중, 이지영, 강형원. 火病을 紫河車 藥鍼을 사용하여 치료한 1例.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1):211-20.
  24. 김태헌, 류영수. 전신체열촬영에 의한 화병환자의 임상적 연구. 1999;10(1):133-46.
  25. 임재환, 김종우, 황의완. 韓醫學的 홧병 치료에 따라 나타나는 홧병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정도와 臨床樣相의 변화에 대한 比較硏究.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1):47-57.
  26. 정선용, 김종우, 박종훈, 김상호, 황의완, 권 정혜. SCL-90-R을 이용한 火病과 주요우울장 애의 비교.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2): 45-52.
  27. 이희영, 김종우, 박종훈, 황의완. 화병의 진단 및 변증유형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 2005;16(1):1-17.
  28. 임현주, 김석환, 이상룡, 정인철. 화병변증도구 개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5):1071-7.
  29. 정인철, 이상룡, 박양춘, 홍권의, 구영선, 조정효, 안정조, 강위창, 김종우, 최선미. 화병의 핵심증상에 대한 사암침 치료의 효과 : 예비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1): 79-94.
  30. 정인철, 이상룡, 박양춘, 홍권의, 이용구, 강위창, 최선미, 김종우, 최강욱, 오달석, 박지 은. 화병의 핵심증상에 대한 사암침 심정격 치료의 효과. 동의신경정신과학지. 2008;19(1):1-18.
  31. 임현주, 김석환, 이상룡, 강위창, 정인철. 화병 핵심증상 중 흉민에 대한 분심기음의 효능 :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군연구의 중간보고 - 피험자 특성을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3);169-88.
  32. 권정혜, 김종우, 박동진, 이민수, 민성길, 권호인. 화병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8;27(1):237-52.
  33. 김종우, 권정혜, 이민수, 박동건. 화병 면담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2004;9(2):321-31.
  34. 신양규. 한의 진단모델의 추론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한 진단 지식의 처리. Journal of statistical theory & methods. 1997;8(1):1-7.
  35. 박경모, 박종현. 한의학의 증상표현을 위한 방법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5):845-50.
  36. 박종현, 신상우, 정길산, 박경모, 김선호. 한의진단 ontolgy 구축과 평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1):2002-8.
  37. 신순식, 최선미, 신민규, 양기상.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연구 III. 한국한의학연구원. 1997.
  38. 송낙근 외. 설문지 통계분석을 통한 변증진단 객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5; 11(1):127-38.
  39. 류시현, 윤지현. 지역사회영양학 연구에서의 리커트 척도 이용 현황. 대한지역사회 영양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9;14(5):600-7.
  40. 강만기, 이창은, 최규탁. 리커트 퍼지 척도에 대한 퍼지 가설검정. 퍼지 및 지능시스템확회 논문지. 2005;15(5):533-7.
  41.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한방병리학. 서울:한의문화사. 2008:286, 288, 579.
  42. 변준섭, 양수영, 강위창, 박양춘. 감모변증도구 개발에 대한 예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6):122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