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mporal Trends and Spatial Comparisons of Ozone Concentrations in Jinju

진주시 오존농도의 시간적 추이와 공간적 비교

  • Park, Jeong-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Jinju National University)
  • 박정호 (진주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3.05
  • Accepted : 2010.04.1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emporal trends of ozone concentration in Jinju were investigated by using observation data from 3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for the period of 2004~2008. In addition, spatial comparisons of ozone concentration at Jeoguri, upwind and downwind directions of Jinju were investigated between May and September 2009. Annual mean exhibited increasing trends +1.7ppb/yr throughout the study period. In the case of diurnal variation, the lowest ozone concentration was shown from 7 am to 8 am and the highest around 4 pm. The ozone concentrations of Jeoguri station of the south coast were higher than Jinju. In particular, the upwind direction of Jinju had relatively hight ozone concentration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홈페이지, 2010,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currentweather.jsp.
  2. 국립환경과학원, 2010, 2007년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자료.
  3. 김영성, 1996, 1991-1993년 사이 우리나라의 오존 농도 변화,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2(1), 55-66.
  4. 김영성, 2000, 우리나라의 오존농도 변화 추이와 주요 인자,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6), 607-623.
  5. 김유근, 이화운, 전병일, 홍정혜, 1996, 부산 연안의 오존농도에 미치는 해풍의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5(3), 265-275.
  6. 김유근, 임윤규, 이소영, 2005, 울산지역 해륙풍 효과에 따른 고농도 오존 발생 메커니즘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2005추계학술대회 논문집, 40, 219-221.
  7. 김철희, 송창근, 박순웅, 1999, 종관 바람장에 따른 경인지역에서의 지상오존 농도분포모의, 한국기상학회지, 35(3), 441-456.
  8. 박정호, 양수명, 정용환, 이상혁, 박희은, 2009, 진주시 대기중 오존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009년 정기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18(1), 89-91.
  9. 손장호, 2005, 2003년 여름동안 서울지역에서의 오존의 광화학적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4(8), 749-760. https://doi.org/10.5322/JES.2005.14.8.749
  10. 신범철, 이미혜, 이재학, 심재설, 2007,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오존농도의 계절변화와 일변화 특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6), 631-639. https://doi.org/10.5572/KOSAE.2007.23.6.631
  11. 오인보, 김유근, 2002, 한반도 주요 대도시지역의 지표오존 특성 : 추세, 일변화, 월변화, 수평분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4), 253-264.
  12. 오인보, 김유근, 황미경, 2005, 수도권지역 오존오염 패턴과 기상학적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3), 357-365
  13. 진주시홈페이지, 2010, http://www.jinju.go.kr.
  14. 최현정, 이화운, 임헌호, 송재활, 2008, 광양만 권역에서의 고농도 오존 사례에 대한 기상 및 대기질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7(7), 743-753. https://doi.org/10.5322/JES.2008.17.7.743
  15. 하훈, 이상득, 이중기, 박찬오, 문태룡, 2006, 광양권만의 오존농도 특성과 시공간적 분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5), 642-652.
  16. 한화진, 1997, 외국의 대기오염관리 성공사례 및 정책적시사점, 한국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KEI/1997/RE-12.
  17. 한화진, 1999, 대기중 오존오염과 저감방향, 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포럼 통권 40호.
  18. 환경부, 2003a, 대도시 대기질 관리방안 조사 연구 최종보고서-광화학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의 생성과정 규명과 저감대책 수립(오존분야).
  19. 환경부, 2003b, 오존오염의 현황과 대응방안.
  20. 환경부, 2005, 대기오염측정망 기본계획(2006-2010).
  21. 환경부, 2009, 대기환경연보(2008년).
  22. 國立環境硏究所, 2006, 日本における光化學オキシダント等の擧動解明に關する硏究, 國立環境硏究所硏究報告.
  23. Haagen-Smit, A. J., 1952, Chemistry and physiology of Los Angeles smog, Ind. Eng. Chem., 44, 1342-1346. https://doi.org/10.1021/ie50510a045

Cited by

  1. A Study of Ozone Variations in a Semiconductor Fabrication Facility and Office Related to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Outdoor Air vol.26, pp.2, 2016, https://doi.org/10.15269/JKSOEH.2016.26.2.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