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style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those of regular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귀인성향과 수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 Received : 2010.03.15
  • Accepted : 2010.04.09
  • Published : 2010.05.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will help underst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that can be utilized for special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y investigating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style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those of regular students. For that purpose, 202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415 regular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at elementary schools were surveyed in terms of attribution style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for attribution styl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in terms of grade and gender,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 factors because of giftedness.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 factors between genders.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regular students in every sub factor excepting gender role conformity, and especially they showed higher confidence and motiv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inner tendencies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with both groups. The gifted group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attribution of effort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inner tendencies and confidence than the regular group. The gifted group showed higher correlation in sub factors, and especially there was high static correlation between attribution of talent and confidence, and attribution of effort and motivation.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ner tendencies showed significant relation to attitude toward mathematics with both groups, and especially the influence of attribution of effort was high. Both attribution of effort and attribution of talent were higher in the gifted group than the regular group, and attribution of effort had a major influence on practicality and attribution of talent had a major influence on confid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귀인성향과 수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상호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수학영재들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수학영재 판별과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영재 202명과 일반학생 213명으로 총 415명을 대상으로 하여, 귀인성향 검사와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귀인성향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영재성에 의해 귀인성향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두 집단 모두 학년에 따라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성차에 의해 몇 가지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재성에 따라서는 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성역할 적합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더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자신감과 동기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귀인성향 중 내적성향과 수학에 대한 태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특히 수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노력 귀인과 수학에 대한 태도, 내적성향과 자신감과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들 간에는 수학영재가 거의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더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특히 능력 귀인과 자신감, 노력 귀인과 동기성에서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수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내적성향의 영향력이 유의하였는데, 특히 노력 귀인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수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노력 귀인뿐만 아니라 능력 귀인의 영향력도 더 높게 나타났으며, 노력 귀인은 유용성에, 능력 귀인은 자신감에 주요한 영향력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자․김용구․정인철․임근광 (2006). 수학영재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1), pp.41-55, 서울: 한국학교수학회.
  2. 강신포․김판수․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영재 및 일반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5(4), pp.441-457, 서울: 대한수학교육학회.
  3. 곽지선 (1999).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4.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교육과학기술부.
  5. 김성호 (2005). 수학교과와 과학교과의 내용 및 태도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재철 (2002). 학생 배경변인과 수학에 대한 태도 변화와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정희 외 (2005).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8. 김홍원․김명숙․송상헌 (1996).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 96-2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박영신 (1990). 한국학생이 지각한 학업에 대한 성패귀인과 학습동기화 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서미자 (2003).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귀인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정표 (1994). 수학영재의 판별 절차 및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소금현 (2000).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인섭․한기순 (2008). 한국영재교육의 새로운 지평, 서울: 학지사.
  14. 신임철 (1987). 수학태도, 성격, 수학성취도와 수학불안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명희 (2003). 수학에 대한 태도의 발달경향성 및 학습자 유형 분석, 교육심리연구 17(3), pp149-163, 서울: 한국교육심리학회.
  16. 우찬영․박영호 (2006). 학업성취와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 인문논총 20, pp.231-254, 경남: 경남대학교.
  17. 유윤재 (2007). 수학영재교육, 서울: 교우사.
  18. 이상배 (2002).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학교학습 성패의 귀인성향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용률․성현경․정동권․박영배 공역 (1992). 수학적인 생각․태도와 그 지도 II : 문제해결과정과 발문분석, 片桐重男저(1988), 서울: 경문사.
  20. 정종진 외 (2003). 동기의 귀인이론과 학교학습, 서울: 학지사.
  21. 정혜영 (2007). 중․고등학생의 학업에 대한 귀인성향과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진석언 외 (2003).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23. 최택영․박두길 (2002). 상업계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향상 방안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5(2), pp.111-128, 서울: 한국학교수학회.
  24. 한덕웅 (2004).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25. Aiken, L. R. (1970).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0, pp.551-596. https://doi.org/10.3102/00346543040004551
  26. Cramer, J., & Oshima, T. C. (1992).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6, pp.18-35. https://doi.org/10.1177/016235329201600104
  27.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Allyn & Bacon.
  28. Fennema, E., & Sherman, J. (1976).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 towar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ils and mail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9. Heider, F .(1958).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Y: Wiley.
  30. House, P. A. (1987).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K-12. Reston, VA: NCTM.
  31. Lubinski, D., & Benbow, C. P. (2000). States of excellence, American Psychologist, 55, pp.137-15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137
  32. Renzulli, J. S .(2002). Expanding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to include co-cognitive traits and promote social capital, Phi Delta Kappan, 84(1), pp.33-58. https://doi.org/10.1177/003172170208400109
  33. Rotter, J. B. (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80, pp.1-28.
  34. Rotter, J. B. (1975). Some problems and misconceptions related to the construct of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 pp.36-67.
  35. Rotter, J. B. (1990).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s: A case history of a variable, American Psychologist, 45, pp.489-493. https://doi.org/10.1037/0003-066X.45.4.489
  36. Sandman, R. (1974). The mathematics attitudes inventory: Instrument and user's manua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2), pp.148-149.
  37. Weiner, B. (1980). Human motivation, New York: Ho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