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Disclosure of Unmarried Persons in Early Adulthood on Their Intimacy with the Opposite Sex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자아분화와 자기개방이 이성과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최지영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최연실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09.10.14
  • Accepted : 2010.02.1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family of origin and self-disclosure of unmarried persons in early adulthood affected their own intimacy with the opposite sex, which was one of the major developmental tasks for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differentiation, self-disclosure, and intimacy with the opposite sex of the single male and female adults investigated were generally at a moderate level. Second, for self-differentiati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male and female adults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self-disclosure,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female adults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but the male adul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one another in that regard according to their family makeup and birth of order. As for connections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ingle male and female adults and their intimacy with the opposite sex, the male adults varied in that aspect with their birth order, and whether they were dating and considered getting married made a difference to that as well. In the event of the female adults, whether they considered getting married and how long they were dating made a difference in their intimacy with the opposite sex. Third, concer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disclosure of the unmarried male and female adults on their intimacy with the opposite sex, their intimacy with the opposite sex improved as division occurred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when they opened themselves up to more people, when they thought of marriage more and when they were dating for a longer period of time.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숙. (2005). 남.녀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사회불안이 커플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석만. (1997).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3. 금온순. (1996). 자아분화수준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자. (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아분화가 가족체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김교헌. (1994). 자기노출과 분노억제 경향에 따른 생기, 정서 및 자기이해 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애순. (2002).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7. 김정택, 제석봉, 장혁표. (1991).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8. 김종희. (1980). 자기노출과 자아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주연. (2002). 대학생의 애착유형에 따른 사회적 지지 수준 및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정, 김명자. (1999). 근원가족 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6-60.
  11. 박선미. (2003). 미혼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부모와의 애착이 자녀의 이성 관계 만족도와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선영. (1996). 상담자의 자기표출 유형이 내담자의 자기표출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수미. (2004). 청소년의 심리적 반발성과 자기개방.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은미. (1999).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설기문. (1997).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
  16. 신지영. (2000). 부모와의 갈등적 독립 및 가족응집력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완수, 변창진. (1980). 자기표출훈련프로그램. 경북대학교학생지도연구, 13(1), 17-50.
  18. 유정이. (1993). 청년기 가족관계와 대학생활의 적응. 서울대학교 학생연구, 28(1), 106-113.
  19. 윤진. (1992).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 이신숙, 차용은. (2000). 성인자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원가족에 대한 가족 건강도 지각이 노모와의 유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4), 21-32.
  21. 이종원. (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창만. (1992). 자기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부부적응.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태연, 이인수, 정기수, 최명구. (2006). 인간관계의 이해. 서울: 신정.
  24. 이현주. (1998). 부부의 자아분화정도와 갈등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임래길. (1993). 자기표출 신장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주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임명희. (2003).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자기개방과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휘숙. (2007). 발달심리학. 서울: 박영사.
  28. 전영주. (2002). 한국 성인초기 미혼남녀의 원가족 요인이 불안을 매개로 낭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1), 207-221.
  29.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정문자, 정혜정, 이선혜, 전영주. (2007). 가족치료의 이해. 서울: 학지사.
  31. 정윤경. (2004). 부부갈등이 성인초기 자녀의 이성과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현숙, 유계숙, 최연실. (1998). 결혼학개론. 서울: 상명대학교 출판부.
  33. 제석봉.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차정화, 전영주. (2002). 이성교제 커플의 원가족 건강성과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7(1), 39-57.
  35. 한미향. (1999).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 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Guerin, P. M. Jr.(Ed.), Family Therapy(pp.42-90). New York: Gardner Press.
  37. Bowen, M. (1994).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orthvale, New York: Jason Aronson.
  38. Cozby, P. C. (1973). Self-disclosure; A literatur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79(2), 3-91.
  39.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40. Garfinkel, H. N. (1980). Family System Personality Profile: An Assessment Instrument Based on Bowen Theory,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41. Kear, J. (1978). Marital Satisfaction and Attraction as a Func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Fresno Campus.
  42.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E. B., & Levinson, M. H. (1978). The Season's of Men's Life. New York: Knopf.
  43. Lim, M. G. & Jennings, G. H. (1996). Marital satisfaction of healthy differentiated and undifferentiated couples. Family Journal, 4(4), 308-315. https://doi.org/10.1177/1066480796044004
  44. McCreaner, D. P.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erception of Healthy in the Family of Origin and Fusion Intimacy in the Family of Procre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45. Mee-Gaik, N. G. (1991).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 Healthy Like, Unhealthy Lik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46. Miller, S., Wackman, D., Nunnally, E., & Miller, P. (1988). Connecting with Self and Others. Littleton, C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rogram.
  47. Sternberg, R. J. (1986). A triangular theory of lo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3(2), 119-135.

Cited by

  1.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Interpersonal Anxiety : Moderated Mediating by Gender vol.34, pp.4, 2016, https://doi.org/10.7466/JKHMA.2016.34.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