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cultural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and Play-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유아-어머니간 놀이상호작용 - 동남아시아 결혼이민자가정을 중심으로 -

  • Song, Yo-Hyun (Department of Consumer and Child Studies, Inha University) ;
  • Hyun, On-Kang (Department of Consumer and Child Studies, Inha University)
  • 송요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아동복지학, 인천남구건강가정지원센터 아이돌보미 지원사업팀) ;
  • 현온강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과)
  • Received : 2009.08.31
  • Accepted : 2010.03.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a child's development within a multi-cultural famil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ild's language ability and their play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y based on the child's gender, or based on the language in which the mother communicated with her childre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hildren's age, the mother's native country, and the period of time the mother had lived in Korea.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mother play interaction based on the children's age, gender, the mother's native country, the period of time the mother has lived in Korea, or the language in which the mother communicated with her children. However, the boys showed a more hostile attitude toward their mothers, in comparison to the girl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comprehensive social support services and policies for the overal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especially through programs for children and mothers.

Keywords

References

  1. 김민화 . 신혜은(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2. 김영태 . 성태제 . 이윤경(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검사지침서. 서울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3. 김이선 . 김민정 . 한건수(2006). 여성 다문화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4. 박미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결혼이민자 가정을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5. 보건복지가족부 인구여성정책팀(2006. 9).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사회통합 지원대책-보건복지부 주관 과제별 추진실적 및 계획-. 국정감사요구자료.
  6. 보건복지가족부.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8). 다문화가족자원을 위한 다문화사회이해. 서울 :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발간번호 : 2008-결혼이민자-29).
  7. 보건복지가족부(2008. 10. 30).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브라핑자료.
  8. 설동훈 . 김윤태 . 김현미 . 윤홍식 . 이혜경 . 임경택 . 정기선 . 주영수 . 한건수(2005). 국제결혼 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 복지 지원정책 방안. 서울 : 보건복지부.
  9. 설동훈 . 이혜경 . 조성남(2006). 다문화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서울 : 여성 가족부.
  10. 세계일보(2008. 12. 16). "청소년층에 다문화사회 비전제시 필요". http://www.segye.com/articles/components/func/print.asp에서 2008년 12월 17일 인출.
  11. 송선진(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 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12. 양애경 . 이선주 . 최훈석 . 김선화 . 정혁 (2007). 여성 다문화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연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3. 오성배(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4. 오성배(2007).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15. 이경숙 . 신의진 . 전연진 .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7(4), 53-73.
  16. 이순형(2007). 다문화사회와 생활문화 : 다문화의 생활 적응문제와 지원방안.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다문화생활교육센터 개원심포지엄, 55-76.
  17. 이순형 . 권미경 . 최인화 . 김미정 . 서주현 . 최나야 . 김지현(2010). 영유아 언어지도 경기 : 교문사.
  18. 이순형 . 문무경 . 최연실 . 이숙정 . 정하나 . 우현경(2006). 농촌여성결혼이민자 정착지원방안. 경기 : 농림부.
  19. 이영주(2007). 국제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2(2), 83-105.
  20. 이은해 . 이미리 . 박소연(2006). 아동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학지사.
  21. 이진숙(2007).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21-42.
  22. 이차숙(2005). 유아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23. 전은애(2008).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과 어머니 문화적응차원과의 관계.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4.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25. 조영달(2008. 11.5). 다문화주의와 교육정책-"성찰적 사회화"를 제안하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특강 자료집.
  26. 조혜영 . 이창호 . 권순희(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쟁책 패러다임 구축-세부과제 4 :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학생의 수용성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7 협동 연구 중간보고.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7. 최숙희(2009). 심릭통계학의 이해. 서울 : 시그마프레스.
  28. 행정안전부(2008. 7). 200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결과. 지방행정국(자치행정과).
  29. 행정안전부(2009. 9).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지방행정국(자치행정과).
  30. 홍기원(2006). 다문화정책의 방량과 문화적 지원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31. 홍진주(2004).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32. 황정미 . 김이선 . 이명진 . 최현(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구축-세부과제 1 :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33. Denham, S. A., Renwick, S. M., & Holt, R. W. (1991). Working and playing together : prediction of preschool social-emotional competence from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62(2), 242-249. https://doi.org/10.2307/1131000
  34. Gardner, F., Ward, S., Burton, J., & Wilson, C. (2003). The role of mother-child join play in the early development of children's conduct problems: A longitudinal observational study. Social Development, 12(3), 361-378.
  35. Kochanska, G., & Murray, K. T. (2000). Mother-child mutually responsive orientation and conscience development : From toddler to early school age. Child Development, 71(2), 417-431. https://doi.org/10.1111/1467-8624.00154
  36.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1999).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Phase I Manuals. https : //secc.rti.org/manuals.cfm에서 2008년 5월 27일 인출.
  37. Pianta, R. C., & Harbers, K. L. (1996). Observing mother and child behavior in a problem-solving situation at school entry : 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4(3), 307-322. https://doi.org/10.1016/0022-4405(96)00017-9
  38. Weinfield, N. S., Ogawa, J. R., & Egeland, B. (2002). Predictability of observed mother-child interaction from preschool to middle childhood in a high-risk sample. Child Development, 73(3), 528-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