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Pathways from Mothers' Beliefs to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Private After-School Education and Stress Levels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탐색 : 아동의 사교육 경험 및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

  • 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최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구슬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 Received : 2010.03.03
  • Accepted : 2010.05.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pathways from mothers' beliefs to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hildren's private after-school activities and stress levels. A sample of 230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5 boys and 105 girls) in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ren's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ir mot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mothers' beliefs and children's private after-school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mothers' beliefs indirectly influence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both children's private after-school activities and stress levels. Neither children's private after-school activities nor children's stress mediated between mothers' beliefs a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others' beliefs also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both mothers' beliefs and children's stress played crucial roles in improving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2004). 과외학습관련 어머니 변인별 유아스트레스 및 정의적 특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 강인성(2004).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고재홍.김미정(2009).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 방어기제들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22(4), 161-183.
  4. 권재기(200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와 과외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권혁록(1996). 아동기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김보림(2007). 유아 조기.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보림.엄정애(2007). 유아 조기 특기 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8), 13-24.
  8. 김수민(2005). 학생과 학부모의 사교육행태와 사교육 결정요인 및 그 효과성 인식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김수빈(2008).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적응.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김수주(2002).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김재은(1998). 어린이 발달과 스트레스. 제 6회 학술대회 유능한 어린이로 키우기. 서울 : 삼성복지재단.
  12. 김정희(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3. 김종범(1995). 부모의 성취압력과 시험불안 및 학업성적의 관계 분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김지신(1996). 어머니의 전통-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김진영(2006).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남덕임(2004).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정도와의 관계.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남윤주.이숙(2008). 기초연구 : 아동이 지각한 애착과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놀이치료연구. 12(2), 1-17.
  18. 노컷뉴스(2008. 5. 7). "아이야, 너 행복하니?" 절반 이상 행복감 못 느껴. CBS 노컷뉴스.
  19. 도인종(2006). 초등학생의 낙관적 설명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류수영(1994). 국민학교 고학년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류연자(1995). 어머니의 학업 성취압력과 아동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박병기.송정화(2007). 주관적 안녕의 $2{\times}3$ 다차원 요인구조. 교육심리연구, 21(3), 591-611.
  23. 박수진(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 특기 교육에 관한 실태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4. 박안나.김춘경(2003). 스트레스 대처 훈련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19(3), 257-281.
  25. 박지연(2004). 어머니 특성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조기교육 정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6. 보건복지부(2005). 국민건강.영양조사-총괄편. 보건 복지부.
  27. 신은영.김경연(1996). 아동, 청소년의 우울 수준에 있어서 관여, 내적통제감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34(6), 195-206.
  28. 신재은(1998).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신종순(1996). 아동 스트레스와 성격, 학교변인과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43, 59-­84.
  30. 안지영(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1. 안지영.박성연(2002). 유아기 자녀의 조기교육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 신념, 양육 스트레스 및 성취 압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11), 95-111.
  32. 안진아(2006).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기대 및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오정현.정태연(2006). 자녀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방식에서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 학교, 3(2), 43-54.
  34. 우남희.백혜정.김현신(2005). 조기 사교육이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유치원 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5(1), 5-24.
  35. 이 옥(1997). 조기교육 경험요인과 아동의 창의성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학술저널, 5, 99-112.
  36. 이기범(2008).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의 행복감.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아동이 행복한 사회, 51-65.
  37. 이기숙.장영희.정미라.홍용희(2002). 가정에서의 유아 조기, 특기교육 현황 및 부모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3), 153-171.
  38. 이영자(1995).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9.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40. 이은순(2003). 초등학생의 과외학습과 스트레스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1. 이은주.이기연(1995). 아동의 과외수업과 문제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국민학교 저학년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지, 3, 205-239.
  42. 이정미(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 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43. 이정은(1992). 유치원과 국민학교 저학년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4. 이지원(2002).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대처양식과 건강문제와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지, 6(1), 39-51.
  45. 이지은(2007). 과외 학습으로 인한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6. 임자성(2002).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한 심리적 특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7. 임자성.채규만(2005).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한 심리적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0(3), 295-311.
  48. 장은경.박은혜.김희진(1998). 논문 : 만 3세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와 교사의 기대. 대한가정학회지, 36(4), 137-146.
  49. 장혜정(2005). 사교육이 아동의 학습동기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0. 전경숙(1995). 부모-아동간 신념의 일치도와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능력지각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51. 전은영(2004).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차이.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2. 정동화(2002).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일 연구. 교육문제연구, 17, 135-153.
  53. 정성인(1998).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4. 정영임(2008). 초등학생의 과외학습시간, 교우관계, 불안수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5. 정의옥(2004). 초등학생의 과외, 과외 스트레스, 학교 적응간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6. 정춘자(2004). 아동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7. 정혜인(2003). 어머니의 양육 신념 및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8. 조성연.신혜영.최미숙.최혜영(2008). 한국의 아동은 행복한가- 전국 초등학교 2,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 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9-81.
  59. 조성연.신혜영.최미숙.최혜영(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아동학회지, 30(2), 129-144.
  60. 천민필(1993).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1. 최성윤(1992). 아동기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2. 최윤정(2007). 변화신념, 압력신념, 학업성취와 주관적 안녕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3. 통계청(2006). 사회통계조사 보고서. 서울 : 통계청.
  64. 통계청(2008). 사교육비조사. 서울 : 통계청.
  65. 하정례(2008). 과외학습과 학습습관이 학업성취와 학교적응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6. 한미현(1993). 가정의 경제적 스트레스 및 부모의 지지에 따른 아동의 행동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182-194.
  67. 한미현.유안진(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49-64.
  68. 허 철(1997). 초등학교의 과외교육 실태와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9. 홍은자(2001). 어머니 성취압력과 학원.학습지 이용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0. 황혜정(2007). 방과후 발레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1. Bell, R. Q. (1979). Parent, Child Reciprocal Influence. American.
  72. Burts, D. C., Hart, C. H., Charlesworth, R., & Kirk, L. (1990). A comparison of frequencies of stress behaviors observed in kindergarten children in classroom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versus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instrumental practi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407-423. https://doi.org/10.1016/0885-2006(90)90030-5
  73. Burts, D. C., Hart, C. H., Charlesworth, R., Fleege, P. O., Mosley, J., & Thomasson, R. H. (1992). Observed activities and stress behaviors of children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kindergarten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 297-318. https://doi.org/10.1016/0885-2006(92)90010-V
  74. Compas, B. E., & Wagner, B. M. (1991). Psychosocial stress during adolescence :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process. In M. E. Colten & S. Gote (Eds.), Adolescent Stress (pp.67-85). N. Y. : Aldine.
  75. Daniels, D., & Moos, R. H. (1990). Assessing life stressor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olescents : Applications to depressed youth.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5(3), 268-289. https://doi.org/10.1177/074355489053002
  76.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 Three decades on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77. DuBois, D. L., Fe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s, E. G. (1992). A prospective stu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o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57. https://doi.org/10.2307/1131345
  78. Dubow, E. F., & Tisak, J. (1989).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Child Development, 60, 1412-1423. https://doi.org/10.2307/1130931
  79. Elkind, D. (1984). The Hurried Child. New York : Management & Music publish, Inc.
  80.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81. Grune, A. L., & Brooks, J.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stressful life event.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society of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Toronto : Canada.
  82. Holahan, C. K., Holahan, C. J., & Belk, S. S. (1984). Adjustment in aging : The role of life stress, hassles, and self-efficacy. Health Psychology, 3, 315-328.
  83. Keyes, C. L. M., Shmotkin, D., & Ryff, C. D. (2002). Optimizing well-being :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Social Psycholigy, 82, 1007-1022.
  84. Larson, R., & Asmussen, L. (1991). Anger, worry, and hurt in early adolescent : An enlarging world of negative emotion. In M. E. Colten & S. Gote (Eds.), Adolescent stress (pp.21-42). N. Y. : Aldine.
  85.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86. Masten, A. S., & Coatsworth, J. D. (1998).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 :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 205-220.
  87. Morris, W. N., & Nemcek, D., Jr. (1982).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arison motivation among preschoolers : Evidence of a stepwise progression. Merrill-Palmer Quarterly of Behavior and Development, 28, 413-425.
  88. O'Brien, S. J. (1988). Childhood stress : A creeping phenomenon. Childhood Education, Winter, 105-106.
  89. Parke, R. D. (1978). Parent-infant interaction : Progress, paradigms, and problems. In G. P. Sackett (Ed.), Observing behavior (Vol.7) : Theory and application in mental retardation (pp.69-94). Baltimore : University Park Press.
  90. Piaget, J. (1932).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ew York : Harcourt Brace Jovanovich.
  91. Pollard, J. A., Hawkins, J. D., & Arther, M. W. (1999). Risk and protection : Are both necessary to understand diverse behavioral outcomes in adolescence? Social Work Research, 23(3), 145-158. https://doi.org/10.1093/swr/23.3.145
  92. Rowlison, R. T., & Felner, R. D. (1988). Major life events, hassles and adaptation in adolescence : confounding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and adjustment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3), 432-444.
  93. Ruble, D. N., Boggiano, A. K., Feldman, N. S., & Loebel, J. H. (1980). Developmental analyses of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in self-evalu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6, 105-115.
  94. Rutter, M. (1987).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 In J. Rolf, A. Masten, D. Cichetti, K. Nuechterlein & S. Weintraub (Eds.), Risk and protectiv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pp.181-214).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Rutter, M. (1995) Psychosocial adversity : Risk, resilience and recovery. Southern Afric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7, 75-88.
  96. Sigel, I. E. (1985). A conceptual analysis of beliefs. In I. E. Sigel (Ed.), Parental belief system (pp.345-371).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7. Watson, D., & Clark, L. A. (1984). Negative affectivity : The disposition to experience aversive emotional states. Psychological Bulletin, 96, 475-490.
  98. Werner, E. E. (1989). High-risk children in young adulthood : A longitudinal study from birth to 32 year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9, 72-81.
  99. Werner, E. E., & Smith, R. S. (1983). Vulnerable but Invincible : A Study of Resilient Children. NY : McGraw-Hill.
  100. Youngs, B. (1995). 청소년 스트레스 이렇게 해결하라. 이일남(역). 서울 : 정성출판사.
  101. Zarski, J. J. (1984). Hassles and health : A replication. Health Psychology, 3, 243-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