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f Experience of Pumasi Child Rearing of Housewives with Infants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품앗이육아공동체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Received : 2009.09.05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experiences of housewives with infants' Pumasi child rearing community(i.e, communal child rearing community). A concrete context of pumasi child rearing of housewives with Infants was found.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ackgrounds of participation in pumasi child rearing community are isolated condition of child rearing and housewives' needs to find way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Pumasi child rearing communities give meaningful experiences. They meet the developmental needs of both mothers and children and also provide various parenting models and skills, give a high value to individual child rearing, develop an everyday life community and strengthen the health of commun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아. (2008). 예비부부의 결혼준비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은. (2008). 취업모의 첫 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명화. (2005). 공동육아의 대안교육모델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3.
  5. 김정희. (2000). 핵가족 어머니 육아와 품앗이 공동육아: 중간계층 어머니와 아이의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6(1), 95-129
  6. 김현옥. (2008). 지역화폐운동에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 송파품앗이와 한밭레츠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2(1), 85-107.
  7. 노영주. (1998). 초기 모성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8. 류경희, 김순옥. (2000).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대안적 가족형태로서의 가능성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19-151.
  9. 류경희, 김순옥. (2001). 공동육아협동조합 가족의 공동체성 형성과정 -조합형 어린이집 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대한가정학회지, 39(3), 107-133.
  10. 박재환, 일상성. 일상생활연구회 편저. (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한울.
  11. 변혜정. (1992). 임신에서 초기양육까지의 어머니 일 수행경험으로 인한 '어머니'로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손승아. (2000). 첫 어머니 됨의 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송영숙, 김영주. (2008).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81-203.
  14. 신경림. (2001). 현상학적 연구. 서울: 현문사.
  15. 신경아. (1998). 한국 여성의 모성 갈등과 재구성에 관한 연구: 30대 주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신경아. (1999). 1990년대 모성의 변화: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심영희, 정진성, 윤정로. (공편), 모성의 담론과 현실- 어머니의 성.삶.정체성. 나남출판.
  17. 심영희. (1999). '자식바라기' 어머니의 전통성과 성찰성. 심영희, 정진성, 윤정로.(공편), 모성의 담론과 현실-어머니의 성.삶.정체성. 나남출판.
  18. 안지영, 박성연. (2002).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 53-69.
  19. 원정선. (1989). 부모됨의 전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경혜. (1982). 산욕기 산모의 어머니 역할에 대한 인식과 간호요구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2(2), 67-79.
  21. 이부미. (1999).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정원, 이윤진. (2008). 유치원과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의 육아실태 분석. 육아정책개발센터.
  23. 이종수. (2008). 한국사회와 공동체. 다산출판사.
  24. 이지순. (1982). 첫아이 출산 후 부부가 지각한 가족의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창호. (1998). 공동육아협동조합 조합원의 참여과정과 집단정체성의 형성 -한 조합형 어린이집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혜란. (1984). 부모역할로의 전환에 따른 어려움 및 만족도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임우연. (1995).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부모참여 과정에 관한 연구 -신촌, 청주지역 공동육아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병호. (1994). 공동육아 운동론. 함께 크는 우리아이.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29. 정진경. (1994). 고립된 엄마- 중산층 전업주부의 육아상황과 정신건강. 공동육아연구회 편. 함께 크는 우리아이.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30. 조영숙. (200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 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련성 탐색.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조주연. (2001). 출산기 여성의 산후경험.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조한혜정. (2006). 토건국가에서 돌봄사회로 - 여성네트워크 의한 새로운 인프라 만들기. 조한혜정, 허라금, 모현주, 이충한.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33. 차현진. (1997). 공동육아 어린이집 나들이 활동의 교육적 의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한송이. (1997). 새로운 보육형태인 '공동육아'에 관한 연구 -공동육아 부모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허라금. (2006). 돌봄의 사회화. 조한혜정, 허라금, 모현주, 이충한.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도서출판 또하나의 문화.
  36. Simmel, G. (1950). The Socialogy of Georg Simmel. 박재환,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 편저 (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