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ing Conceptions of Voluntee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Diverse Perspectives

예비 유아교사의 전공 관련 봉사학습의 의미 탐색

  • Ahn, Hyo-Ji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niversity of InCheon)
  • 안효진 (인천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0.04.06
  • Accepted : 2010.05.2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how volunteering to hel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conceptualiz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ree parties involved;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professors, and principals as well as teachers, and children‘s mothers from a local daycare center and a kindergart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journals, interviews, and several other artifacts, such as student portfolios, and letters from mother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fined voluntary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service that requires motivation and responsibility, and as an activity that helps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teachers. Secondly, university professors constructed the system for service learning activities and help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nge the view from volunteering activity to volunteering learning. Thirdly, the local community referred to thes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artnerships made fo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childc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scribe the perspectives of parties involved and may be helpful in planning and executing specialized volunteer projects as well as in understanding volunteer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철, 김은정, 배예경. (2008). 유치원포트폴리오 평가수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327-348.
  2. 김계현, 김혜란, 손진희, 이상균, 이지수. (1995). 서울대학생의 학업성취 과정. 학생연구, 30(2), 18-37.
  3. 김명순, 정미라, 배선영, 이영신, 이민주. (2008). We Start 유아용 기관방문 교육프로그램. 경기도.
  4. 김범수, 권선진, 손병돈, 신승연, 신은주, 이종복. (2004). 자원 봉사의 이해. 서울: 학지사.
  5. 김수욱, 오재연. (2006). 도시와 농촌지역의 가정 문해환경 및 유아의 읽기 능력 비교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92-110.
  6. 김수욱, 오재연, 남민우. (2008). 도시와 농촌지역 유아 어머니의 교육지원활동 비교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40(4), 165-189.
  7. 김욱, 송미영. (2006). 대학생의 자원봉사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3(6), 329-359.
  8. 김용우. (1993). 농어촌 소규모 중등학교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 93-10.
  9. 남경현. (1977). 자원봉사: 한국사회복지 총람. 서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0. 로저스, 라이트 & 바니키, 레스리. (2003). 초임교사를 위한 학습 공동체. 조부경, 백은주, 고영미 옮김 (2005). 서울: 양서원.
  11. 류기형, 남미애, 박경일, 홍봉선, 이경희, 장중탁. (2005). 자원봉사론. 서울: 양서원.
  12. 류나미, 최은희. (2007). 대학생이 경험하는 봉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4(2), 1-26.
  13. 박민서, 이순득. (2000). 대학 자원봉사 활동의 내실화를 위한 지도교수 및 교직원의 역할강. 화방안, 사회복지연구, 32(1), 59-74.
  14. 삼성사회봉사단. (1996). 자원봉사의 이해와 활동방법. 서울: 삼성사회봉사단.
  15. 서은희. (2009). 봉사-학습에서의 교수 경험이 여자대학생들의 성취 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3(3), 477-489.
  16. 서현. (2008).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어려움.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3-27.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13
  17. 안수향. (1992). 한국 대학생 자원 봉사의 동기 및 관리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안효진. (2006). 교육실습상황에서 실습교사들이 느끼는 갈등과 그 의미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5(3), 259-309.
  19. 오효선. (2001). 취학 전 유아의 조기 교육 실태조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오필순. (1998). 도시, 농촌, 어촌 지역 유아의 가정 생활사 비교 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현숙. (2002). 도시와 농어촌 유아의 지적 능력에 대한 비교연구. 유아교육학논집, 6(2), 231-254.
  22. 이선주. (1996). 대학생의 자원 봉사 활동에 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소진. (2005). 대학생의 사회봉사 만족도 및 지속의사에 지도감독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승렬. (1999). 교사교육에서 포트폴리오의 개발과 활용. 한국교사교육, 17(1), 315-335.
  25. 장현. (1998). 대학사회봉사론. 서울: 형설출판사.
  26. 정계숙. (1989). 도시 농촌의 학습 준비도를 결정하는 생태학적 변인.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조용하. (2002). 대학생자원봉사활동의 이론적 고찰-봉사학습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9(3), 2242-265.
  28. 조운주. (2004). 유아교육 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 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5-25.
  29. 조휘일. (1995).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실천과 활동화 방안. 오늘의 청소년, 10(6), 18-21.
  30. 지성애. (1998). 농촌보육사업의 실태와 과제. 한국아동보육의 개혁과제와 방향모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49-73.
  31. 최원규. (2006). 대학전공학문연계 사회봉사활동 지원사업 총평 및 향후과제. 2006년 대학 전공학문연계 사회 봉사활동 결과보고서.
  32.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 (2008). 통계로 알아보는 200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ORM 2008-34).
  33. 한인영, 박형원, 김주현. (2005). 전공교육과 연계한 봉사학습의 효과 연구: 사회복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복지학, 57(3), 251-276.
  34. 홍승혜. (1995). 자원봉사활동의 동향과 과제: 한국 사회복지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35. 홍연숙. (2002). 대학생의 자원 봉사 활동 참여 동기 및 중단 원인에 대한 분석. 청소년 복지연구, 2(2), 3-30.
  36.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 Bass.
  37. Blyth, D. A., Satio, R., & Berkas, T. (1997). A Quantitative study of the impact ofservice-learning programs. In A. S. Waterman(Ed.). Service-Learning: Applications from the Research(pp. 39-56).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38. Cairn, R. (1995). Service-learning makes the grade. Educational Leadership, 56(6), 66-68.
  39. Caskey, O. L. (1991). Suggestive-Accelerative Learning and Teaching. New Jersey: Englewood Cliffs.
  40. Coles, R. (1993). The Call of Service: A Witness to Idealism.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41. Dube, E. F. (1982). Literacy, cultural familiarity and intelligence as determinants of story recall. In U. Neisser (Ed.). Memory Observed: Remembering In Natural Contexts. New York: Freeman.
  42. Eyler, J., & Giles, D. E. Jr. (1999). Where's The Learning In Service-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43. Gay, J., & Cole, M. (1967). The New Mathematics and An Old Culture. A Study of Learning Among the Kpelle of Liberia. New York: Holt. Rhinehart & Winston.
  44. Harkavy, I., & Benson, L. (1998). De-Platonizing and democratizing education as the bases of service learning. New Direc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73, 11-20.
  45. Jacoby, B. (1996). Servi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46. Kendall, J. C. (1990). Combining Service and Learning: A Resource Book for Community and Public Service. Raleigh, North Carolina: NSEE.
  47. Markus, G. B., Howard, J. F., & King, D. C. (1993). Integrating community service and classroom instruction enhances learning: Results from an experiment.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5(4), 410-419.
  48. Newmann, F. M., & Rutter, R. A. (1983). The Effects of High School Community Service Programs on Students' Social Development.(Final report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Washington, DC). Madison: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49. OECD (2004). Equity in Education: Policy brief.
  50. Robinson, G. (1999/2000). Stepping into our destiny: Service learning in community colleges. Community College Journal, 70(5), 8-12. (EJ 597 669)
  51. Sachs, J. (2003). The Activist Teaching Profess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52. Schindler-Rainman, E., & Lippltt, R. (1977). Toward interagency collaboration, Volunteer Administration, 10(2), 123-145.
  53. Sheckley, B. G., & Keeton, M. T. (1997). Service Learning: A theoretical model. In J. Schine (Ed.). Service Learning: Ninety-six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I(pp. 32-55).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4.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55. Shulman, L. (1999). Taking learning seriously. Change, 31(4), 11-17.
  56. Spradley, J. (1980).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Cited by

  1. The Effect of Service-Learning on Trainee Play Therapists and Preschoolers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vol.39, pp.4, 2018, https://doi.org/10.5723/kjcs.2018.39.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