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On-line Content Evaluation Standards for Informatics Gifted Students

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평가 준거 개발

  • 김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이러닝학과) ;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7.01
  • Published : 2010.09.28

Abstract

Online content evaluation standards we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for informatics gifted students in this paper. This evaluation standards were developed by thinking and learning style and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which were presented in preceding research. The evaluation standards were review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s well a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items and validity analysis by experts of informatics gifted student education sector. In the result of analysis, reliability of items has been very reliable. Level of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tems has also shown satisfactory value. Developed the evaluation standards has 5 evaluation categories such as "talent development", "Interaction", and others. It also has 11 evaluation factors and 40 evaluation items. The online content evaluation standards can be helpful and useful in order to develop qualitative online contents and select online contents for informatics gifted student.

본 연구는 온라인 정보영재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온라인 콘텐츠 평가 준거를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정보영재의 특징과 사고양식, 학습양식의 특성을 기반으로 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평가 준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준거는 정보영재 전문가를 대상으로 문항 타당성 검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94로 신뢰롭게 나타났다. 그리고 문항 특성 부분인 변별도는 .53~.83이었고, 난이도에서도 만족할만한 결과 값을 보여주었다. 개발된 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평가 준거는 '재능개발', '상호작용' 등 5개 평가 영역, 11개 평가 요인, 40개 평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준거는 정보영재 온라인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온라인 교재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Y. B. Alexinia, Culturally diverse and underserved populations of gifted students, Corwin press, inc. 2004
  2. 성희진, 전미란 공역,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소외된 영재학생, 학지사, 2008.
  3. 이재호,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제16집, pp.369-384, 2004.
  4. 조석희, 영재교육백서, 한국교육개발원, 2004.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년도 이러닝 정책포럼(제6회) 자료집, 2006.
  6. A. Relan and B. B. Gillani, Web based Instruction and the traditional classroom: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B. H. Khan(Ed.), Web-Based Intruction. Englewood Cliff, NJ: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 1997.
  7. http://gifted.kedi.re.kr/ :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영재교육원.
  8. W. M. Stankowski, Definition. In R. E. Clasen & B. Robinson(EDS.), Simple gifts.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Extension, 1978.
  9. 김용, 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학습 도구(Learning Tools) 평가 준거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0. 이길복, 초등학교 정보영재를 위한 창의성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1. 신승용, 이산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한 정보영재판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윤성희, 정보영재의 사고양식에 따른 교수-학습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3. 임소혜, 중학교 영역별 영재와 일반학생 간의 사고유형 및 학습양식의 차이.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 김진철, 영재성.사고양식.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5. 임창재, 학습양식, 형설출판사, 1996.
  16. R. J. Sternberg, "Allowing for Think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Vol.52, No.3, pp.36-40, 1994.
  17. R. J. Sternberg, "Styles of Thinking and Learning," Language Testing, Vol.12, No.3, pp.265-291, 1995. https://doi.org/10.1177/026553229501200302
  18. 김용, "학습양식에 따른 정보영재와 일반아의 판별기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 제10권, 제1호, pp.9-16, 2007.
  19. 김용, "메타 분석을 통한 정보영재의 사고양식특성 추출", 2007 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제11권, 제2호, 2007.
  20. 나동진, 삼원지능, 사고양식, 학업성취의 간계에서 과학 영재와 일반학생의 구조적 차이. 교육심리연구, Vol.18, No.1, pp.115-130, 2004.
  21. 박완희, 학습양식의 진단검사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Vol.27, No.1, pp.29-51, 1988.
  22. 성태제, 신뢰도와 타당도, 양서원, 2004.
  23. 황영준, 사범대학 평가준거 개발 및 타당성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4. 김신영,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