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vacuation Safety Function of an Elderly Care Hospital

일개 노인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김종범 ((주)유탑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
  • 김자옥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 백은선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방학과)
  • Received : 2010.01.27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Recently, Korea is constantly increasing its elderly care hospitals, and requires establishment of general evacuation plan considering old people'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states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fire, and etc. In addition, because most of the facility users are patients under serious dementia and stroke, they feel difficulty evacuating by themselves, with differing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each walking status (bed, wheel chair, and various supplementary instruments), which is why it makes it difficult to have them all evacuate. This paper, in order to suggest data reference for designing on the basis of functionality, used various collected data utilizing Simulex to measure evacuation time through the model of elderly care hospital, a medical facility. During the study, several problems were found.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요양병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노인의 행동 특성과 신체 상태를 고려한 종합적인 피난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또한 시설 이용자의 대부분이 중증의 치매 및 뇌졸중을 앓고 있는 환자이기 때문에 자력으로 피난이 곤란하고 환자의 보행상태(침대, 휠체어, 각종 보조기구) 등에 따라 피난시간이 상이하여 이용자 전원을 피난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성능위주의 설계 시 참고가 될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의료시설인 노인요양병원을 모델로 여러 수집된 자료들로 Simulex를 이용하여 피난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시 되는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fpa.or.kr(한국화재보험협회)/화재사례집.
  2. 堀內三郞, "建築防火論", 朝倉書店, p.157(1979).
  3. 유희권, 김응식, 이정수, 김수영, 이필호, "한국 노인의 보행속도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p.411(2003).
  4. 東京消防廳 火災豫防蕃議會, "高齡者施設 を中心とした災害弱子施設の豫防安全對策に係る調査報告書", 東京消防廳, p.49(1993).
  5. 김응식, 이정수, 박성민, 유희권, "병원 피난에 관한 연구: Part II",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9, No.3, p.30(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