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Sensibility Image of Naturally Dyed Silk Fabric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감성 이미지

  • Yang, Young-A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
  • Yi, Eun-Jou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5.25
  • Accepted : 2010.06.2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hue-tone, dyes, and mordants of naturally dyed silk fabric on color sensibility image factors and to establish color sensibility image scales of naturally dyed silk fabric by color and image descriptors. By single or sequential dyeing with various natural dyes commercially available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 on the same silk fabric, a total of 66 colored fabric stimuli were prepared and they were used to evaluate subjective color sensibility image by 40 participants. As results, four different color sensibility image factors for naturally dyed silk fabric, 'delight', 'natural', 'modern' and 'attractive' were extracted. All of factor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hue-tone, dyes, and mordants. Furthermore, by using color sensibility image adjectives and colors, multidimensional image scales were established,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design color sensibility-oriented naturally dyed fabric and apparel products.

본 연구는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상과 톤, 염료 및 매염에 따른 색채감성 이미지 요인의 차이를 고찰하여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감성 이미지 스케일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국내 외 시판 천연염료로 단일 및 복합염색을 실시하여 얻은 대표적인 66개 색채의 동일한 견직물을 대상으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추출된 색채감성 요인 중에서 '유쾌성'은 Blue와 Green, vivid와 bright의 색채이거나, 치자황과 치자청, 황토, 홍화씨로 염색, 또는 알루미늄으로 매염하였을 때 강하게 인지되었으며, '자연성'은 Purple Blue, light, light grayish, pale의 색채, 또는 빈랑자, 오배자로 염색하였을 때 높게 평가받았다. '현대성'은 Green, Blue Green, Blue의 색채에서, 염료로는 생쪽과 치자청, 철 매염시에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매력성'은 Red, Red Purple, Purple과 dark, 염료로는 오배자, 랙, 꼭두서니, 매염제로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사용하였을 때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 특성과 감성 이미지 형용사 간의 관계에 의한 시각적 이미지 스케일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색채감성 지향 천연염색 직물 및 의류 제품의 기획 및 설계를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희, 송화순 (2000). 꽃을 이용한 천연염색 연구 II: 국화의 염색성 및 항균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2), 한국의류산업학회, 41-48.
  2. 김상율, 최미성 (2000). 황토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2), 한국의류산업학회, 118-122.
  3. 김재필, 이정진 (2003). 한국의 천연염료 -전통염료와 천연염색기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4. 박경순, 최인려, 배계인 (2007). 콩즙 처리 방법에 따른 천연염색포의 염색성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2), 한국의상디자인학회, 85-92.
  5. 송명견, 송은영 (2005). 녹차 염색포의 자외선 차단 효과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6), 한국의류학회, 745-752.
  6. 신윤숙, 최승연 (2007). 자외선에 의한 천연염색 견직물의 취화연구; 치자, 소목염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5), 한국의류학회, 659-669.
  7. 양영애, 바드마야보사르, 조주연, 이은주 (2009). 국내외 시판 천연염료를 활용한 실크 직물의 색채 라이브러리 분석 -색상/톤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5), 한국의류학회, 804-816.
  8. 이은주, 최종명 (2009). 황색과 적색계열 천연염색 직물에 대한 사십대 중년층 소비자의 색채감성요인. 감성과학, 12(1), 한국감성과학회, 109-120.
  9. 조현주, 이광훈, 정혜민 (2006). 쉽게 이해하는 색채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10. 최석철, 정진순, 전태일 (1999). 녹차 추출액 염색 견포의 천연 매염제 처리 효과(I).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1(3), 한국염색가공학회, 15-22.
  11. 최연주, 유효선, 권수애 (2005). 황색계 천연염색 견직물의 색채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6), 한국의류학회, 868-876.
  12. 한영숙, 이혜자, 김정희 (2005). 키토산 전처리가 감즙 염색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균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3(2), 대한가정학회, 115-126.
  13. I.R.I (1997). 한국인 색채감성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통상산업부.
  14. Choo, C. K. K. & Lee, Y. E. (2002). Analysis of dyeings produced by traditional korean methods using colorants from plant extracts. Coloration Technology, 118(1), 35-45. https://doi.org/10.1111/j.1478-4408.2002.tb00135.x
  15. Gulrajani, M. L., Srivastava, R. C., & Goel, M. (2001). Colour gamut of natural dyes on cotton yarns. Coloration Technology, 117(4), 225-228. https://doi.org/10.1111/j.1478-4408.2001.tb00066.x
  16. Lee, Y. H. & Kim, H. D. (2004). Dyeing properties and colour fastness of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Cassia tora L. extract. Fibers and polymers, 5(4), 303-308. https://doi.org/10.1007/BF02875529
  17. Murata, H., Mukoyoshi, I., Furukawa, I., & Kamino, Y. (2005). Purple-red dyeing of silk with leaves of the indigo plant. Journal of the Society of Fiber Science and Technology, 61(3), 78-80.
  18. Shin, Y., Son, K., & Yoo, D. I. (2008). Dyeing properties and color of silk fabrics dyed with safflower yellow dy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6), 928-934. https://doi.org/10.5850/JKSCT.2008.32.6.928
  19. Yi, E. & Cho, J. (2008). Color analysis of natural colorant - dyed fabric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3(2), 148-157. https://doi.org/10.1002/col.20390
  20. Yi, E. & Choi, J. (2008).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of Color Sensation and Preference for Naturally Dyed Fabrics, Fibers and Polymers, 9(5), 646-652. https://doi.org/10.1007/s12221-008-0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