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Knowledg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Youth

청소년의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Ahn, Ju-Hyeon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Lee, Yon-Suk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University)
  • 안주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 이연숙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0.04.05
  • Accepted : 2010.05.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knowledg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youth.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654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1)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youth were ne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source of environmental knowledge, level of perception on air pollution and scarcity of resources and energy, sex and total amount of allowance of students. These variables explained 20.5% of varianc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2)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ed variables were the best predictor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knowledge of environmental problem variables had limited predictive power. (3) Recommendations for teaching-learning strategies have been suggested to enhance youth'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school.

본 연구는 청소년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배경변인인 인구사회학적변인, 환경교육변인과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과 인식의 관계를 밝혀, 청소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학교교육에서의 환경교육방향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의 중 고등학생 6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방법,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환경친화적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환경교육 필요성, 환경정보 습득경로,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 성별, 학년, 용돈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들은 환경친화적 행동의 총분산을 20.5% 설명하고 있는데 환경 교육 관련변인군은 7.2%, 인구사회학적변인군은 6.8%, 환경문제 인식변인군은 5.4%, 환경에 대한 지식변인군은 1.1% 환경친화적 행동의 분산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할수록, 환경정보를 얻는 경로가 대중매체보다 친구와 환경단체인 경우, 대기 오염과 자원 및 에너지고갈에 대한 인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용돈수준이 낮을수록, 환경친화적 행동을 많이 보였다. 환경에 대한 지식은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반면, 환경교육관련 변인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은 환경친화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론위주의 환경교육보다는 청소년 스스로 경험을 통해 터득할 수 있도록 실생활과 연관성이 있는 실천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