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무등산 도립공원의 지질과 경관

  • Ahn, Kun-Sa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Collage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안건상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Received : 2010.03.16
  • Accepted : 2010.06.0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Mt. Mudeung is located in Gwangju city, Damyang-Gun, Hwasun-Gun and its round form give us the mood of soft and rich. Its location is $126^{\circ}06'-127^{\circ}01'E$ and $35^{\circ}06'-35^{\circ}10'N$ and its highest peak is Cheonwang-bong with the height of 1,187 m. The Gwangju city is located in the West of Mt. Mudeng and the mountain range with a small basin in its East. The pavilion such as the Soswaewon, Songganjeong, Sigyongjeong are distributed along the stream in the north of Mt. Mudeung. The mountain is formed from the volcanic activity, Gwangju cauldron during the Cretaceous. The top part of Mt. Mudeung is composed of dark gray quartz-andesite and its K-Ar whole rock age is $48.1{\pm}1.7Ma$. The composition of the north area, where the Wonhyosa temple is located, is micrographic granite, whereas the composition of south area is rhyolite mainly. The main ridge of Mt. Mudeung runs from North, starting from the Bukbong, to south, passing Cheonwangbong, Jangbuljae and ending Anyangsan. Geologic feature of the mountain includes volcanic landform, mountaineous landform, and stream landform. The Seosukdae, Ipseokdae, Gyubongam, which are main ridges and formed from volcanic activity, are composed of mainly columnar joint. Saeinbong and Majipbong in the south-west are composed of mainly cliff and dome. The typical erosion landform of the mountain has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weathering-cave, each of which reflect the property of the original rock. Four different area of wide block stream, they makes the geological feature of spring-water, though its scale is small compared to that of water fall.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담양, 화순에 걸쳐있으며, 형상이 둥글고 부드러워 넉넉한 느낌을 갖게 해준다. 무등산은 동경 $126^{\circ}06'-127^{\circ}01'$, 북위 $35^{\circ}06'-35^{\circ}10'$에 위치하며, 최고봉인 천왕봉의 높이는 1,187 m이다. 무등산 서측은 광주광역시가 자리하는 평야지대이며, 동측은 좁은 분지를 가진 산악지대이다. 무등산 북쪽의 하천을 따라, 소쇄원, 송강정, 식영정 등의 유명한 정자들이 분포한다. 무등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광주함몰대의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다. 무등산의 정상부는 암회색을 띠는 석영안산암이 분포하며, 주상절리를 이루는 이 암석의 K-Ar 전암연령은 $48.1{\pm}1.7Ma$이다. 북측의 원효사 부근은 미문상화강암이, 남서측은 유문암이 분포하여 풍화양상이 매우 다르다. 무등산의 주능선은 남북방향으로 북봉에서 천왕봉, 장불재를 거쳐 안양산으로 이어진다. 무등산의 지형은 크게 화산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능선을 이루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암은 화산지형인 주상절리이며, 남서부의 새인봉과 마집봉에는 산지지형인 암석단애와 암석돔(새인봉), 판상절리가 발달한다. 무등산에는 산지지형 중 침식지형에 해당하는 세 가지 형태의 풍화동굴이 발달하는데, 이들은 각각 원암의 특성을 반영한다. 무등산에 넓게 발달한 네 지역의 너덜은 산지지형인 퇴적지형에 속한다. 무등산은 암괴류의 발달로 폭포의 발달은 미약하나, 용천이 잘 발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동희, 2002, 화강암지형의 세계(池田 碩, 이케다 히로시저), 도서출판 한울, 200p.
  2. 김규봉, 이병주, 황상구, 1990, 한국지질도 광주지질도폭 및 설명서(1:5만),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5p.
  3. 김봉균, 박병권, 1966, 한국지질도 동복지질도폭 및 설명서(1:5만), 상공부 국립지질조사소, 30p.
  4. 김용준, 박재봉, 박병규, 2002, 무등산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1, 214-233.
  5. 김창환, 2009, 한국에서의 지오파크 활동과 지리학적 의미, 한국지형학회지, 16(1), 57-66.
  6. 김현수, 2005, 무등산의 산지 지형 특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선홍, 1997, 무등산, 도서출판 금호.
  8. 원종관, 이문원, 김광호, 홍국영, 우준기, 이재만, 1990, 순창함몰대에서의 백악기 화산활동에 관한연구 -경상분지 및 서남일본 내대와의 비교-. 지질학회지, 165-284
  9. 유정아, 1998, 한반도 30억년의의 비밀; 3부-불의 시대, 푸른숲, 223p.
  10. 진명식, 신홍자, 권석기, 2005, 한반도의 화성암과 화성활동,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0p.
  11. 차문성, 윤성효, 1988, 한반도의 화산함몰구조 및 환상복합 암체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24(특별호), 67-86
  12. 渡辺眞人, 2008, 動き始めた日本のジオパク活動, 地理, 53(9), 26-31.
  13. 웹사이트 사진출처 http://blog.daum.net/bubugiki/7048906: 부부지기
  14. http://blog.daum.net/mdscom/7283860: 남도의 자연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