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on Applying FMEA to Evaluate the Safety of Tangible Game - Focusing on Wii Accident Cases -

FMEA를 활용한 체감형게임 안전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wii 사고사례를 중심으로 -

  • Kim, Woo-Ri (Dept. of Visual 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Ryu, Seoung-Ho (Dept. of Visual Cul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우리 (강원대학교영상문화학과) ;
  • 유승호 (강원대학교영상문화학과)
  • Received : 2010.05.26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20

Abstract

This paper research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MEA that estimates and eliminates the failure modes into the measurement of tangible game's safety. Tangible game with actuation makes unexpected accidents for the game users. And this article tried to give risk priority number to 2 categories, game device and physical injuries using FMEA method. The result showed that TV and Hand laceration and/or bruise were revealed as the most risky factors among the other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FMEA can present integrated, quantitative and coherent measurement for the safety of tangible game.

본 논문은 제품의 고장모드를 예측하고 제거하는 FMEA를 체감형게임의 안전성 평가척도에 적용함으로써 체감형게임의 사용가능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논문이다. 체감형게임이 제공하는 작동화된 인터랙션이라는 특징 때문에 사용자들은 예상치 못한 사고들을 겪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Wii 사고사례들 중 게임기기와 신체상해부위의 두 가지 분류 내의 위험요인(고장모드)들을 FMEA를 사용해 우선순위를 매겨보았다. 그 결과 게임기기에서는 TV가, 신체상해 부위에서는 손열상 및 타박상이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FMEA를 활용한 체감형게임 안전성 평가모델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안정성 평가 순위를 제공하고, 상이한 체감형게임 기기들 간의 일관성 있는 평가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형, "동적 환경을 활용한 핸드헬드 증강현실 게임시스템",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2007.
  2. P. Milgram, H. Takemura, A. Utsumi, F. Kishino, "Agumented Reality: A class of displays on the reality-virtuality continuum", Telemanipulator and Telepresence Technologies, Vol. 2351, pp.282-292, 1994.
  3. R. J. Robionson, D. A. Barron, A. J. Grainger, R. Venkatesh, "Wii knee" Emergency Radiology, Vol. 15, No. 4, pp.255-257, 2008. https://doi.org/10.1007/s10140-008-0712-7
  4. Ishii, H. & Ulmer, B., "Tangible bits: towards seamless interfaces between people, bits and atoms." Proceedings of CHI' 97, pp.234-241, 1997.
  5. Ishii, H, "Tangible Bits: Beyond Pixel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angible and embedded interaction. pp.xv-xxv. 2008.
  6. Sparks. D, Chase. D, Coughilin. L, "Wii have a problem: a review of self-reported Wii related injuries", Informatics in Primary Care, Vol. 17, No.1, pp.55-57, 2009.
  7. Davide. R., Pietro. P., "Designing Continuous Multisensory Interaction", CHI Workchop, pp.3-9, 2008.
  8. Drew Rubin DC. CCSP. DACCP., "Triad of spinal pain, spinal joint dysfunction, and extremity pain in 4 pediatric cases of "Wii-itis": a 21st century pediatric condition", Journal of Chiropractic Medicine, Vol.9, No.2, pp.84-89, 2010. https://doi.org/10.1016/j.jcm.2010.02.003
  9. Andrew. F. D., Jennifer. F. R., "Product Safety: Liability, R&D, and Signaling",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85, No.5, pp.1187-1206, 1995.
  10. MIL-STD-882D, "Standard Practice for System Safety", US Department of Defense, Washington, DC, 2000.
  11. GPSD, Directive 2001/95/EC of 3 December on general product safety, 2001.
  12. 김준홍, 유정상, "퍼지 서비스 FMEA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설계",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31,vol.31, no.4, pp.162-167, 2008.
  13. 장중순, "효과적인 FEMA 실시 절차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관리학회지 제 4권, 제 4호, pp.69-77, 1999.
  14. 안인석, 정광태, "제품안전을 위한 디자인과정에서의 FMEA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pp.78-79, 2003.
  15. 정제명, "전문외상처치술", 대한의사협회지, 제 50권, 제 8호, pp.680-69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