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the Fire Hazard Evaluation through the Fire Simulation of an Apartment Fire Accident

아파트 화재 사례 전산모사를 통한 화재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전흥균 (대구보건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 최영상 (대구보건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 추홍록 (대구보건대학 소방안전관리과)
  • Received : 2010.05.03
  • Accepted : 2010.08.16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In this study, Fire Hazards were evaluat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using FDS program for an apartment fire accident. The results of fire simulation showed that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in the case of no sprinklers activation was 7,700 kW which was about 16 times of that in the case of sprinklers activation, 497 kW and there was a very high fire hazard due to the backdraft phenomenon when the door of fire room was forced to open. Regarding the hazard time of fire room temperature and detection time of detectors, available evacuation time was 32.5 seconds of minimum to 53.5 seconds of maximum. In the case of sprinklers activation, fire hazard in the apartment was showed to be very low due to the fire control by the spray cooling of sprinklers. This study shows that what a important function for fire safety is the activations of fire sprinkler system and emergency alarm system and what a large loss can cause if these systems don’t activate in fire accidents.

본 연구에서는 FD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파트 화재 사고에 대한 전산모사를 통하여 화재위험성을 평가하였다. 화재 전산모사 결과, 스프링클러 미 작동 시 최대 열방출율은 7,700kW로써 스프링클러 작동시 최대 열방출율 497kW의 약 16배이며, 화재실의 문 강제 개방 시 역화현상의 발생으로 화재위험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화재실 온도의 위험도래시간과 감지기 작동 시간에 의한 재실자 피난 여유시간은 최소 32.5초와 최대 53.5초이다. 스프링클러 작동 시에는 냉각에 의한 화재제어로 아파트 실내의 화재위험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아파트 화재사고의 전산모사 결과를 통하여 소화설비 및 비상방송설비의 정상작동이 화재안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작동 불능 시 얼마나 큰 피해 손실을 초래하는지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화재보험협회, "방재와 보험", 한국화재보험협회, 통권136호, pp.74-75(2010).
  2. 서종달, "건축물현황도-고유번호 2729011 000-3-08130001", 대구광역시달서구청(2010).
  3. 조영진 외 2인, "감정의뢰 회보(2007-S- 3568) 대구 성서경찰서 경사 OOO 붙임-감정서",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남부분소(2009).
  4. $\bigcirc$$\bigcirc$, "당사자 본인 신문조서",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pp.226-235(2010).
  5. Kevin McGrattan, Simo Hostikka and Jason Floyd, "NIST Special Publication 1019-5 Fire Dynamics Simulator (Ver. 5) User's Guide", NIST(2009).
  6. 소방방재청,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KOFEIS 0301)", 소방방재청, 고시 제2009-31호 (2009).
  7. Bjorn Karlsson and James G. Quintiere, "Enclosure Fire Dynamics", CRC, pp.25-45(2002).
  8. 한정환,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재현 실험-아파트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화재감식학회 기술지, Vol.1, No.2, pp.123-129(2009).
  9. 남동군 외 1명, "공동주택의 화재조사-현장조사 및 연소실험에 의한 초기 화재확대과정 추정",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4, pp.120-129(2009).
  10. Charles A. Harper, "Handbook of Building Materials for Fire Protection", McGRAW-HILL, pp.1.37-5.5 (2004).
  11. Richard W. Bukowski and Morgan J. Hurley, "Fire Hazard Analysis Techniques", NFPA, Fire Protection Handbook, Section3, Chapter7, pp.121-134(2003).
  12. John H. Klote and James A. Milke, "Principles of Smoke Management", SFPE, pp.27-48(2002).
  13. Richard L. P. Custer and Brian J. Meacham, "Introduction to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SFPE & NFPA, pp.167-199(1997).
  14. John H. Klote and James A. Milke, "Principles of Smoke Management", SFPE, pp.17-18(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