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Adolescents' Adjustment at School -Focused on Mediation Effect of Self-resilience-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김경은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최은희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0.06.14
  • Accepted : 2010.08.1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study invesit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adolescents' level of adjustment at school. Participants were 479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Daejeon. Data were analysed by SPSS 12.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5.0.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family strength gives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Secondly, family strength is mediated by self-resilience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ird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two groups were not fou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 should expand the subjects of family and juvenile welfare, including general adolescents and general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family strength. In addition, programs such as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confidence elevation programs should be enacted to support elementary students' self-resilience.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문재우. (2005). 청소년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6(1), 283-315.
  2. 강정혜. (2009).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창실. (2008).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강희경. (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5. 고성희. (2009).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유형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기영. (200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성향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미록. (2006). 아동이 지각한 가족체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및 비합리적 신념 매개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미옥. (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대한 가족탄력성. 한국가족복지학, 8(8), 9-40.
  9. 김민정. (2005).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가정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삼순. (2008). 초기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유형에 대한 아동의 적응, 친구관계의 질,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희. (2002). 저소득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지, 13(1), 1-14.
  12. 김옥선. (2005). 초등학생이 인지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옥선, 오윤자, 최명구. (2005).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9(3), 761-777.
  14. 김형수, 조우홍. (2009).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 인문사회과학연구, 23, 61-90.
  15. 김혜래, 최승희. (2009). 가족건강성과 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0(1), 160-182.
  16. 남영자, 박태영. (2009).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연구. 청소년학연구, 16(4), 47-71.
  17. 류동훈. (1999).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학교생활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경옥. (2009). 중학생의 가정환경과 학교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민주, 황기아. (2007).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10(2), 43-51.
  20. 박상희. (2010).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학교적응 관계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박재산, 문재우. (2006). 청소년이 인지하는 가족내 갈등과 건강보호 행동으로서의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인과관계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3(2), 91-107.
  22. 배병렬. (2005).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서울: 청람출판사.
  23. 배정이. (2008). 중학생의 학교적응 관련 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8(3), 454-464.
  24. 서성진. (2008).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와 학교적응 수준에서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손민경. (2005). 청소년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및 행동문제가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송영경. (2006).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학교적응.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신나나, 도현심. (2000).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적응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7(1), 99-113.
  28. 어은주, 유영주. (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29. 유계숙. (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30. 유순화. (2008). 중학교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학연구, 15(7), 157-180.
  31. 유영주. (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32. 유은애. (2008).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가 자아탄력성을 통해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검증. 교육심리 연구, 18(1), 393-408.
  34. 윤혜미, 김혜래, 신영화. (2005). 아동복지론. 서울: 청목출판사.
  35. 이성휘. (2009). 빈곤가정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예승. (2004). 총소년의 학교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혜경. (2009).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부적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임수경, 이형실. (2007).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교육학회지, 19(3), 169-183.
  39. 임정아. (2005).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임정아, 이인수. (2006).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아동교육, 15(2), 37-62.
  41. 조계연. (2006).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가정환경(부모의 양육태도, 가족건강성)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조계연, 이은희. (2007). 초기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한국청소년연구, 18(1), 79-106.
  43. 조은정. (2008).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교사, 친구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5(6), 299-322.
  44. 최상미. (2003).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문화와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에 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한연민. (2010).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Beavers, W. R., & Hampson, R. B. (1990). Successful Families. New York: Norton.
  47.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48. Epstein, N. B., Bishop, D. S., Ryan, C., Miller, I., & Keitner, G. (1993). The McMaster model of family functioning. In F. Walsh(ed.). Normal family processes, (pp.138-160). New York: London
  49.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Journal of Psychiatry, 56(3), 127-136.
  50. Krysan, M. B., Moore, K. A., & Zill, N. (1990). Identifying Successful Families: An Overview of Constructs and Selected Measures. Washington, DC: Child Trends, Inc.
  51. Kumper, K. L., & Alvarado, R. (1995). Strengthening Families to Prevent Drug Use in Multi-ethnic Use. University of Utah, Health Education Department.
  52. Olson, D. H. (1996). Clinical assessment and treatment using the circumplex model. In F. W. Kaslow (ed.). Handbook in relational diagnosis, (pp.59-80). New York: Wiley.
  53. Olson, D. H., & DeFrain, J. (2003). Marriages and Families. New YorK: McGrawHill.
  54. Otto, H. (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1), 77-81. https://doi.org/10.2307/348232
  55. Rutter, M. (1985). Family and school influences on behavioral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6(2), 349-368.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5.tb01938.x
  56. Rutter, M (1987).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1), 316-331. https://doi.org/10.1111/j.1939-0025.1987.tb03541.x
  57. Springer, J. F., Wright, L. S., & McCall, G. G. (1997). Family interventions and adolescent resiliency: The southwest Texas state high-risk youth program.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5(3), 435-452. https://doi.org/10.1002/(SICI)1520-6629(199709)25:5<435::AID-JCOP5>3.0.CO;2-R
  58. Stinnett, N., & DeFrain, J. (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59. Werner, E. F., & Smith. R. S. (1992). Overcoming the Odds: High Risk Children to Birth to Adulthood.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Cited by

  1. The Relations among Stress,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High School Girl Students vol.13, pp.10,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660
  2.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Married Women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Family of origin and Family Strength - Focused on Family Differentiation and the Family Rules - vol.21, pp.2, 2012, https://doi.org/10.5934/KJHE.2012.21.2.181
  3. The Effects of Family Differenti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Marital Communic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vol.31, pp.6,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6.23
  4. The Effects of Children's Resilience, Mothers' Parenting Style, and Family Strength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ol.26, pp.1, 2014,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1.59
  5. The Effects of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Perceive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vol.32, pp.4,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4.57
  6. Effects of Quality of Life, Family Strength, Self-Resili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vol.15, pp.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