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주행 실험을 통한 VMS 교통정보의 이용자 심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iver's Psychological Responses to VMS Traffic Information Using Driving Simulator

  •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홍지연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정성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황정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투고 : 2010.04.16
  • 심사 : 2010.05.26
  • 발행 : 2010.06.30

초록

가변전광표지판(VMS)은 교통정보제공 서비스 매체중 가장 이용자가 많고, 정부기관에서 제공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매체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VMS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VMS 교통정보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주행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인 VMS설치위치에 관한 스트레스 지수분석 결과 출구 1.5km전 일때 가장스트레스가 적게 나타났다. 이는 국토해양부 VMS운영지침에서 도시부 고속도로의 경우 VMS정보는 출구 1~2km전에 제공해야 한다는 항목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며 이용자의 심리상태를 고려하여 보다 더 정확한 제공거리를 산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시나리오인 VMS정보제공 내용(소통정보, 시간정보, 속도정보)에 관한 스트레스 지수분석결과 시간정보가 가장 스트레스가 적게 나타났다. 제공한 정보 내용이 비교적 장거리(가양${\rightarrow}$천호 약 28km)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속도나 소통에 대한 정보는 운전자들이 경로선택을 위해 고민을 해야 하지만 시간정보는 걸리는 시간을 바로 알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자들의 심리적 반응측면에서 출구 1.5km전에는 정보를 주는 것이 좋고, 시간정보를 다른 정보내용보다 쉽게 받아들이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variable message sign(VMS) is a representativ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medium which has the largest users and is provided and operated by a governmental agency. In this paper, we focused on psychological responses of individuals who use VMS traffic information in the light of the need for VMS to provide user-oriented service. A total of t재 scenarios were plotted to conduct our experiment on a virtual test track. A stress index analysis on VMS location, the first scenario, showed the lowest stress value at the point of 1.5 kilometers before the exit. A stress index analysis on the contents of VMS information (communication, time, and speed), the second scenario, showed the lowest stress value at time inform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ITS코리아(http://www.itskorea.or.kr), ITS 정의
  2. R. Fuller and J. A. Santos, Human Factors for Highway Engineering, Pergamon, 2002.
  3. 김태형,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한 VMS메시지 판독시간모형 개발," 한국ITS학회논문지, 제6권, 제3호, pp. 24-32, 2007. 6.
  4. 송태진, "운전자 인적요인을 고려한 PVMS 메시지 판독특성 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 25-35, 2008. 8.
  5. 김남선, "고속도로 VMS Message Set연구 및 이용자 선호도 평가," 한국ITS학회논문지, 제8권, 제4호, pp. 1-13, 2009. 8.
  6. 김태호, "고속도로 유출지점 경로안내용 도로전광표지의 설치위치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10권, 제1호, pp. 101-113, 2008. 6.
  7. 도철웅, "차량시뮬레이터 및 아이카메라를 이용한 도로안전성 평가기법 개발," 한국도로학회지, 제7권, 제4호, pp. 185-202, 2005. 12.
  8. 정순철, "동적 시뮬레이터에서 속도와 운전 형태 변화에 따른 운전자의 감성평가,"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24권, 제65집, pp. 51-63, 2001. 11.
  9. 홍지연, "VMS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모형 개발," 한국ITS학회지, 제8권, 제3호, pp. 11-19, 2009. 6.
  10. C. L. Dudek, S. D. Schrock, and G. L. Ullman, "Impact of using dynamic features to display message signs," FHWA, Aug.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