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culturative Stress and Mental Health of Korean Women Living in UK

해외이주 한인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재영 한인 여성을 중심으로

  • 박형원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6.07
  • Accepted : 2010.08.12
  • Published : 2010.08.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mental health(depression) of Korean women living in Britai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soci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s level. 152 Korean women'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frequency, correlation, ANOVA. Analysis revealed tha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level was 2.50(moderate) and 1.66(slightly low) respectively. Acculturative stress level showed correlation with depression level.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cculturative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esidence period in Britain, marriage and economic stat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also different from job and economic state. The group which has frequent relationships with British and high level of social supports showed low acculturative stress. The group has high level of social supports also showed low depress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cerns and interventions about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of Korean immigrant women and community services for the new immigrant women to improve their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본 연구는 해외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적 관계 및 사회적 지지 요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자 영국에 거주하는 15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변인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5점 척도 기준에서 2.50으로서 중간 정도수준이었으며, 우울은 4점 척도에서 1.66으로서 중간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영국거주기간, 결혼상태, 경제적 상황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유무, 경제상태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현지인과의 관계빈도가 높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집단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은 우울수준도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이주 여성의 적응과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개입의 필요성, 이들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할 필요성과 함께, 새롭게 이주하여 문화적 전환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여성들에게 정착이나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된 지역사회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외교통상부, 외교통상업무 참고자료, 2010.
  2. K. H. Short and C. Johnston, "Stress, Maternal Distress, and Children's Adjustment Following Immigration: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5, No.3, pp.494-503, 1997. https://doi.org/10.1037/0022-006X.65.3.494
  3. C. L. Williams and J. W. Berry,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Vol.46, No.6, pp.632-641, 1991. https://doi.org/10.1037/0003-066X.46.6.632
  4. 이소래,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5. Kou, Ben C. H, Chong, B. and Joseph, Justine, "Depression and its Psychosocial Correlates Among Older Asian Immigrants in North America; A Critical Review of Two Decades' Research,"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20, No.6, pp.615-652, 2008. https://doi.org/10.1177/0898264308321001
  6. 오성희, 이민자들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계 호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7. 권복순, "한국어 능력, 자아존중감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베트남, 필리핀, 중국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2호, pp.5-32, 2009.
  8. 노하나,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9. 홍미기,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0. 김영희, 최명선, 이지항, “뉴질랜드 거주 조기 유학생의 생활실태와 사회적 지원방안”,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1호, pp.55-84, 2006.
  11. 김경화, “재미(在美) 기러기 어머니의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4호, pp.211-239, 2010.
  12. 이인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C. I. Yeh, "Age, Acculturation, Cultur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Symptoms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Immigrant Youth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Vol.9. No.1, pp.34-48, 2003. https://doi.org/10.1037/1099-9809.9.1.34
  14. 이승종,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5.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37-168, 2009.
  16. 김오남,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2권, 제3호, pp.47-73, 2007.

Cited by

  1. Foreign Workers' Acculturative Stress in Korea Society vol.14, pp.8,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832
  2. Acculturative Stress, Resilience, and Depression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vol.19, pp.3,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3.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