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mulation of Flood Inundation of Namdae Stream with GIS-based FLUMEN model

GIS 기반 FLUMEN 모형을 이용한 남대천 홍수범람 모의실험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 지적부동산과) ;
  • 최연웅 (조선이공대학 토목건설과)
  • Received : 2010.04.06
  • Accepted : 2010.06.0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simulated flood inundation each frequency rainfall using GIS spatial information and FLUMEN model for part of Muju-Namdae Stream. To create geomorphology for the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Triangle Irregular Network(TIN) was constructed using GI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based on digital topographic map and river profile data, unique data source to represent real topography of the river areas. And also flood inundation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levee collapse to consider extremely flood damage scenarios. As the analysis of result, the inundation area in the left levee collapse showed more high as 3.13, 3.69, and 4.17 times comparing with one of right levee for 50, 100, and 200 year frequency rainfall and showed 1.00, 2.15, and 3.34 times comparing with one of right levee in the inundation depth with over 1.0 meter, which can cause casualties. As the analysis of inundation area of the inundation depth with over 1.0 meter, which can cause casualties in left levee collapse, it increased more high as 263% and 473% when 50 year frequency change into 100 and 200 year frequency. Also As the analysis of inundation area of the inundation depth with over 1.0 meter in right levee collapse, it increased high as 123% and 142% when 50 year frequency change into 100 and 200 year frequency. Especially, the inundation area of the inundation depth with 3.0~3.5m showed more high as 263% and 489% when 50 year frequency change into 100 and 200 year frequency. It is expected that flood inundation map of this paper could be important decision making data to establish land use planning and water treatment measures.

본 연구에서는 무주남대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GIS 공간정보와 FLUMEN 모형을 이용하여 빈도별 홍수범람을 모의하였다. 홍수범람해석을 위한 지형을 생성을 위해 수치지형도와 하천구간의 실제지형을 표현하는 종횡단측량 자료를 기반으로 GIS 공간보간법을 이용하여 불규칙삼각망을 구축하였으며, 극한의 홍수피해 시나리오를 고려하기 위해 제방 붕괴에 따른 홍수범람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좌안은 넓은 농경지의 영향으로 우안에 비해 50년, 100년, 200년 빈도에서의 침수면적이 각각 3.13배, 3.69배, 4.17배 높게 나타났으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1.0m 이상의 침수지역에서는 각각 1.00배, 2.15배, 3.34배로 나타났다. 좌안의 제방 붕괴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1.0m 이상의 침수면적을 분석한 결과, 홍수량이 50년 빈도에서 100년과 200년 빈도로 증가시 침수면적이 각각 263%와 473%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우안 파제시에는 1.0m 이상의 침수심면적이 홍수량이 50년 빈도에서 100년과 200년 빈도로 증가시 침수면적이 각각 123%와 142%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3.0~3.5m의 침수면적은 각각 263%와 489%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홍수범람도는 토지이용계획 및 치수대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의사결정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만, 박민지, 김상호, 김성준, 2007, "홍수범람 해석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7권 제6B호, pp.815-819.
  2. 김민석, 2005, 황구지천 인접지역의 홍수지도 작성을 위한 범람모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경대학교.
  3. 김훈, 2004, 지역빈도 강우자료와 HEC-RAS를 이용한 농지침수지역 추정,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 배용훈, 고덕구, 조용식, 2005, "FLUMEN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8권 제5호, pp.355-364.
  5. 복정수, 2007, 수치모형을 이용한 교량에 의한 수리학적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6. 백형조, 이현석, 이용곤, 고덕구, 2006, 내수침수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범람 비교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206-1210.
  7. 윤석화, 2006, FLUMEN 모형에 의한 군장지구단지 개발에 따른 홍수범람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8. 이근상, 전형섭, 임승현, 조기성, 2002, "GIS 기반 Voronoi Diagram을 이용한 하천인식 DEM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 GIS학회지, 제10권, 제3호, pp.439-453.
  9. 이근상, 채효석, 조기성, 2003, "DEM 표준오차를 고려한 TIN 구축의 효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GIS 학회지, 제11권, 제1호, pp.23-31.
  10. 전라북도 무주군, 2001, 남대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11. 정대진, 2007, FLUMEN 모형에 의한 갑천과 유등천 합류부 흐름특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2. Beffa, C., 2004, FLUMEN User Manual, http://fluvial.ch.
  13. Brett F. Sanders., 2007, "Evaluation of on-line DEMs for flood inundation modeling",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30, pp.1831-1843. https://doi.org/10.1016/j.advwatres.2007.02.005
  14. Chen, J. and Hill, A. A., 2007, "Modeling urban flood hazards: just how much does DEM resolution matter", Applied Geography Conference, Vol.30, pp.372-379.
  15. Horritt, M. S., 2000, "Calibration of a 2-dimensional finite element flood flow model using satellite radar imager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36, No.11, pp.3279-3291. https://doi.org/10.1029/2000WR900206
  16. Horritt, M. S. and Bates, P. D., 2001, "Effects of spatial resolution on a raster based model of flood flow", Journal of Hydrology, Vol.253, pp.239-249. https://doi.org/10.1016/S0022-1694(01)00490-5
  17. Horritt, M. S. and Bates, P. D., 2002, "Evaluation of 1D and 2D numerical models for predicting river flood inund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268, pp.87-99. https://doi.org/10.1016/S0022-1694(02)00121-X
  18. Horritt, M. S., 2006, "A methodology for the validation of uncertainty flood inundation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326, pp.153-165.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10.027
  19. Jian Chen, Arleen A. Hill, and Lensyl D. Urbano, 2009, "A GIS-based model for urban flood inund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373, pp. 184-192. https://doi.org/10.1016/j.jhydrol.2009.04.021
  20. Pappenberger, Beven K, Horritt, M. S., and Blazkova S., 2005, "Uncertainty in the calibration of effective roughness parameters in HEC-RAS using inundation and downstream level observa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302, pp.46-69. https://doi.org/10.1016/j.jhydrol.2004.06.036
  21. Schunmann, G., Matgen, P., Hoffmann, L., Hostache, R., Pappenberger, F., and Pfister, L., 2007, "Deriving distributed roughness values from satellite radar data for flood inundation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Vol.344, pp.96-111. https://doi.org/10.1016/j.jhydrol.2007.06.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