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struction of 3D Spatial Imagery Information of Dam reservoir using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LiDAR와 MBES를 이용한 댐 저수지 3차원 공간영상정보 구축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 지적부동산과) ;
  • 최연웅 (조선이공대학 토목건설과)
  • Received : 2010.06.21
  • Accepted : 2010.08.20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three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f Dam reservoir area is very important part in Dam management work such as sediment survey, but it is difficult to acquire detailed terrain data because totalstation and single beam echo sounder are applied to terrain survey. This study presented method to construct detailed terrain data of Dam reservoir area using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First, LiDAR survey was carried out in land zone and calibration process was applied by ground control point. And also the DEM of land zone was constructed by using algorithm, which eliminated building and vegetation class. As the result of validation of LiDAR DEM using GPS terrain survey,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terrain data that was satisfied with the tolerance error of LiDAR, which was the standard error of LiDAR DEM showed as 0.108m. Also multi beam echo sounder was applied to the survey of water zone and it could construct spatial information that was satisfied with bathymetry surveying tolerance error of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by validation with terrain survey data. And LiDAR and multi beam echo sounder data were integrated and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ree dimensional spatial imagery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Dam management work such as the estimation of sediment amounts or the monitoring of terrain change by linking with high resolution orthophoto.

최근 댐 저수지 주변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은 퇴사량 조사와 같은 댐 관리 업무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 기존에는 지형측량을 위해 토탈스테이션과 단빔음향측심기(SBES)를 사용한 관계로 정밀한 지형자료 취득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LiDAR와 멀티빔음향측심기(MBES)를 이용하여 댐 저수지 주변의 정밀 지형자료를 구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육상부에 대해 LiDAR 측량을 수행한 후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건물이나 수목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육상부의 DEM 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LiDAR DEM을 GPS 지형측량과 검측한 결과 표준오차는 0.108m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LiDAR 허용오차를 만족하는 3차원 지형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저수지에 대해서는 MBES를 수행한 후 지형측량과의 검측과정을 통해 IHO의 수심측량 허용오차 기준을 만족하는 지형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LiDAR와 MBES 측량자료를 통합한 후 고해상도 정사영상지도와의 연계를 통해 퇴사량 예측 및 지형변화 모니터링 등과 같은 댐 관리 업무에 활용 가능한 3차원 공간영상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ndrej Kobler, Norbert Pfeifer, Peter Ogrinc, Ljupco Todorovski, Kristof Ostir and Saso Dzeroski, '2007, "Repetitive interpolation: A robust algorighm for DTM generation from Aerial Laser Scanner Data in forested terrai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08, pp. 9-23. https://doi.org/10.1016/j.rse.2006.10.013
  2. Costa B. M, Battista T. A. and Pittman S. J., 2009, "Comparative evaluation of airborne LiDAR and ship-based multibeam SoNAR bathymetry and intensity for mapping coral reef ecosystem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3, pp.1082-1100. https://doi.org/10.1016/j.rse.2009.01.015
  3. Dick G. Simons and Mirjam Snellen, 2009, "A Bayesian approach to seafloor classification using multi-beam echo-sounder backscatter data", Applied Acoustics, vol. 70, pp.1258-1268. https://doi.org/10.1016/j.apacoust.2008.07.013
  4. Ole Arve Misund and Janet Coetzee, 2000, "Recording fish schools by multi-beam sonar: potential for validating and supplementing echo integration recordings of schooling fish", Fisheries Research, vol. 47, pp.149-159. https://doi.org/10.1016/S0165-7836(00)00166-1
  5. Thierry Schmitt, Neil C. Mitchell and A. Tony S. Ramsay, 2008, "Characterizing uncertainties for quantifying bathymetry change between time-separated multibeam echo-sounder survey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8, pp.1166-1176. https://doi.org/10.1016/j.csr.2008.03.001
  6. 김연수, 2005. "S&MBES를 이용한 연안측량 정확도 개선 방안 연구", 부경대학교 박사논문, pp.40-50.
  7. 김용철, 최윤수, 박병문, 2009, "해저지형 측량성과를 이용한 지구물리자료 비교분석", 한국GIS학회지, 제17권, 제1호, pp.89-102.
  8. 김준식, 최윤수, 박선미, 강문권, 2009, "해저시설물 조사성과의 정확도 제고", 한국GIS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03-115.
  9. 박요섭, 2004, "다중빔 음향소해탐사시스템의 오차분석 및 처리기술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42-52.
  10. 박형근, 하희상, 김동문, 양인태, 2008, "다중빔 수심측량을 이용한 방파제 피해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지, 제24권, 제4호, pp.17-25.
  11. 오윤석, 배상근, 김병국, 2005, "수량계산을 위한 LiDAR와 SBES 데이터 통합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 13권, 제2호, pp.157-166.
  12. 위광재, 조재명, 이임평, 강인구, 2007,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등고선 제작의 효율성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 15권, 제2호, pp.59-66.
  13. 윤희천, 박준규, 2007, "LiDAR에 의한 3차원 GIS에 의한 3차원 GIS DB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71-182.
  14. 이현직, 유지호, 2007, "항공레이져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수치지도제작 및 정확도 향상 방안",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7권, 제3D호, pp.359-368.
  15. 정성은, 이우균, 곽두안, 최현아, 2008, "LiDAR의 높이 및 밀도 정보를 이용한 도시징겨의 3D 기반분류", 한국GIS학회지, 제 16권 제3호, pp.373-383.
  16. 최연웅, 조기성, 2005, "도시지역 LiDAR DSM으로부터 DEM추출기법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9-25.
  17. 한국수자원공사, 1996, 안동댐 저수지 퇴사량 조사 보고서.
  18. 한국수자원공사, 2008, 다목적댐 퇴사량 조사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