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en's Body in the Fashion of John Galliano and Martin Margiela

존 갈리아노(John Galliana)와 마르탱 마르지엘라(Martin Margiela) 패션에 표현된 여성의 몸

  • Shin, Ha-Na (Dept. of Clothing & Textile, Sangmyung University) ;
  • Lee, Min-Sun (Dept. of Clothing & Textile, Sangmyung University)
  • 신하나 (상명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 이민선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09.10.06
  • Accepted : 2009.12.22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a perspective tha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chanism of fashion change. The starting idea of this study is that fashion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ideal body image of the specific society or individual. The theoretical framework about the ideal body image has been studied by the literatures on the subject and it is verified by the analysis of John Galliano & Martin Margiela's fashion wor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alliano exposes the woman's body as a sexual symbol which is articulated by men's eyes. Margiela describes the woman's body as human being which doesn't highlight any sexual characteristics. Second, Galliano emphasizes the body conscious silhouette whereas Margiela perceives the body as a whole, rather than looks into each body part. Third, Galliano uses lots of decoration to make display luxurious. Margiela restrains himself from using decorations and tries to create images by interaction between the clothes and bodies. Forth, Galliano expresses the eroticism by accentuating eyes and lips with strong color cosmetics. Margiela's fashion is not dazzling with makeup. He even covers the face with fabrics. Aesthetics in all societies is articulated by their hidden social power groups, and then it has influence on taking shape of the ideal body image and the mainstream of fashion. But the innate characters of individuals offer challenges to the fashion majority. The tension between the social power and individual character makes and changes the fashion.

Keywords

References

  1. 최옥선 (2005). 여성의 몸 담론과 성형담론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여성잡지의 기사와 성형의류광고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신혜영 (2004). M.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과 회화론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자료검색일 2009. 6. 26, 자료출처 http://www.artiaco.com/home/bbs/tb.php/artnews/285
  4. 김미영 (2007). 현대 조각에 나타나는 신체 이미지 연구: 1960년 이후의 조각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5. Shilling, C. (1993). The Body and Social Theory. 임인숙 역 (1999). 몸의 사회학(초판). 파주: 나남출판, pp. 115-116.
  6. 이혜미 (2006). 현대사회에서 이미지 재현의 문제: 장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개념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4-25.
  7.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ommation. 이상률 역 (2004). 소비의 사회: 그 신화의 구조. 서울: 문예 출판사, pp. 190-194.
  8. 박대진 (2003). 소비사회에서의'재현'의 위기와 이데올로기 비판의 가능성: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
  9. 박혜원 (2003). 성정치적 관점에서 바라본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젠더관계': <남성 지배>를 중심으로. 숙명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1.
  10. 현영삼 (1990). M.Merleau-Ponty 현상학의 지각, 신체, 자유의 문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8.
  11. 김성희 (2006). 20세기 후기 미술에서 신체 기호의 의미 분석과 해석: 아바카노비치와 키키 스미스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0.
  12. 신혜영. (2004). M.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과 회화론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
  13. 강미라 (2008). 메를리 퐁티의 몸-주체와 푸코의 몸- 권력 비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7.
  14. 김성희. (2006). 20세기 후기 미술에서 신체 기호의 의미 분석과 해석: 아바카노비치와 키키 스미스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1.
  15. 이은아 (2005). 관객의 영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메를로-퐁티 몸 현상학에 기반한 소브책 영화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16. 김지영 (2006). 퍼포먼스의 표현매체에 관한 연구: 매체별 작가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44.
  17. 지노 가오리千野香織(1999). 모리무라 야스마사가 연기하는 여성들. 한림미술관.이대 기호학연구소(엮음),몸과 미술(1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89.
  18. 자료검색일 2009. 4. 9, 자료출처 http://www.crazyart.co.kr
  19. Bryson, N. (1999). 현대 미술의 사라져 가는 몸. 한림미술관.이대 기호학연구소(엮음). 몸과 미술(1판).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95.
  20. 김민정 (2004). 사회적 힘으로 은유된 신체표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9.
  21. 김민정 (2004). 사회적 힘으로 은유된 신체표현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22. 지노 가오리千野香織. (1999). 모리무라 야스마사가 연기하는 여성들. 한림미술관.이대 기호학연구소(엮음),몸과 미술(1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182.
  23. 주민선 (2008). 바바라 크루거(Babara Kruger)의 텍스트 화법 연구: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
  24. 한성의 (2004). 소비사회에서 보여지는 여성 이미지의 표현에 관하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p. 12.
  25. Mirzoeff, N. (1995). Bodyscape. 이필.이윤희 역 (1995). 바디스케이프: 미술, 모더니티 그리고 이상적인 인물 상. 서울: 시각과 언어, p. 22.
  26. 주민선. (2008). 바바라 크루거(Babara Kruger)의 텍스트 화법 연구: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54.
  27. 주민선 (2008). 바바라 크루거(Babara Kruger)의 텍스트 화법 연구: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25.
  28. 김은영 (2005). Antony Gormley의 인체조각에 표현된 신체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7-28.
  29. 이한수 (2008. 3. 3). "[새로운 문명이 온다] [6] 미술은 친밀한 소통을 원한다".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09.6. 30,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site/data/ html_dir/2008/03/03/2008030300106.html
  30. 자료검색일 2009. 6. 30, 자료출처 http://www.antonygormley.com/
  31. 자료검색일 2009. 6. 30,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kamiu00/90028719703
  32. 김성희, (2006). 20세기 후기 미술에서 신체 기호의 의미 분석과 해석: 아바카노비치와 키키 스미스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62.
  33. 자료검색일 2009. 7. 2, 자료출처 http://www.abakanowicz.art.pl/seated/Postac-Siedcaca-tyl.php
  34. 임모나 (2002). Magdalena Abakanowicz의 작품 연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35. 자료검색일 2009. 6. 25, 자료출처 http://www.abakanowicz.art.pl/seated/Postac-Siedcaca-tyl.php
  36. 김정현 (2007). Magdalena Abakanowicz의 작품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37. 이민선 (2001).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
  38. 김문환 (1998). 19세기 문화의 상품화와 물신화.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143.
  39. John Pultz (1995). The Body in Photography. 박주석 역 (2000). 사진에 나타난 몸. 서울: 예경, pp.102-103.
  40. 김문환. (1998). 19세기 문화의 상품화와 물신화.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35-136.
  41. 자료검색일 2009. 6. 25, 자료출처 http://www.artiaco.com
  42. 최현주 (2006). 20-30대 여성의 노출의상 착용현황및 구매행동 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43. 임성민, 박민여 (2004). 패션의 노출과 은폐에 관한고찰: Freud의 정신분석학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11), pp. 1395-1403.
  44. 자료검색일 2009. 7. 13, 자료출처 www.style.com
  45. 조우연 (2008). 실루엣 이미지를 통한 현대인의 소외에 대한 연구: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46. 조말희 (2007). 레트로로맨틱 패션의 미적 특성과 시각적 평가 연구: 2000년 이후 현대패션을 중심으로. 성신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1.
  47. 조우연. (2008). 실루엣 이미지를 통한 현대인의 소외에 대한 연구: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48. 송부희 (2007). 근세복식에 나타난 장식변천 및 의복의 음.양 이미지와 장식과의 연관성.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49. 박샛별 (2000). 복식에 있어서 장식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50. 박샛별 (2000). 복식에 있어서 장식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2.
  51. 자료검색일 2009. 7. 15, 자료출처 www.style.com
  52. 박은경 (2006).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쇼에 나타난 패션과 메이크업의 해체주의적 표현연구.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53. 윤임숙 (2007). 패션트렌드에 따른 뷰티디자인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54. 박주언 (2008).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미래주의적 특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55. 자료검색일 2009. 7. 2, 자료출처 www.sty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