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lementations of Mentorship Program Model for the Academic Creativities of Mathematics

수학 학문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멘토십 프로그램 모형 개발

  • Received : 2010.03.21
  • Accepted : 2010.04.2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R&E(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s in Mathematics, which have the objects to give students mathematically creative experiences and enlarge creativities of the study of mathematics, could not give the experiences as creative researchers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The students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choosing the subjects,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students actually did not existed, and the publications of mathematics papers have been excluded.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issues and some suggestions related to these R&E programs to obtain new R&E Model that gives a mathematically creative experience and enlarges creativities of the study of mathematics.

영재학교 및 과학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수학 영재의 창의적 연구 체험과 학문적 창의성 신장을 교육 목적으로 진행되는 수학분야 R&E 프로그램은 본연의 목적과는 달리 연구주제 선정과정에서의 학생들의 참여 결여, 연구 능력 신장을 위한 진행 과정에서의 개인별 평가 미비, 그리고 수학적 논문 게재 여부의 평가 항목이 배제된 상태에서 보고서 작성 및 발표 평가로 마무리 되는 등 창의적 연구자로서의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R&E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찾아 본래의 목적인 창의적 수학 연구 체험과 학문적 창의성 신장에 부합하는 평가모형이 결합된 새로운 멘토십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연 (2008). 수학영재의 창의적 생산력 신장을 위한 학습 지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 김경대, 심재영 (2008).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82-290.
  3. 이선길 (2006).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 연구(R&E)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 최호성, 강호감, 서혜애, 박일영, 이혁우, 이진희, 박경희, 박지현 (2003). 연구와 교육 (R&E) 프로그램을 통한 과학 영재의 창의성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과학재단(現 창의재단) 연구보고서
  5. 황명주 (2007). 과학영재 R&E 지도를 위한 과학 공동체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과 자기센서 소자 개발 학습과정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6.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교육논문집, 20(4), 561-574.
  7. Aiken, L. P. (1973). Ability and creativity in mathematics. Mathematics Education Reports in Guilford College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077730).
  8.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Tall, D(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42-54). Kluwer Academic Publishers.
  9. Feldhusen, J. F., & Robinson-Wyman, A. (1986). The Purdue secondary model for gifted education. In J. S. Renzulli(E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153-179).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10.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Renzulli, J. S. (1997). The enrichment triad model: A gride for developing defen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Center.
  12. Srirman, B. (2004).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Mathematical Educator, 14(1), 1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