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Visual Characteristics of Urban Bridges using Landscape Simulations - A Case Study of Yanghwaro in the Gyeongui Railroad Area -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교량의 시각적 특성 평가 - 경의선 폐철구간 양화로 지역을 대상으로 -

  • Chun, Hyun-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K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천현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
  • 김성균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0.04.13
  • Accepted : 2010.08.19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study formed an estimation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urban bridges in Yanghwaro in the Gyeongui Railroad Area using a landscape simulation. Existing theses have formerly only suggested directions for design based on visual preference, but there is as yet no research on the practical process of landscape desig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is to bridge design. This study found a potential bridge site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bridge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the surrounding urban landscape by surveying the visual effects and landscape preferences of different bridge types. An urban landscape was produced using a landscape simulation model and was made the background for the survey. Five bridge types--Girder, Arch, Truss, Cable and Suspension--were selected and presented. The shapes of the bridg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loor pl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 preference analysis, every bridge except Girder was evaluated as a positive influence. When rating the image, 'artificial' was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raits when assessing the background image. When the Girder Bridge was introduced, 'stable' and 'orderly' were both rated highly while 'stable', 'beautiful', 'orderly' and 'interesting' were high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rch Bridge. 'Beautiful', 'stable', and 'orderly' were given a high value in the introduction of the Truss Bridge and every image except 'natural', 'harmony' and 'orderly' were highly ra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Cable Bridge. Further, every image but 'natural' was highly r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uspension Bridg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there is a difference in preference before and after modeling a bridge type, while the bridge itself is an influence when it is the main object of the simulated scene. This study researched only the shape of the bridge as a part of the landscape but other elements such as stability, economics, and construction are also factors in the design of a bridge. Stability, economics, construction and other factors must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 bridge typ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경의선 폐철구간 공원화 사업 구간 중 양화로 지역을 대상으로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도시교량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논문들은 선호도 평가를 통해서 설계방향만을 제시하였을 뿐 교량 시공 시 실질적인 경관 설계에 대한 사례 및 설계과정에 대한 연구 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로 직접적인 교량 경관 설계에 활용하기에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교량 시공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는 대상지를 찾아서 주위 환경과 교량 형식에 따른 교량경관의 이미지를 평가하고, 선호도를 분석하여 교량 경관설계 시 이용 가능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경관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배경경관은 도시경관이며 시뮬레이션을 할 대상교량은 거더교, 아치교, 트러스교, 사장교, 현수교 5개의 교량 유형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교량은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하여 교량형태를 선정하였으며, 유형의 형태는 각 교량유형에 적합하고 그 특성이 뚜렷하면서도 일반적인 형태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배경경관에 거더교를 제외한 나머지 교량을 도입하면 시각적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정된 배경경관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인공적인' 이미지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더교 도입경관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안정한', '질서있는'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아치교 도입경관의 이미지 평가에서는 '안정한', '아름다운', '질서있는', '흥미로운'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다. 트러스교 도입경관 이미지 평가에서는 '아름다운', '안정한', '질서있는' 이미지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사장교 도입경관 이미지 평가에서는 '자연적인', '조화로운', '질서있는'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에서 높게 평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현수교는 '자연적인' 이미지를 제외한 모든 면에서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교량설계 시 교량형태가 주변 환경의 시각적 선호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관설계 시 교량형태와 주변 환경을 함께 고려한 경관계획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관성에 대한 교량형태 만을 연구하였으나, 안정성, 경제성, 시공성 등 교량설계 시 여러 가지 중요한 변수들이 존재하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들과 함께 복합적으로 분석, 연구되어 적절한 교량형태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인환 역(1994) 교량의 미학. Fritz, L., Bridges Aesthetics and Design. 서울: 원기술.
  2. 김남희, 고현무(2005) 고대 교량에 나타난 미학적 개념: 교량 미학의 뿌리를 찾아서. 대한토목학회지 25(6): 1061-1069.
  3. 김락기, 금기정, 양계승, 임성빈(2006) 단경간 강박스거더교의 교량형 상계수별 경관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24(2): 7-18.
  4. 김수아(2006) 미학적 인자를 고려한 거더 교량의 웹기반 설계시스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서주환, 최현상, 차정우(2002) 서울시 한강교량 주야간 경관이미지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0(5): 31-38.
  6. 이상엽, 오휘영, 조세환(2002) 도시 교량경관의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6): 11-20.
  7.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8. 장승필(1995) 교량과 아름다움. 대한토목학회지 43(1): 79-88.
  9. 정성관, 박영은, 박경훈, 유주한, 김경태, 이우성(2007) 경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아치교량의 시각적 특성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5(4): 48-56.
  10. 최윤석, 정인영, 안현태, 김정태(2006) 조망의 변화에 따른 교량 경관 조명의 휘도특성분석.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0(6): 1-8.
  11. 허준(2002) 교량의 시각적 선호도의 차이: 한강의 교량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2):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