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of Acryl Polymer Concretes for Ultra Thin Overlays

초박층 덧씌우기용 아크릴 폴리머 콘크리트의 특성 연구

  • 김대영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태우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현종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형배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Received : 2010.02.18
  • Accepted : 2010.05.19
  • Published : 2010.09.15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n acryl polymer concrete that is developed as an overlay material for cement concrete slabs and pavements. Various laboratory tests including viscosity, flow,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tensile strength, linear shrinkage, thermal expansion and thermal compatibility tests are performed. It is observed from the laboratory tests that the acryl polymer concrete developed in this study satisfies all the requirements suggested by ACI guideline. In addition to the laboratory tests, an accelerated performance testing (APT)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acryl polymer concrete. During the APT, no significant distresses are observed until 15,903,939 cycles of equivalent single axle loading is applied. Finally, a 10mm thick overlay with the acryl polymer concrete is applied on top of an old deteriorated concrete pavement to evaluate field performance. Right after the field construction, skid resistance, noise and roughness are measured. The skid resistance and noise level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roughness is increased. Periodic investigation for the field study section will be conducted to evaluate the long-term performance.

본 연구는 콘크리트 슬래브 및 포장도로에 덧씌우기 포장으로 개발된 아크릴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점도시험, 흐름시험, 압축강도시험, 휨 강도시험, 인장강도시험, 선 수축시험, 열팽창계수시험 및 온도변화에 대한 부착성 등 다양한 실내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크릴 폴리머 콘크리트의 실내시험 결과 ACI에서 제시하는 모든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크릴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포장가속시험(APT)을 수행하였으나 등가 단축하중을 15,909,939회를 적용하는 동안 심각한 파손을 확인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열화현상이 진행된 콘크리트 도로에 10mm의 폴리머 콘크리트 덧씌우기를 적용하였다. 현장 적용 후 미끄럼 저항성, 소음 및 평탄성을 측정한 결과 미끄럼 저항성 및 소음도는 상당히 개선되었으나 평탄성 측정치는 다소 증가하였다. 추후 현장에 적용된 아크릴 폴리머 콘크리트의 정기적인 조사를 통하여 장기 공용성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우(2009). "교면포장용 아크릴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 서재운(2007). "교면포장에 사용될 방수 및 보수용 MMA에 관한기초연구 ",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3. 이광호 등 (2007), "장수명\친환경 도로포장 재료 및 설계시공 개발 연구보고서", 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사업 보고서, R&D/05 건설핵심D08-01, 한국도로공사.
  4. 최수 등(1999).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특성 및 적응성에 관한 연구 ",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토지주택공사.
  5. Borys F. Schafran et al(1998). "Guide for Polymer Concrete Overlays." ACI 548.5R-94, American Concrete Institute, Detroit, MI.
  6. Jeanne Rosenberg (2000) "Thin pavements with synthetic binder used in Denmark", Danish Road Institute Report 105.
  7. ACI 548.5R-94 (1998) "Guide for Ploymer Concrete Overlays", American Concrete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