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ce Popularizing Mechanism of a Science Magazine in terms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Earth Science Articles in 'Science Donga'

'과학동아' 지구과학 기사의 언어적 특성으로 본 과학 잡지의 과학 대중화 기제

  • Ham, Seok-J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Maeng, Seung-H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J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함석진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맹승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1.15
  • Accepted : 2010.02.22
  • Published : 2010.02.2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science magazine played a role in filling the gap between scientis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how it contributed to science popularization. We analyzed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texts used in a science magazine. We used 12 articles (six written by journalists, and six written by scientists) from the Science Donga. Register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fine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texts in terms of ideational meaning, interpersonal meaning and, textual meaning.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rticles written by journalists used a higher mental and verbal processes in which the conversations and thoughts of scientists were expressed. (2) Human agents were relatively explicit in the journalists' articles. However, they were implicit or omitted in the articles of scientists. (3) Interrogative sentences and inclusive imperative sentences, and even omission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journalists' articles whereas scientists' articles mainly used declarative statements. (4) The clause density of journalist' articles and scientists' were similarly lower than that of science textbooks. (5) The information structure revealed by the patterns of Theme and Rheme that the journalists' articles used in science magazines was simpler than that of science textbooks, while the structure of scientists' articles was more complex than that of journalists'. Based on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texts used in science magazines, we found that a science magazine contributes to science popularization in two faces: One is in that the articles of journalists present science contents in a way that the readers can follow with ease and feel well-acquainted. The other is that the modified articles of scientists help the general public get familiar with the culuture of science in terms of use of science language.

과학 잡지가 과학자와 일반인 사이의 접점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제를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에서 찾기 위하여 과학 동아에 수록된 지구과학 관련 기사 12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레지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기자가 쓴 글은 과학자의 사유와 대화를 표현하는 인식적 술어와 발화적 술어의 비율이 높았다. 2) 기자의 글에는 문장의 주체가 사람으로 드러나는 비율이 높지만 과학자의 글에는 사람은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주체가 생략된 경우도 많았다. 3) 과학자의 글은 대부분 평서형 서법을 사용하지만, 기자가 쓴 글에서는 의문형과 청유형 서법, 생략 등의 비평서형 문장이 많았다. 4) 문장 속에 포함된 절의 밀도는 기자의 글이나 과학자의 글 모두 비슷하였다. 5) 정보의 구조 또한, 기자의 글은 단순한 정보의 발전 형태를 띠었고, 과학자의 글은 그에 비해 다소 복잡한 정보 구조를 나타내었다. 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징을 통해 과학 잡지는 기자의 글을 통해 어려운 과학 내용을 쉽고 친숙한 텍스트로 제시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과학자가 쓴 순화된 과학 텍스트를 통해 일반인들을 과학의 언어라는 과학의 문화에 친숙하게 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게 됨을 밝혀 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기, 2009,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2009년 8월호, 152-153.
  2. 강화나, 2008, 문장제의 문장구조에 따른 문제해결자의 반응.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0 p.
  3. 권경숙, 2009, 과학 잡지의 과학 보도 분석: <과학소년>, <과학동아> 특집 기사의 변화.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7 p.
  4. 김구, 박종진, 박경애, 윤용훈, 2005,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2005년 10월호, 118-123.
  5. 김정윤, 200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2003년 9월호, 98-101.
  6. 김종군, 1999,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1999년 11월호, 70-75.
  7. 김학수, 1987, 과학 언론 매체의 육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서울, 86 p.
  8. 김현구, 조중현, 2006,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 과학동아, 2006년 4월호, 88-93.
  9. 맹승호, 2008, 수업 담화 맥락에 기반한 광물과 암석 단원과학 수업의 양태 변화: 담화 레지스터와 언어 코드적접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8 p.
  10. 목정민, 2008,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2008년 6월호, 150-151.
  11. 문용재, 2009, 태양 흑점 실종, 지구온난화 영향 없나. 과학동아 2009년 8월호, 148-151.
  12. 박미용, 2004,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2004년 4월호, 68-73.
  13. 박종훈, 2007, 설명 화법의 언어 형식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0 p.
  14. 박창원, 2001, 좋은 글과 문장의 연결. 국어문화, 11-32.
  15. 신명환, 맹승호, 김찬종, 2010, 초.중등 과학 교과서 글의 언어적 특징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 36-50.
  16. 신방실, 2007, 올여름 최악의 무더위 올까. 과학동아 2007년 6월호, 98-103.
  17. 윤성효, 박기화, 2004,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2004년 4월호, 98-101.
  18. 이정아, 맹승호, 김혜리, 김찬종, 2007,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242-252.
  19.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8,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832-847.
  20. 이현경, 2005,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2005년 11월호, 40-44.
  21. 임소형, 2005,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2005년 10월호, 114-117.
  22. Bloor, T. and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2nd ed). Arnold Publisher, NY, USA, 315 p.
  23. Calsamiglia, H., 2003, Popularization discourse. Discourse Studies, 5, 139-146. https://doi.org/10.1177/1461445603005002307
  24. Chafe, W., 1982, Integration and involvement in speaking, writing, and oral literature. In Tannen, D. (ed.), Spoken and written language: Exploring orality and literacy Norwood. Ablex, NJ, USA, 35-53.
  25. Christidou, V., Dimopoulos, K., and Koulaidis, V., 2004, Constructing social represent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role of metaphors in the press and the popular scientific magazin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3, 347-362. https://doi.org/10.1177/0963662504044108
  26.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Continuum, London, UK, 384 p.
  27.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 335-347. https://doi.org/10.1002/sce.20050
  28. Halliday, M.A.K., 1998, Things and relations: Regrammaticising experience as technical knowledge., In Martin, J.R. and Veel, R. (eds.), Reading science: Crit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n discourses of science. Routledge, Lodon, UK, 185-235.
  29. Halliday, M.A.K. and Martin, J.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USA, 283 p.
  30. Halliday, M.A.K. and Matthiessen, C.M.I.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Arnold, London, UK, 689 p.
  31. Minelli, J. and Pagano, A.S., 2006, The research article and the science popularization article: A probabilistic functional grammar perspective on direct discourse representation. Discourse Studies, 8, 627 p. https://doi.org/10.1177/1461445606064833
  32. Parkinson, J. and Adendorff, R., 2005, Science books for children as a preparation for textbook literacy. Discourse Studies, 7, 213-236. https://doi.org/10.1177/1461445605050367
  33. Moirand, S., 1997, Formes discursives de la diffusion des savoirs dans les medias. Hermes, 21, 33-44.
  34. Reeves, C., 2005, The language of Science. Routledge, London, UK, 131 p.
  35. Schleppegrell, M.J., 2004, The language of schooling: A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Erlbaum, NJ, USA, 208 p.
  36. Veel, R., 1998, The greening of school science: Ecogenesis in secondary classrooms. In Martin, J.R. and Veel, R. (eds.), Reading science: Crit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n discourses of science. Routledge, London, UK, 114-151.

Cited by

  1. Considerations on the Making of Scientific Content and Processing of Biological Knowledge vol.11,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03
  2. The Types of Interlangu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Diastrophism vol.33, pp.1, 2012, https://doi.org/10.5467/JKESS.2012.33.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