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고등학생들과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 및 인식

  • Received : 2010.03.14
  • Accepted : 2010.07.2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We developed two different instruments; one was a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inventory that consists of 9 graph types with 18 items, and the other one is two questionnaires to explor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bout Earth science-related grap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demonstrated their remarkable ability in interpreting a line graph, but showed their limited ability with the graph of overlapped and directional change, which means the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was affected by a graph type; two group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veale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depending on the grade level; preservice teachers were superior to high school students in discriminating two graphs, the representation method, which are different with the same topic; and many participants in both groups considered that the property of Earth science graph wa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science subjects, especially in directional change graph, scatter graph, contour map, and domain graph.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ive graph instruction strategies be developed in Earth science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예비 교사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과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9개 그래프 유형의 18문항으로 구성된 1개의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지구과학 그래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2개의 설문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들은 선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높은 반면, 중복 그래프와 방향성 변화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그래프 해석 능력이 그래프의 유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 모두 학년에 따른 해석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에 비해 예비교사가 동일한 주제의 서로 다른 표현 방법의 그래프 차이를 더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는 지구과학 그래프가 타 과학 교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그래프 유형은 방향성 변화 그래프, 분산 그래프, 등치선도, 영역 그래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그래프 지도 방략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태식, 2002, 전향력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p.
  2. 김유정, 2006, 중학 과학 교과의 탐구 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에 대한 조사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3 p.
  3. 김은미, 2001, 선 그래프 해석에서 그래프 구성 요소의 관찰 순서와 소요 시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p.
  4. 김태선, 김범기, 2002,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768-778.
  5. 김태선, 김범기, 2005, 과학 관련 선 그래프를 해석하는 고등학생들의 발성사고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122-132.
  6. 김태선, 배덕진, 김범기, 2002,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725-739.
  7. 문세정, 2009, 중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p.
  8. 문충식, 김범기, 1998, 선 그래프 해석과 이해의 지각.인지 과정에 대한 모형: 힘과 운동 관련 선 그래프를 중심으로. 물리교육, 16, 72-82.
  9. 박현진, 2002, 지리 교과에서 그래프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p.
  10. 배덕진, 1999,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4 p.
  11. 성태제, 2001, 현대 기초 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파주, 546 p.
  12. 오영재, 임청환, 2004, 초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능력과 해석 능력 조사. 과학.수학교육연구, 27, 91-118.
  13. 이진봉, 이기영, 2007,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 및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285-296.
  14. 임현미, 2008, 고등학생들의 생물 그래프 이해와 작성 능력 조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p.
  15. 정광복, 2005, 경영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그래프. 갑진출판사, 서울, 351 p.
  16. 최성봉, 2008, MBL 활용 수업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9, 487-494. https://doi.org/10.5467/JKESS.2008.29.6.487
  17. 최영순, 2005, 중학생의 과학 관련 그래프 작성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p.
  18. Bowen, G.M. and Roth, W.M., 2005, Data and Graph Interpretation Practices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1-26. https://doi.org/10.1002/tea.20058
  19. Bowen, G.M., Roth, W.M., and McGinn, M.K., 1999, Interpretation of graphs by biology students and practicing scientists: Toward a social practice view of scientific representation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1020-1043.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1)36:9<1020::AID-TEA4>3.0.CO;2-#
  20. Brasell, H.M., 1990, Graphs, graphing, and graphers.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6, 69-85.
  21. Cleveland, W. and McGill, R., 1985, Graphical perception and graphical methods for analyzing scientific data. Science, 229, 828-833. https://doi.org/10.1126/science.229.4716.828
  22. Dori, Y.J. and Sasson, I., 2008, Chemical understanding and graphing skills in an honors case-based computerized chemistry laboratory environment: The value of bidirectional visual and textual represent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 219-250. https://doi.org/10.1002/tea.20197
  23. Han, J. and Roth, W.-M., 2006, Chemical Inscriptions in Korean Textbooks: Semiotics of Macro and Microworld. Science Education, 90, 173-201. https://doi.org/10.1002/sce.20091
  24. Harris, R.L., 2000, Information Graphics: A comprehensive illustrated refe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GA, USA, 448 p.
  25. Latour, B., 1987, Science in action: How to follow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society. Open University Press, UK, 288 p.
  26. Leinhardt, G., Zaslavsky, O., and Stein, M., 1990, Functions, graphs, and graphing: Tasks, learning, and teach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 1-64. https://doi.org/10.3102/00346543060001001
  27. Meyers, C.H., 1970, Handbook of Basic Graphs: A Modern Approach. Dickenson Publishing Company, Belmont, U.S.A., 214 p.
  28. McKenzie, D. and Padilla, M., 1986,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test of graph in science (TO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369-383.
  29. Roth, W.M., Bowen, G.M., and McGinn, M.K., 1999, Differences in Graph-Related Practices betwee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and Scientific Ecology Journ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979-1019.
  30. Roth, W.M. and McGinn, M.K., 1997, Graphing: Cognitive Ability or Practice? Science Education, 81, 91-10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1)81:1<91::AID-SCE5>3.0.CO;2-X
  31. Wavering, M.J., 1989, Logical Reasoning Necessary to Make Line Grap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 373-379. https://doi.org/10.1002/tea.3660260502

Cited by

  1.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vol.35, pp.4,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