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s Strategies for Measurement Estimation of Rectangular Covering Tasks

직사각형 덮기 과제를 해결하면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어림 측정 전략

  • Received : 2010.06.03
  • Accepted : 2010.08.2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he strategies young children use to solve rectangular covering tasks before they have been taught area measurement. seventy nine children from Grade 1 to 4 were observed while they solved various array-based tasks, and their drawing and explan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Children's solution strategies were classified into incomplete covering, inadequate array, array constructed from moveable unit, measurement of one dimension, measurement of two dimension, and calculation.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of area measurement are addressed.

Keywords

References

  1. 구광조.라병소 (1997). 초등학교에서의 도형이 넓이 지도. 수학 및 통계연구, 21, 41-57.
  2. 김주봉 (2000). 도형의 분할과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청주교육대학교 과학과 수학교육논문집, 21, 1-18.
  3. 김택본 (1997). 초등학교 아동의 측도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승주 (2007).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5. 배춘석 (2002). 구체적 조작 자료를 활용한 복합도형의 넓이 지도 방안.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6. 송미정 (2004). 수학 학습 측정 영역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7. 유연자.방정숙 (2008). 초등학교 5학년 평면도형의 넓이 구하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해결 방법 분석. 학교수학, 10(3), 443-461.
  8. 윤현숙 (2000). 초등학교 아동들의 측정감각에 관한 실태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대현 (2002). 초등학생들의 도형의 둘레와 넓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분석. 초등수학교육, 6(2), 85-91.
  10. 이용률.성현경 (1997).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11. 장미라 (2003). 측정 감각 발달을 위한 학습 자료 개발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동권 (2001).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3(13), 1-36.
  13. 정필원 (2005). 초등학교 평면도형이 넓이 지도에서 퀴즈 네르 막대의 활용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허학도 (2006). 직사각형 넓이 공식의 이해와 인식론적 장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Battista, M. T., Clements, D. H., Arnoff, J., Battista, K., & Borrow, C. V. A. (1998). Students' spatial structuring of 2D arrays of squar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9, 503-532. https://doi.org/10.2307/749731
  16. Lindquist, M. M. (1987). Estimation and mental computation: Measurement. Arithmetic Teacher, 34, 16-17.
  17. Mitchelmore, M. C. (1983). Children's learning of geometry: Report of a co-operative research project. Caribbean Journal of Education, 10, 179-228.
  18. Mulligan, J. T., & Mitchelmore, M. C. (1997). Young children's intuitive models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 309-330. https://doi.org/10.2307/749783
  19. Outhred, L. N., & Mitchelmore, M. C. (2000). Young children's intuitive understanding of rectangular area measurem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2), 144-167. https://doi.org/10.2307/749749
  20. Reynolds, A., & Wheatley, G. H. (1996).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and coordination of units in an area sett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 564-581. https://doi.org/10.2307/749848
  21. Siegel, A. W., Goldsmith, L. T., & Madson, C. R. (1982). Skill in estimation problems of extent and numerac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3(3), 211-232. https://doi.org/10.2307/748557
  22. Sierpinska, A. (1990). Epistemological obstacles & understanding: Two useful categories of thought for research into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Bratislava:Aug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