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5-day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adolescents' smoking behavior

5&6 금연프로그램과 5일 교실 금연프로그램의 청소년 금연효과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06.1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5 days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urine cotinine, and smoking behavior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The '5&6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28 students). The '5 days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2(19 students). Control group was 53 students.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sample t-test, Paired t-test, ANOVA, Wilcoxon signed ranks test, Cronbach's coefficient alpha. Results: The '5&6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smoking self-efficacy, sta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change, Cons. for smoking and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ily smoking amount, urine cotinine level than control group. The '5 days progra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urine cotinine level and Pros. for smoking than control group. The '5&6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stage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change than '5 days program'.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5&6 program and the '5 days program' are effective in adolescent's smoking cessation behaviors.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호, (2005). 청소년 금연프로그램의 사례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2. 김은경, 남성 관상동맥질환자의 금연모형 구축.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2;8(1): 61-71.
  3. 김헌수, 청소년 비행행동의 판별요인 분석. 신경정신의학 1998;37(3); 483-491.
  4. 김소야자, 남경아, 서미아, 박정화, 흡연 청소년을 위한 집단 금연프로그램의 적용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01;10(2): 164-175.
  5. 김수진, 범 이론적 모델을 적용한 금연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흡연행위와 사회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6. 두영택, 청소년 흡연예방.금연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7. 류미경, 남자고등학생의 흡연행위군별 성격특성[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1999.
  8. 변금순, 통합변화모델을 적용한 실업계고등학생들의 흡연 및 금연 관련요인[박사학위논문]. 부산: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9.
  9. 신성례, 청소년들의 흡연실태 - 5일금연학교 수강생을 중심으로-. 삼육대학교 논문집 1995;27: 109-116.
  10. 신성례, 청소년들의 흡연량 자가 보고와 소변코티닌과의 관계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7;9(3): 495-504.
  11. 신성례,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1999;11(4): 663-672.
  12. 심영애, 서울시내 남녀 고교생의 흡연에 관한 태도 조사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89.
  13. 오복창, 청소년의 금연행위 변화단계별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4. 은혁기,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기술 및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a.
  15. 은혁기, 안양시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실태와 대인관계 특성변화 연구. 제5회 안양시 청소년 상담 심포지엄 자료집 2000-b: 49-101.
  16. 은혁기, 청소년들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인기술 및 대인관계만족도에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001;9(1): 136-156.
  17. 이기찬, 청소년의 흡연 및 음주에 관한 연구. 소아과 1997;40(3): 307-317.
  18. 이명순, 청소년 흡연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2001년 보건고금연지도자교육-. 서울: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1;106-118.
  19. 이영자,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 5&6 금연교실. 서울: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4.
  20. 이은숙, CAI 개별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금연 교육과 강의식 금연 교육의 효과 비교-실업계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21. 이지원, 청소년의 흡연과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대학원, 1997.
  22. 임소연, 금연교육프로그램이 흡연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실업계 고교생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삼육대학교보건복지대학원, 1996.
  23. 정유석, 천안 지역 청소년 흡연율 및 금연교육의 효과. 가정의학회지 2003;24:150-157.
  24. 장영순, 고등학생의 흡연동기와 담배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와의 관계[석사학위논문]. 경기: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5. 지선하, 흡연의 현황과 그 역학적 특성. 서울: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0.
  26. http://www.kash.or.kr/user_new/pds_view.asp. 2009
  27. Borras, JM., Fenandez, E., Schiaffino, A., Borrell, C. and Vecchia, CI., Pattern of Smoking initiation in Catalonia, Spain, from 1948 to 1992. American Journal or Public Health 2000;90(9): 1945-1962.
  28. DiClemente CC, Prochaska J, Fairchrst S, Velicer W, Velasquez, M, Rossi J.,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91;59: 295-304.
  29. Eckharadt L, Woodruff SI, Elder JP. A Longitudinal analysis of adolescent smoking and its correlates. Journal Sch Heal. 1994;64(2): 67-72.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4.tb06181.x
  30. Fagerstrom KO., Measuing degree of physical dependence tobacco smoking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Addictive Behaviors 1978;3(3-4): 235-41. https://doi.org/10.1016/0306-4603(78)90024-2
  31. Mathias BJ., Youth smoking cessation - a healthy challenge. A meta-analysis. 13th Conferecne on Tobacco or Health. 2006.
  32. Moss, RH. and Billings, AG.,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coping resources and processes. In Goldberger L. and Bresnitz S.(Eds.), Handbook of stress. New York : Macmilan, 1982.
  33. Price JH, Beach P, Everett S, Telljohann SK, Lewis L. Evaluation of a three-year urban elementary school tobacco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School Health 1998;68(1): 26-31. https://doi.org/10.1111/j.1746-1561.1998.tb03483.x
  34. Rattigan, GA., The experience of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 A phenomenological inqui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Las Vegas.: University of Nevada, 2002.
  35. Sargent, JD., Mott, LA., & Stevens, M.,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Adolesce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998;152(4): 388-393.
  36. Shiffman, S., Balabanis, MH. Paty, JA., Engberg, J., Gwaltney, CJ., Liu, Kenneth, S, Gnys, M., Hickcox, M. & Paton, S. M., Dynamic Effects of Self-Efficacy on Smoking lapse and Relapse. Health psychology 2000;19(4): 315-323.
  37. Vartiainen E, Paavola M, McAlister A. Fifteen-year Follow-up of Prevention Effects in the North Karelia Youth Projec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8;88(1): 81-85. https://doi.org/10.2105/AJPH.88.1.81
  38. Velicer WF, DiClemente CC, Prochaska JO, Brandenburg N. Decisional balance measure for assessing and predicting smoking statu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5;48(5): 127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