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and Gender: How to Deal with It in Engineering Education? - From the Experiences of Women Into Engineering (WIE) Program in Korea -

공학과 젠더: 공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WIE) 사업 분석과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 Han, Kyong-Hee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Yonsei Univ.) ;
  • Park, Joon-Hong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 ;
  • Kang, Ho-Jung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
  • 한경희 (연세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박준홍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강호정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02.03
  • Accepted : 2010.03.08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article i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f engineering and gender, and also explores the policy development of WIE program. WIE in Korea aims to foster talented women engineer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gender-sensitive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field-adaptive skill improvements of women students,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s. This study examines gender perspectives to analyze our WIE program.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it's not enough to acquire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equity in developing women in engineering. Above all, we should note our situations that has frustrated women's career development in engineering. In un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improve the engineering faculty's recognition of gender equity. Efforts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women engineers, involvement of men and women students, and building of women engineers' network are necessary elements to implement successful WIE program. Additionally, we discuss that policy support to WIE program should be continued and enlarged in university level.

이 연구는 공학과 젠더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이자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WIE) 사업의 발전 방향을 다루는 정책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우리나라의 WIE 사업은 성인지 공학교육 시스템, 여학생의 현장 적응력 향상,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해 우수한 여성 엔지니어의 양성을 촉진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 연구는 WIE 사업이 공학교육에서 갖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젠더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공학 분야 여성을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교육적, 제도적 공평성을 확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력 개발을 좌절시키는 상황에 주목해야 한다. 대학교육에서는 공과대학 교수진이 젠더 공평성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여성 엔지니어의 전문가 정체성 확립, 남녀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여성 네트워크 발전 등이 WIE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향후 WIE 사업에 대한 지속적 지원과 대학 단위의 프로그램 확대 등이 정책적 과제로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여성 과학기술인력 실태조사 보고서.
  2. 김은실(2001). 여성의 몸, 몸의 문화 정치학. 또 하나의 문화.
  3. 민무숙 . 이정희 . 송현주(2002). 공학분야 여성고급 인적자원 개발 지원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14.
  4. 박지은. 김지혐. 정윤경. 오명숙(2009). 해외 여성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2(3): 79-95
  5. 연세대학교(2009).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3차년도 사업보고서.
  6. 오.조영란. 홍성욱(1999).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 창작과비평사
  7. 이은경(2002). 과학기술과 여성의 주요 정책 쟁점.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정윤경. 오명숙. 김지현(2008).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9. 조주현(2008).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한국여성학, 24(4): 35-64.
  10. 진미석 외(2005). 여성과학기술인의 양성활용 등에 관한 실태조사분석 및 개선을 위한 정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최금진. 박선희(2009). 여성공학도의 동기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2(2): 3-13.
  12. 하정옥(1999).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 그 역사와 함의.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 창작과비평사.
  13. 한경희(2008). 공학학의 등장과 그 의미. 발전방향에 대한 탐색. 담론201, 11(1): 99-131.
  14. 한국학술진흥연구재단(2007). 1차년도 현장방문 컨설팅 전문가 진단.
  15. 허균. 원효헌. 이운식(2007). 학습자 인식 분석을 통한 여성 공학교육 방향 탐색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0(3): 21-37
  16. Bandura. Albert(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7. Besterfield-Sacre. M. B., M. Moreno. L. J. Schuman, and C. J. Atman.(2001). Gender and Ethnicity Differences in Freshman Engineering Student Attitudes: A Cross-institutional Stud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0(4): 477-90. https://doi.org/10.1002/j.2168-9830.2001.tb00629.x
  18. Brainard. S., and L. Carlin(1998). A Six year Longitudinal Study of Undergraduate Women in Engineering and Scien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7(4): 369-76. https://doi.org/10.1002/j.2168-9830.1998.tb00367.x
  19. Downey, G. and J. Lucena(1995). Engineering Studies.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AGE.
  20. Evetts. Julia(1996). Gender and Career in Science and Engineering. Taylor & Francis.
  21. Faulkner. Wendy(2009). Doing Gender in Engineering Workplace Cultures. II.Gender in/ Authenticity and The inlVisibility Paradox. Engineering Studies 1(3): 169-189. https://doi.org/10.1080/19378620903225059
  22. Harding, Sandra(1986). The Science Question in Feminism. Cornell University Press. [국역: 이재경 외 옮김. 페미니즘과 과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1]
  23. Hawks. B. K. and J. Z. Spade(1998). Women and Men Engineering Students: Anticipation of Family and Work Rol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7(3): 249-66. https://doi.org/10.1002/j.2168-9830.1998.tb00351.x
  24. Henwood. Flis(1999). Exceptional Women? Gender and Technology in U.K. Higher Education. IEEE Technology and Society Magazine Winter: 21-26.
  25. Holland. D. C., Lachicotte. W.. Jr.. Skinner. D.. & Cain. C.(1998). Identity and Agency in Cultural Worlds. Cambridge. MA: Harvard Uniyersity Press.
  26. Holland. J. L.(1997). Making F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F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7. Kanter. R. M.(1977).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New York: Basic Books.
  28. Keller. Evelyn Fox(1985). Reflections on Gender and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국역: 민경숙 외 옮김. 과학과 젠더, 동문서, 1996]
  29. Marra R. M. Rodgers. K. A.. Demei Shen. Barbara Bogue(2009). Women Engineering Students and Self-Efficacy: A Multi-Year. MultiInstitution Study of Women Engineering Student Self-Efficac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January: 27-37.
  30. McLoughlin. L. A.(2005). Spotlighting: Emergent Gender Bias in Undergraduate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October: 373-381.
  31. Nauta, M. M. and D. Epperson.(2003).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Social Cognitive Model applied to High School Girls' Choices of Nontraditional College Majors and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4): 448-57. https://doi.org/10.1037/0022-0167.50.4.448
  32. Pattatucci. Angela M.(1998). Women in Science: Meeting Career Challenges. Sage Publications.
  33. Tonso. Karen. L.(2007). On The Outskirts of Engineering. Sense Publishers.
  34. Wajcman J,(1991). Feminism Confronts Technology. Polity Press. [국역: 조주현 옮김. 페미니즘과 기술. 당대. 2001]
  35. Wertheim. Marg aret (1995). Pythagoras' Trousers: God, Physics, and The Gender Wars. Five Continents music. Inc. [국역: 최애리 옮김. 피타고라스의 바지: 여성의 시각에서 본 과학의 사회사. 사이언스북스.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