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nd Land Use Change for Low -Carbon Urban Management - Focused on Jinju

저탄소 도시관리를 위한 탄소배출과 토지이용변화 분석 -진주시를 중심으로-

  • 어재훈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김기태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정길섭 (경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유환희 (경상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0.02.19
  • Accepted : 2010.03.15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Low-carbon Green Growth is highlighted as the main political issue from in and outof Korea. Recently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vision for low-carbon green growth. Considering this as a starting point the carbon emission estim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ity planning. In order to realize the carbon reduction planning,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trend analyzes between the carbon exhaust estimation as well as the land use change for the past 40 years in Jinju. The image processing data of past aerial photography and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databases were used to collect the useful information's for the land trend analysis for 40 years. As the results, the land use changes by new residential developments have led to increase the carbon emissions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rapidly. The urban management planning for low carbon and green growth should consider carbon emissions by population growth derived from land use change. Further research need to estimate the accurate carbon exhaust using relationship model with fuel consumption, carbon estimation, and land use.

저탄소 녹색성장은 국내외적으로 중요한 정치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한국정부는 최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비젼을 발표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탄소배출 추정은 도시계획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탄소저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거 40년 동안 진주시의 탄소배출 추정과 토지이용변화의 상호추이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지적성평가 데이터베이스와 항공영상의 영상처리자료는 과거 40년간의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는데 유효한 정보를 주었으며, 신주거지 개발에 의한 토지이용변화는 급격한 인구집중과 탄소배출증가를 가져왔다. 앞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도시관리계획에 있어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탄소배출 증가를 계획수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하며, 향 후 토지이용과 연료소비추정이 포함된 정확한 탄소배출 추정모델개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무총리실 기후변화대책기획단. 2008.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2. 김유나, 문태훈, 2009, "환경성과지수를 활용한 도시환경지속성 성과평가에 관한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4권, 제6호, pp.171-182.
  3. 변혜선, 송영배, 한봉호, 2009, "도시녹지와 도시기후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기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4권, 제4호, pp.37-49.
  4. 석유협회보, 2003, "세계에너지 장기전망 EIA(2001-2025)", pp.40-45.
  5. 윤순진. 2009. "녹색성장의 문제점과 거꾸로 가는 에너지정책," 환경과생명 60:17-50.
  6. 이재훈, 최석환, 200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의 탄소완화 계획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4권, 제 4호, pp.119-131.
  7. http://www.eia.doe.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