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anced National Base Map by Using High-Resolution Digital Aerial Photograph

고해상도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국가기본도 고도화 방안

  • 이현직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구대성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 박찬호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2.20
  • Accepted : 2010.03.16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national base map has its value sand roles as the basic spatial information of the nation. The current national base map that is a 1/5,000 digital map, however, has failed to perform its roles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due to the limitations with its quality and accuracy and requires measures to complement them. Thus this study set out to suggest ways to advance the current 1/5,000 national base map, selected topography and natural features of a digital map that could be made with GSD 0.25m digital aerial photographs, and set up the optimal ways to make a digital map by conducting an experiment of making an optimal digital map with such photographs. It also analyzed the map made with GSD 0.25m digital aerial photographs for accuracy and usability. In order to establish a set of criteria of making a digital map with GSD 0.25m digital aerial photographs,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analyses and picked topography and natural features items, which include 9 large categories, 31 medium categories, and 509 small categories. Then an experiment of making a digital map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digital map making method. As a result, solid drawing was selected as the optimal way to making a digital map, and the optimal process was established. Us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a model digital map was made with GSD 0.25mm digital aerial photographs. The map recorded about two times horizontal and vertical location accuracy than the old 1/5,000 digital map and was capable of detailed descriptions of topography and natural features. A new national base map made with GSD 0.25m digital aerial photographs will provide reliable spatial data, thus increas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people and the level of advancement of national base maps.

국가기본도는 국가공간정보의 기준이 되는 공간정보로서 그 가치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국가기본도인 1/5,000 수치지도는 품질 및 정확도의 한계로 인하여 기초 공간정보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보완 방안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 1/5,000 국가기본도의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으로 제작 가능한 수치지도 지형 지물 항목을 선정하고,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최적 수치지도 제작 실험을 통해 수치지도 제작 최적 방법을 정립하였다. 또한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으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정확도 및 활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판독력 분석을 수행하여 대분류 9 개, 중분류 31개, 소분류 509개의 지형 지물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수치지도 제작 방법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실험을 수행하여 입체도화 방법을 수치지도 제작 최적 방법으로 선정하고, 최적 공정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 성과를 이용하여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지도 시범 제작을 수행한 결과 기존 1/5,000 수치지도에 비해 약 2배의 수평 및 수직위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지형 지물의 상세한 묘사가 가능하여, GSD 0.25m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국가기본도를 제작할 경우 신뢰성 있는 공간정보를 제공으로 대국민 서비스 만족도 향상과 국가기본도 고도화를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7, 대축척지도제작용 디지털카메라 실용화 방안 최종보고서.
  2. 국토지리정보원, 2005, 국가기본도 수정 작업 지침서.
  3. 국토지리정보원, 2005, 1/1,000수치지형도 수정.갱신작업 지침서.
  4. 국토지리정보원, 2007, 다차원공간정보 활용기술 개발연구.
  5. 국토지리정보원, 2008, 고행상도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한 1/1000 수치지도 및 정사사진 제작.
  6. 국토지리정보원, 2009, 다목적 디지털 지리정보 기반연구사업.
  7. 국토해양부, 2009, 수치지도작성작업내규(고시 제2009-590호).
  8. 국토해양부, 2009, 항공사진측량작업내규(고시 제2009-591호).
  9. 국토해양부, 2009, 1/2,500 대축척 수치지도 구축방안연구.
  10. 이현직, 2008, 다차원공간정보를 이용한 실감정사영상제작 방안, 한국측량학회지 제26권 제3호,pp.241-254.
  11. 이현직, 유지호, 고영창, 2009, 지형공간정보 생성을 위한 KOPMSAT-2 영상의 활용성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7권 제1호, pp.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