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High Resolution Image by Ortho Rectification Accuracy and Correlation Each Band

고해상도 영상의 정사보정 정확도 검증 및 밴드별 상관성 비교연구

  • 진청길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박소영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김형석 (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공학과) ;
  • 천용식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소 위성운용실) ;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Received : 2010.02.16
  • Accepted : 2010.03.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itional accuracy by performing the orthometric corrections on th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to analyze the band correlation between the high resolution images corrected with orthometric correction. The objectives also included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of NDVI. For the orthometric correction of images from KOMPSAT2 and IKONOS, systematic errors were removed in use of RPC data, and non-planar distortions were corrected with GPS surveying data. Also, by preempting the image points at the same positions within ortho images, a comparison was performed on positional accuracies between image points of each image and GPS surveying points. The comparison was also made on the positional accuracies of image points. between the images. For correlation of band and correlation of NDVI,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DN values were acquired for respective bands by adding the Quickbird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undergone through orthometric correction at the time of purchase. As result, from a comparison on positional accuracies of Orthoimages from KOMPSAT2 and Ortho Images of IKONOS was made. From the comparison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points within each image and GPS surveying points was identified as 3.41m for KOMPSAT2 and as 1.45m for IKONOS, presenting a difference of 1.96m. Whereas, RMSE between image points was identified as 1.88m. The level of correlation was measured by using Quickbird, KOMPSAT2, IKONOS and Aerial Photographs between inter-image bands and NDVI, showing that there were high levels of correlation between Quickbird and IKONOS identified from all bands as well as from NDVI, except a high level of correlation that was identified between the Aerial Photographs and KOMPSAT2 from Band 2. Low levels of correlation were also identified between Quickbird and Aerial Photographs from Band 1. and between KOMPSAT2 and IKONOS from Band 2 and Band 4, whereas, KOMPSAT2 showed low correlations with Aerial Photographs from Band 3. For NDVI, KOMPSAT2 showed low level of correlations with both of QuickBird and IKONOS.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정사보정하여 위치정확도를 검증하고 정사보정된 고해상도 영상간의 밴드 상관성과 NDVI 상관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KOMPSAT2와 IKONOS 영상의 정사보정은 RPC자료로 정오차를 제거하고 GPS측량자료로 비평면적 왜곡을 보정하였다. 그리고 정사영상내 동일한 위치의 영상점을 선점하여 각 영상의 영상점과 GPS 측량점간 위치정확도를 비교하고 영상간 영상점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밴드 상관성과 NDVI 상관성은 구입시 정사보정된 Quickbird영상과 항공사진을 추가하여 밴드별로 DN값의 기술통계를 구하고 각 영상간 밴드상관성과 NDVI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KOMPSAT2와 IKONOS 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 비교에서 각 영상내 영상점과 GPS 측량점간 RMSE는 KOMPSAT2가 3.41m, IKONOS가 1.45m로 1.96m의 차이를 보였고 영상점간 RMSE는 1.88m였다. Quickbird, KOMPSAT2, IKONOS, 항공사진을 이용한 영상간 밴드와 NDVI 상관성은 Band2에서 항공사진과 KOMPSAT2의 상관성이 높은 것을 제외하면 모든 Band와 NDVI에서 Quickbird 와 IKONOS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밴드간 상관성이 낮은 경우는 Band1에서 Quickbird와 항공사진, Band2와 Band4에서 KOMPSAT2와 IKONOS, Band3에서 KOMPSAT2와 항공사진이었고 NDVI는 KOMPSAT2가 QuickBird, IKONOS 모두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 이용욱, 박준규, 2003, "RPC와 GCP를 이용한IKONOS 위성영상의 기하보정",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2호, pp.165-172.
  2. 구자용, 2007,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도제작기법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제41권 1호,pp.83-94.
  3. 기태영, 홍민기, 김천, 최준수, 2009, "지상기준점선택에따른 KOMPSAT2영상의 기하보정 정확도 비교",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pp.270-274.
  4. 김훈정, 김감래, 정해진, 조원우, 2008, "입체 영상칩을 이용한 영상기준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6권 4호, pp.423-431.
  5. 유복모, 2004, "측량학원론 II", 박영사, p.709.
  6. 이광재, 김용승, 2005, "다중분광 자료를 이용한 영상기반의 대기보정 연구", 항공우주기술, 제4권 1호, pp.211-220.
  7. 이미선, 김성준, 신형섭, 박종화, 신형진, 정인균, 정철훈, 2009, "KOMPSAT-3급 위성영상을 이용한 농업 토지이용 및 식생 정보추출",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 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1-34.
  8. 이태윤, 김태정, 박완용, 2007, "정사영상과 DTEDLevel2 자료에서 자동 추출한 지상기준점의 IKONOS위성영상 모델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5권 4호, pp.103-109.
  9. 정재훈, 이태윤, 김태정, 박완용, 2008, "고해상도 영상자료로부터 추출한 DEM 및 정사영상 생성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80-85.
  10. 홍민기, 홍성후, 기태영, 김천, 2009, "고해상도 위성화상을 이용한 단순림(單純林) 식생지수 비교",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279-279.
  11. Jensen, R. J., 1996, "Introductory Digital Image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2. Lee, D. H., Seo, D. C., Song, J. H., Choi, M. J., Lim,H. S., 2008, "Summary of calibration and validationfor KOMPSAT-2,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Information Sciences, pp.53-56.
  13. Wolf, P. R., Dewitt, B. A., 2000, "Elements ofPhotogrammetry with Applications in GIS", 3rd Ed.,Mc GrawHill, p.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