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Economic Resources on Marriage-Delaying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 유홍준 (성균관대학교 사회학) ;
  • 현성민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 Received : 2010.02.17
  • Accepted : 2010.03.3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One of the reasons for low fertility rate in Korea is related to the delayed marriage among the population belong to marriage cohorts.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conomic resources such as level of education, whether employed or not, and occupation have affected one's marriage opportunity and how it is differed by gender. Meanwhile, the changes in the influence of economic resources and the changes in the marriage norms were also studied by analyzing 2% Census data in 1995, 2000 and 2005. Total number of 1.1 million men and women in their ages between 20 to 44 are included in data and binary-logistic analysis is used for statistical research. This study supports a traditional hypothesis that the influence of economic resources on probability of marriage is different by gender. More important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e quality of economic resourc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for men since Asian economic crisis a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it on women is declining since 2000.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arriage norm has recently decreased on the part of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tendency of polarization of marriage market in Korea affected by economic polarization since Asian economic crisis.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의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고, 그 원인 중의 하나는 결혼 적령기 연령층의 결혼이 지연되는 현상과 연관된다. 최근의 미혼 비율 증가 경향과 관련하여, 이 연구의 기본목적은 교육수준, 취업 여부, 직업 같은 경제적 자원이 결혼 가능성 혹은 결혼 연기에 미친 영향이 성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1995년, 2000년, 2005년 세 시점의 자료를 분석하여 외환위기 전후 경제적 자원의 영향력 변화를 비교하면서 결혼적령기 연령규범 영향력의 변화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1995년, 2000년,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Census) 2% 원 자료에서 추출한 만20세에서 만44세까지의 남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표본수는 약 110만명이다. 연도별, 성별로 경제적 자원이 결혼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항 로지스틱(logistic)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 가능성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영향을 분석하면서 그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전통적 가설을 재확인할 수 있었고 경제위기 이후 남성에게서 경제적 자원의 질적인 측면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과 여성에게서 경제적 자원이 결혼가능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다소 완화되는 추세를 보인다는 점을 발견한 학술적 기여를 하였다. 결혼적령기 연령규범은 적어도 여성들의 경우에는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의 전반적인 발견은 우리사회에서 경제위기 이후의 경제적 양극화 경향이 결혼시장에서도 양극화 추세로 나타나는 조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섭 (2007a) 집문당.
  2. 김두섭 (2007b)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67-95.
  3. 김승권 (2004) "최근 한국 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인구학> 27(2): 1-34.
  4. 김정석 (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5. 김주성 (2005) "가족구조와 관계의 변화 및 전망" <경제.인문 사회연구회 협동 연구총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6. 박경숙,김영혜,김현숙 (2005)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 계층혼, 성 역할 분리 규범, 경제조직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 28(2): 33-62.
  7. 유홍준,김월화 (2006) "한국 직업지위지수: 과거와 현재" <한국사회학> 40(6): 153-186.
  8. 은기수 (1995)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규범과 순서규범" <한국인구학> 18(1): 89-117.
  9. 은기수 (2001)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 간격의 관계" <한국인구학> 35(6): 105-139.
  10. 은기수 (2004) "한국의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 <제1차 한국종합조사(KGSS) 심포지엄> : 181-2050.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터.삼성경제연구소.
  11.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 <보건복지포럼> 4: 25-35.
  12. 은기수(2006) "가족가치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성별 및 세대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8(3): 1-31.
  13. 이성용 (2006)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 29(3): 111-137.
  14. 장혜경 (2004)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가족보고서> : 178-210.
  15. 조은 (2008)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가족 정치의 지형: 계급과 젠더의 경합" <한국여성학> 24(2): 5-37.
  16. 조희금,어성연,고선강 (2008)"미혼남녀의 결혼 지연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 125-132.
  17. 최새은,옥선화 (2003)"30대 기혼남녀의 초혼연령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 8(1): 53-73.
  18. 통계청 (1995; 2000)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19. 한경혜 (1993)"사회적 시간과 한국남성의 결혼연령의 역사적 변화" <한국사회학> 27: 295-317.
  20. Becker, G.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21. Coppola (2004) "Education and Union Formation as Simultaneous Processes in Italy and Spain"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20: 219-250. https://doi.org/10.1007/s10680-004-1781-2
  22. Goldstein, T. K. (2001) "Marriage Delayed or Marriage Forgone? New Cohort Forecasts of First Marriage for U.S Woma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4): 506-519. https://doi.org/10.2307/3088920
  23. Goldsheider, F. K. and L. J. Waite (1986) "Sex Difference in the Dntry into Marriag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91-109. https://doi.org/10.1086/228464
  24. Kalmijn and Luijkx (2005) "Ha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Marriage Changed for Men?" Population Studies 59(2): 211-231. https://doi.org/10.1080/00324720500099587
  25. Lloyd, K. M. and S. J. South (1996)"Contextual Influences on Young Men's Transition to First Marriage" Social Forces 74(3): 1097-1119.
  26. Oppenheimer, V. K. (1997) "Woman's Employment and Gains to Marriage: The Specialization and Trading Model" Annual Review of Sociology 94: 563-591.
  27. Sweeny, M. M. (2002) "Two Decades of Family Change: The Shifting Economic Foundations of Marriage"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7(1): 132-147. https://doi.org/10.2307/3088937
  28. Waite, L. J. and G. D. Spitze (1981) "Young Women's Transition to Marriage" Demography 18: 681∼694. https://doi.org/10.2307/206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