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alyzing Actual Condition for Developing A Married Immigrant Families Support Program from the Consumer' Viewpoint: Focused on Seoul Residing Married Immigrant Women

수요자 관점의 결혼이민자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실태 분석: 서울시 거주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 김양희 (중앙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안진경 (중앙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Received : 2010.05.15
  • Accepted : 2010.08.2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base line research, which is based on reques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for developing social adaptation and family enrichment program for those population who reside in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42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who reside in Seoul to research program participate satisfaction and requestion. Analyze the study result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Duncan-post test were utilized. As a result, overall satisfaction toward program that offered by organization was highly ranked. Visiting service showed high score of satisfaction but mentor service that strongly possess sacrifice showed lower score of satisfaction. Vocational and job-related skill improvement education presented less satisfied degree of satisfaction but cooking class, computer class, training education for native-speaking instructor present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the requisition of target population, who did not participate program, presented lower than the satisfaction, still present high demand of variety area of program. Among them, assist child nurturing and vocational and job- related skill improvement education showed high demand. It enable to predict that they are eager to get support toward parent role and self-realization. Third, when the difference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subjective judgement toward life adaptation in Korea and the satisfaction for program user and the requisition of non-user,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ed; especially, individuals who possess confident degree of computer skills and Korean(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o vocation and job-skill related improvement education.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which is based on the study results, on developing a program to support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to satisfactory settlement in Korea life and to maintain healthy familie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중앙대학교

References

  1. 강기정 . 정천석(2009).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정생활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3권 2호, pp. 153-167.
  2. 계선자 . 강혜경 . 정미선(2009). 다문화가족의 결혼생활 관련요인 분석. 용산구 다문화가족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3권 3호. pp. 31-57.
  3. 김승권 . 김유경 . 조애저 . 김혜련 . 이혜경 . 설동훈 . 정기선 . 심인선(2009).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보건복지가족부 . 법무부 . 여성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0-06
  4. 김양희 . 박정윤 . 김효민 . 백선아(2008). 결혼이민자가족 관련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제 12권 2호, pp. 121-140.
  5. 김유경(2005).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51호 pp. 29-52.
  6. 김현숙(2010).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제62권 제2호 pp. 135-159.
  7. 매일경제뉴스. 2010-4.27. http://news.mk.co.kr/v3/view.php?year=2010&no=215722
  8. 박기관(2009). 다문화시대 결혼이민자의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지방자치학회 학술대회, 2009년도 동계학술대회논문집, pp. 87-106.
  9. 박재규(2009). 국제결혼여성이민자 및 남편의 가족사회생활적응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보건사회과학 제26집, pp. 137-163.
  10. 박진영(2009).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어려움과 교육참여 경험. 평생교육학회지. 제15권 2호 pp. 77-104.
  11. 박행모 . 문승태(2008),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사회생활적응 교육을 위한 실태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 40권 제 2호 pp. 69-91.
  12. 법제처. http://www.moleg.go.kr/
  13. 설동훈(2006). 한국의 결혼이민자 가족 : 현황과 정책,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06년 추계학술대회, pp. 1-20.
  14. 설동훈(2010). 다문화 가족정책의 현황과 과제.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월간 복지동향 제138호, pp. 13-17.
  15. 설동훈 . 윤홍식(2005). 국내 거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5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2005.10, pp.247-265.
  16. 양순미(2006).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부부의 적응지원 정책개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2006 농림과학기술대전학술행사, pp. 78-84.
  17. 오윤자 . 정민자 . 라휘문 . 박정윤 . 김상만(2009), 2009용역 연구 보고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모델 및 발전방안'. 보건복지가족부
  18. 유용식 . 손호중(2009). 다문화 사회 대응 정책 우선 순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6권 2호. pp. 447-470.
  19. 이순형(2007). 농촌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적응문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pp. 13-27.
  20. 이혜자 . 강기정(2009). 다문화가정의 적응과 우리사회의 대응, 한국행정학회 Conference 자료, 한국행정학회 2009년도 다문화 가족의 정착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방안 2009.2, pp. 8-27.
  21. 장명선 . 이옥경(2009), 서울시 결혼이민여성 취 . 창업능력개발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위한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09-정책개발-015
  22. 장진경 . 전종미 . 신유경(2008).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가족의 적응성 저해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기타간행물, 2008년 추계학술대회, pp. 47-63.
  23. 정기선(2008).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사회생활적응: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0집. pp. 70-103.
  24. 조상균 . 이승우 . 전진희(2008). 다문화가정지원법제의 현황과 과제. 전남대학교5.18연구소, 민주주의와 인권 제8권1호, pp. 147-174.
  25. 최승희(2008). 국제결혼가족에 대한 실천 및 정책 제언.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월간 복지동향, 월간 복지동향 제117호, pp. 4-8.
  26. 최운선(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제46권 1호 pp141-181.
  27. 최혜지(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 1호. 2009.2. pp. 163-194.
  28. 추현화 . 박옥임 . 김진희(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 배우자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08년 춘계학술대회, pp. 285-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