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tooth scaling experience of Korean adolescents

청소년의 치석제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eon, Mee-Jin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Dong-Kie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전미진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
  • 김동기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 Received : 2010.06.07
  • Accepted : 2010.08.04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Objectives. The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ooth scaling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 procedure in korean adolesc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4,698 subjects who answered to the 200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responses of 73,836 subjec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alyse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2.0 included Chi-square test to identify tooth scaling rate according to subject characteristics and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d independent significance. Results. Of the respondents, 10,060 (25.6%) had received tooth scaling. School Grade municipality of residence and economic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ions with scaling. The practice of scaling displayed significant point, related differe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Multiple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were school grade, city of residence undiminished healthy, tobacco smoking, bleeding gums, sealant experience and previous fluoridation. Conclusions. Public policy is needed to prevent economic constraints from worsening oral health.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should be communicated.

Keywords

References

  1. 민병근, 최상진, 이길홍. 한국 청소년의 의식구조와 행동양식. 중앙대학교 한국 청소년 문제 연구소 1978;1(1):1-118.
  2.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김진범, 김동기, 이흥수 외 1인. 공중구강보건학. 4판. 서울:고문사;2009:37-48, 121.
  3. 김영임, 이규영, 박은옥. 학교건강증진 프로그램 실시 현황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5;18(2):1-13.
  4. 김종배, 백대일, 문혁수, 김현덕, 진보형, 최유진 외 11인. 임상 예방치학. 4판. 서울:고문사;2006:175-177.
  5. 신형식, 김은숙, 남용옥, 류정숙, 성미경, 송경희 외 3인. 치주과학. 서울:고문사;2003:101-105.
  6. 정은경. 제조업 근로자의 치면세마에 대한 형태와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대구: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2004.
  7. 김종배, 김유진, 문혁수, 김진범, 김동기, 이흥수 외 1인. 공중구강보건학. 4판. 서울:고문사; 2004:3, 75-93.
  8. 구강보건정책연구회. 우리나라 구강보건의 현황과 문제점. 제1회. 1998;5:5-11.
  9. 보건복지부. 2006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보건복지부;2007:60, 98.
  10. 원상연, 신승철, 김선영. 대학 신입생들의 구강상태 인식도와 상태구강진료필요도에 관한 상관관계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7;21(3):491-503.
  11. 임기정. 외과적 치주치료 중 치주질환으로 기인된 치아별 상실률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광주:조선대학교 대학원;1990.
  12. 노인기,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한국사람 치아 발거원인 비중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8;22(3):183-192.
  13. 박갑용.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발거경향 및 치은연하치석의 형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경희대학교 대학원;1984.
  14. 이민영. 노인구강보건지식, 행위, 상태, 태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서울: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2005.
  15. 윤영주, 김경원, 황태윤, 이경수. 근로자의 치아 치면세마가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3):432-440.
  16. 보건복지부. 2003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요약본. 서울:보건복지부;2004:28, 29.
  17. 강현경, 김경미, 김수화, 김정숙, 남용옥, 류정숙 외 6인. 치주과학. 3판. 서울:고문사;2009:106-107.
  18. Carranza FA. Glickman's clinical periodontology. 7th ed. Philadelphia: Saunders;1990:325.
  19. 보건복지부. 2003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2004:72-73.
  20. Lovdal A, Arno A, waerhang J. Incidence of clinical manifestation of periodontal disease in light of oral hygien and calculus formation. J Am Dent Assoc 1958;56(1):21-33.
  21. 유미선, 구경미, 김정숙. 전북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2009;9(2):225-230.
  22. 최연희, 이정희, 이상규. 우리나라 대도시, 중소도시, 군지역 간 성인 구강건강 수준의 차이. 대한구강보건학회 2009;33(2):243-253.
  23. 김명희, 조영태. 서울시 노인의 구강통증 여부 및 치과서비스이용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1):103-114.
  24. 윤영주, 김경원, 황태윤, 이경수. 근로자의 치아 치면세마가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3):432-440.
  25. Wierzbicka M, Petersen PE, Szatko F, Dybizbanska E, Kalo I. Changing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 of school children in poland. Comm Dent Health 2002;19(4):243-250.
  26. Chen MS. Children's preventive dental behavior in relation to their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health beliefs and dental behaviors. ASDC J Dent Child 1986;53(2):105-109.
  27. 전보혜, 최영숙, 조영식. 부모의 구강관리가 아동의 구강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2):211-226.
  28. 강현숙. 부모의 아동에 대한 구강관리가 아동의 구강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00;13(2):319-330.
  29. 김은숙. 건강개념과 치주질환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이행과의 관계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1986.
  30. 전미진, 황선희. 일부 군인의 흡연실태와 구강건강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10;10(2):243-254.
  31. Yun HS, Yi HG, Yi SG. Correlation between freshman's consciousness of dental health and dental hygiene. J Agr Med Community Health 1996;21(1):99-104.
  32. 손정희, 정세환. 불소용액사업별 구강위생관리 개선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8;32(3):322-328.
  33. 김종배. 불소용액양치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80;4(1):75-82.
  34. 박흥식, 김종배.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83;7(1):97-107.
  35. 최정이, 김동기. 한국 성인의 본인이 인지한 양대 구강병과 식품섭취와의 관련성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9;33(2):20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