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amcheok and Taebaek of Kangwon Southern Region

강원 남부 삼척과 태백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11.01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vegetation types and stand structures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Kangwon southern region for stable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he pine forests in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4 communities, 2 groups, so total 6 vegetation units. Species with high constance degree were Quercus mongolica, Rhus trichocarpa, Lindera obtusiloba, Lespedeza maximowiczii, Quercus serrata, Spodiopogon sibiricus, Aster scaber and Fraxinus sieboldiana. In the importance value(I.V.) analysis of each layer, P. densiflora showed highly in tree layer while in other layers competitive broad-leaved species such as Quercus spp. were high. P. densiflora also showed large size of DBH, while broad-leaved species distributed middle and small DBH. The annual ring growths of P. densiflora and competitive broadleaved species were variable according to area, site condition, tree year and species, it is considered that appropriate silvicultual practice methods should be employed to remove rival broad-leaved species for maintenance of sustainable red pine fores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nd.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산림으로 유지하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남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4개군락 2개군으로 총 6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 개옻나무, 생강나무, 조록싸리, 졸참나무, 큰기름새, 참취, 쇠물푸레 등이 상재도가 높은종으로 나타났다. 층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소나무보다 경쟁목인 참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종들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직경급 분포에서도, 소나무는 주로 대경목에 분포한 반면, 중 소경목은 대부분 활엽수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경쟁 활엽수종의 연간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입지적조건 및 수령과 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 하층에서 소나무와 경쟁관계에 있는 활엽수에 대한 적절한 시업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10. 기상청 국내기후자료. www.kma.go.kr.
  2. 김성덕, 송호경. 1995. 경북 불영계곡 소나무 (Pinus densiflora)림의 재생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4(3): 40-51.
  3. 산림청. 2006. 산림통계연보. www.forest.go.kr.
  4. 양효식. 2002.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5(2): 127-134.
  5. 윤충원, 홍성천. 2000. 금강송림의 식생류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9(3): 310-322.
  6. 이광수, 이중효, 김석권, 배상원, 정문호. 2009.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1): 56-64.
  7. 이중효, 홍성천. 2004. 불영사계곡 일대 소나무림의 군집유형과 개체군 동태. 한국임학회지 93(1): 59-66.
  8. 이동섭, 김동근, 배관호, 서형민. 2005. 연륜 변화를 이용한 의성지역 주요 조림수종의 생장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7(4): 274-281.
  9. 이호준, 전영문, 정홍락, 길지현, 홍문표, 김용욱, 장일도. 1998. 남산자연공원의 식물군락분류와 토양환경. 한국생태학회지 21(5-3): 633-648.
  10. 전영문. 2001. 한국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연구. 건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한상섭, 박완근. 1988.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과 (直徑生長) key-Year. 한국임학회지 77(2): 216-222.
  12. Dierssen, K. 1990. Einfubrung pflanzensoziologie. Akademie- Verlag Berlin. pp. 241.
  13.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s IV. 136pp.
  14. Mirov, N.T. 1967. The genus Pinus. The Ronald Press Company,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