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Protected Trees in Gangwon-Province

강원도 보호수의 현황과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 Kim, Hea-Ran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Park, Jun-Seok (Asia Environment Landscape) ;
  • Lee, Ki-Eui (Asia Environment Landscape) ;
  • Park, Won-Jei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김혜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박준석 (아세아환경조경) ;
  • 이기의 (아세아환경조경) ;
  • 박원제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01.18
  • Accepted : 2010.03.16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urrent states and management of the protected trees in Gangwon-do. There were 701 protected trees in 42 species designated by 2008, which were distributed at 425 places. Major species were Zelkova serrata(29%), Pinus densiflora(24%), Ulmus davidiana var. japonica(11%), and Ginkgo biloba(5%). The protected trees played various roles in the villages, mostly as sacred trees(43%). The 51% of protected trees were 300 years or more in age, the 53% were more than 20 m in height, and the 57% were more than 300 cm in girth at breast height. The 69% of the protected trees have been designated for protection in 1982 and the rest have been designated by the local cities by 2008. The species number of the protected trees in Youngseo reg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Youngdong region. The major species were Zelkova serrata (33%) and Pinus densiflora(17%) in Youngseo region, and were Pinus densiflora (38%) and Zelkova serrata(19%) in Youngdong region.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species was 33:1 in Youngseo region, and were 25:6 in Youngdong region. The 29% of protected trees were located in the field, 28% in the mountain, and 25% in the villages. The 45% of the ground were covered by herbaceous plants, 39% exposed, and 10% gravel mulch. Most of the protected trees had good growing conditions. The 70% of the protected trees were under good maintenance, and the rest were under undesirable conditions. The soil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ed tree areas in Gangwon-do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 average. It seemed to be necessary to increase designation of protected trees based on the tradition, history, local value and academic application in Gangwon-do.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suggest plans to utilize and manage protected tree areas for enhancing the value of natural heritages in Gangwon-do.

본 연구는 강원도 18개 시 군에서 지정한 보호수를 조사한 결과 425개소에 701주였다. 총 종수는 42종이며, 느티나무가 2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소나무 24%, 느릅나무 11%, 은행나무 5%의 순이었다. 강원도 보호수의 유형으로는 당산목, 정자목, 풍치목, 명목, 보목, 기형목 등으로 분류되었고, 당산목이 43%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정자목과 풍치목이 각 26%였다. 강원도 보호수의 수령은 300년 이상 되는 것이 51%(357주)였고, 수고는 20m 이상 되는 것이 53%(371주)였으며, 흉고둘레도 300 cm 이상인 것이 57%(400주)였다. 강원도의 보호수는 1982년 11월 13일에 69%가 지정되었고 나머지 31%는 2008년까지 꾸준히 지정되어 왔다. 영서와 영동지방의 보호수를 비교해 보면 영서지방이 종수가 8종이나 많았고, 영서지방에서는 느티나무가, 영동지방은 소나무가 많았다. 상록수와 외래종의 비율은 영동이 매우 높았으며, 이는 기후 등 환경 요인의 영향이라고 사료된다. 강원도 보호수의 입지 현황은 들판형이 29%, 동산형이 28%, 주택지 마을형이 25%의 순이었고, 근원부 현황은 초본류로 피복된 곳이 45%로 가장 많았고, 나지상태가 39%, 자갈 멀칭이 10%의 순이었다. 보호수의 생육 상태는 88%가 양호하였고 관리 상태는 약 70%가 비교적 잘 되어 있었으며, 30% 정도는 거의 방임상태였다. 토양분석 결과는 전국의 평균값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보호수 생육에 지장이 없었다.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면 보호수의 생장에 토양으로부터의 문제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였으며, 보호수 주변에 이용시설 즉 쉼터나 소공원을 조성하여 주민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한 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보호수의 보호를 위해 보호철책과 안내판의 설치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지자체나 지역주민의 주기적인 관리와 정비와 함께 전문가들의 의견수렴과 행정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강원도의 전통과 역사성, 향토미, 학술적 이용 등에 바탕을 둔 계속적인 보호수의 지정이 필요하며, 보호수 지역의 이용과 관리방법의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는 것은 강원도 자연유산의 가치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하고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청(2008). 산림정책과 산불방지계.
  2. 강현경, 이승제(2004).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II -서울, 인천,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36-45.
  3. 강호철, 이정환(2005).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실태와 보건대책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68-83.
  4. 김승환, 김순희(1995). 부산시 보호수의 환경 및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연구보고. 18(1): 121-140.
  5. 김승환, 김순희(1996). 부산시 노거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생육환경 및 배치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4(2): 86-98.
  6. 김용수, 임원현, 노정화, 윤영환(1996). 노거수목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4(2): 1-18.
  7. 김용수, 임원현(1996). 도시역 노거목의 잔존형태와 그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14-28.
  8. 김학범(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농촌진흥청(2006). 농업과학기술원.
  10. 내무부(1972). 보호수지. 문화재관리부.
  11. 문화재청(2001). 천연기념물.명승보존 관리.
  12. 문화재청(2002).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13. 박영수, 심경구(1993). 학교 조경수목 식재현황 조사를 통한 향토수종이용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1): 31-50.
  14. 심경구, 이준복, 하유미(1998). 한국 자생 팥배나무 노거수의 생태적 특성. 원예과학기술지. 16(3): 467.
  15. 이기의, 이우철, 조현길(1988). 강원도내 조경식물의 배식과 이용. 한국조경학회지. 15(3): 33-50.
  16. 이기의, 이우철, 송융남(1980). 관광지 조경을 위한 야생초화류와 관목류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21(1): 78-86.
  17. 이우철(1982). 강원도 희귀자원 조사 보고서. 한국자연보존협회 강원도지부.
  18. 이종석(1979). 우리나라의 조경식물 이용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3: 1-11.
  19.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20. 근, 서정영, 이재근(2009). 노거수 환경여건 개선을 위한 은행나무와 소나무의 생육환경 분석 -천연기념물 및 시․도 기념물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57-65.
  21. 정진형, 노희선, 이기의(2004). 춘천시의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 현황. 한국조경학회지. 32(4): 7-20.
  22. 조무현, 민경현(1973). 조경수목의 개발을 위한 야생식물 특성조사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창간호: 22-24.
  23. 최재웅, 김동엽(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24. 홍혜옥, 이기의, 류근창(1984). 한국산 자생 만병초에 관한 연구(III). 한국원예학회지. 25(1): 50-55.
  25. Carpenter, P. L., T. D. Walker, and F. O. Lanjphear(1975). Plant in the Landscape. San Francisco: W. H. Freeman and Company.
  26. Grey, G. W. and F. J. Deneke(1978). Urban Forestry. New York: John Wiley & Sons, 43-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