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Conservation & Management of the Natural Monuments of Korea

국내(國內)의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보존(保存) 관리(管理) 실태(實態)

  • Na, Moung-Ha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Royal palaces & Tombs Management Division) ;
  • Lee, Jin-Hee (Univ. of Sangmyung University, Dept of Envirom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
  • Lee, Jae-Keun (Univ. of Sangmyung University, Dept of Envirom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 나명하 (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 궁능문화재과) ;
  • 이진희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04.12
  • Accepted : 2010.06.30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ed and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the improved plans related to natural monument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Replacing the current term 'cultural properties', which denotes the meaning of 'goods', we need to devise an new categorization that separates such properties into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under the national heritage framework. Second,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natural monuments should be divided into the individual realm for animals and plants respectively, since they are not divided in the current Act. Third, the guidelines for naming of natural monuments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following new categories in accordance with the clear standards. Fourth, such imbalances require us to give priority to the relatively neglected types and areas. Fifth, as the big and old trees account for more than a half of the designated plants, it is necessary to search out new resources(wet plant communities, seashores, sand dune plant communities, etc.) such as geological resources, mineral springs, hot springs, and fossils that are in danger of completely being exploited and exhausted. While most of the designated animals are protected nationally, the existing designation system is required to protect habitats and breeding places for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conservation. Sixth, as long as we need to preserve thos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r the future generations from national and global perspectives, we should enhance their values by designating them as natural monuments even though they are protected by other regulations such as the natural environment area. Seventh, as a result of the survey, we found that more budgets and experts in the local governments, more empowered organizations, more active public particip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better Natural Monument management in Korea. Eighth, the Lap of Natural Heritage i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eeds to be developed to the Natural Heritage Institute to conduct the diverse activities such as researches, restor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programs in a systematic and efficient way. Ninth and the last, major damages to natural monuments can be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e artificial one and natural one, respectively. The artificial damages include toxics, soil covering, excessive humidity, fir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works, unlawful damages, fishing, oil spillage, etc, and the natural ones include lightning, storms(typhoons), heavy snowfalls, damage by insects and diseases, lack of prey, etc. This study will become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specific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s,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monuments on the basi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natural monuments. We wish to leave the other subjects related with this study to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국내의 천연기념물 지정 제도, 지정 현황, 관리 실태에 대한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천연기념물 전반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것으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화(財貨)적 의미가 담긴 문화재라는 용어 대신 큰 틀에서 국가유산 내에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으로 분류체계를 개선하고, "문화재보호법"에서 자연유산 관련 조항을 분리하여 자연유산 관련 법령을 신설 제정하거나, 별도의 장을 마련하여 법령을 정비해야 한다. 둘째, 천연기념물 지정 기준은 동 식물을 함께 묶어 규정하고 있어 불합리하므로 이를 분리하고, 지질 광물, 천연보호구역 등도 명료화하여 천연기념물 지정 시 지정 기준을 명확히 명시할 수 있도록 보완하며,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에서 도입된 역사성 있는 식물도 제도(등록기념물 등)를 마련하여 보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천연기념물 지정 명칭 부여를 명확한 기준과 원칙에 새로운 유형을 정하도록 지침을 마련한다. 넷째, 천연기념물 자원을 발굴하여 지정을 적극 확대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식물은 노거수가 절반 이상으로 편중되어 있어 새로운 자원(습원식물군락, 해안 및 사구식물군락 등)을 찾아 지정하고, 지질은 지금까지 지정하지 못한 약수, 온천, 화석 등의 다양한 자원을 발굴하여 훼손되기 전에 시급히 지정해야 한다. 여섯째, 우리의 삶과 함께 해 온 역사성과 문화성 등이 깃들어 있는 대상으로 세계적, 국가적으로 보호할 가치가 충분하다면, 자연환경 분야 등 타 법률로 보존되고 있더라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가치를 높여 나가야 한다. 일곱째, 천연기념물 관리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 천연기념물 관련 예산 증액과 조직 확대, 지방자치단체 전문인력 확보, 민간단체 및 자원봉사자 참여 방안 마련, 문화재위원회(천연기념물분과)의 개편 등이 필요하다. 여덟째,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을 자연유산연구소로 확대 개편하여 조사 연구 복원 전시 교육 기능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아홉째, 천연기념물의 주요 훼손 사례를 분석해 보면, 크게 인위적인 피해와 자연적인 피해로 나눌 수 있다. 인위적인 피해로는 독극물(약물), 복토, 과습, 화재, 공사 및 유지 관리, 불법 훼손, 어로 행위, 원유 유출 사고 등이 있으며, 자연적인 피해로는 낙뢰, 태풍(강풍 등), 폭설, 병충해 및 질병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전반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천연기념물의 제도, 지정, 관리에 대한 구체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본 결과로부터 파생되는 세부 항목의 연구는 차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식(2008). 중국의 문화재보호 법규 연구.최신외국법제정보. pp.26-33.
  2. 나명하(2007). 남․북한 천연기념물 관리정책의 비교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리성대, 리금철(1996). 북한의 천연기념물편람. 농업출판사.
  4. 문화유산의해 조직위원회 (1997). 천연기념물 보호세미나(김윤식 발표 자료)
  5. 문화재청(2003). 천연기념물백서.
  6. 문화재청(2004). 문화재보호법 정비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7. 문화재청(2004-2008). 식물분야 천연기념물 실태조사(1차-5차).
  8. 문화재청(2002-2003). 천연기념물 노거수 실태조사연구 보고서(1차-2차).
  9. 문화재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중앙과학기술통보사(북한), 과학기술부(2006). 우리의 천연기념물 CD-ROM.
  10. 문화체육부 문화재관리국(1993). 문화재대관 천연기념물편 I, II(증보).
  11. 박상철, 김창규(1995). 북한의 문화재보호 관계법제. 한국법제연구원.
  12. 박상철, 김창규(1995). 북한의 환경보호 관계법제. 한국법제연구원.
  13. 박선애(2007).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정리사업 연구.동의대석사학위논문
  14. 박종민(2003). 북한의 천연기념물 관련 제도와 현황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2): 40-51.
  15. 이승제(2003). 활력도 및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노거수 관리 방안. 상명대 박사학위논문.
  16. 이인규(2009). 명승의 현황과 전망 국제심포지엄. 국립문화재연구소.
  17. 일본산림학회(1913). 노수명목 조사(은행나무 등 28주 기록).
  18. 일본산림학회(1919). 전국적인 한국의 노수명목 조사(소나무 등 64종 5,330주).
  19. 장호수(2002). 문화재학개론. 서울: 백산자료원.
  20. 정근(2008). 노거수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주변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종수(2007). 노거수 외과수술실태 및 보존관리 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조선문화보존사(2005). 조선천연기념물도감 1(북한).
  23. 최윤정(2007). 문화재보호법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하태주(2003). 노거수의 생육환경과 수목 외과수술 후 유합조직형성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