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based on Community Spaces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s

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 Kim, Soo-Jin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Park, Jung-Lim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김수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
  • 박정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eceived : 2010.11.08
  • Accepted : 2010.11.27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wisdom of our ancestors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and finding out cues to designate and utilize community space in planning residential area in villages by examining community space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from cultural landscape point of view. This study designated 18 Korean traditional villages which have been preserv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up to now, so deserve conservation from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viewpoint. This study divided community spaces in each village into social area and ritual area depending on their uses and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pilot study and main study. In addition, ritual areas were also divided into Confucian ritual area and ethnic ritual a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of space location and users by understanding the location of community space factors in the 18 villages. As for the factor analysis of community spaces, community factors established after the modern age were examined from modern viewpoint, and factors which had been destroyed or lost their original functions were examined from retrospective viewpoint.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cultural landscape in Korean traditional villages were affected by social relationship among villagers. The community spaces of villagers were multiple-function space rather than a space which was exclusively used by a specific class. Though the occupation of these spaces was separated and differentiated depending on sexes and ages, villagers tried to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through tacit commun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마을에서 공동체적 문화가 행해지던 공간의 문화경관적 해석을 통하여 전통마을에서 면면히 이어져 온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마을단위의 주거단지 계획시 공동체적 공간을 설정, 활용하는 간접적인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사례연구지는 역사, 문화, 예술적으로 전승가치가 있으며, 전통문화를 잘 보존, 전승하고 있는 18개의 전통마을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의 방법으로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각 마을별 공동체 공간을 장소의 활용과 기능에 따라서 사회적 영역과 의식적 영역으로 분리하여 고찰하였다. 또 의식적 영역을 유교적 의례공간과 민속적 의례공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각 조사대상지의 공동체 공간요소의 위치를 파악하여 공간의 이용주체와 공간의 장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공동체 공간의 요소별 분석으로 근대 이후 건립된 공동체 요소는 현재적 기점에서, 그리고 과거 조성되어 소실 등의 이유로 장소성이 상실되거나, 기능이 상실된 공동체 공간의 경우는 회고적 기점에서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통마을의 공동체 공간에 내재된 문화경관은 마을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의 영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주민들의 공동체 공간이 단지 개별적인 독립된 계층에 의해 점유된 공간이라기보다는 공간의 사용유무에 따라 다의적인 장소로서의 활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남녀노소의 사용계층에 따라서 공간의 점유가 분리되고 차별화되어 있지만 서로 간의 암묵적인 소통을 통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환(2006). 한국 전통 정주지의 해석을 통한 친환경적 주거단지 조성 방안: 입지선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동찬, 이윤수, 임상재(1999). 무속 공간모형에 의한 남사마을 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95-107.
  3. 김미성(2008). 도시축제와 공동체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 대중서사연구. 20: 311-343.
  4. 김세철(2005). 솟대신앙의 커뮤니케이션적 특성과 의미. 언론과학연구. 5(1): 92-113
  5. 김수진, 정해준, 심우경(2007). 전통마을 공동체적 공간의 의미해석-전남 영광군 효동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94-105.
  6. 김수진(2010). 전통마을 공동체 공간의 문화경관 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한배(1981). 문화경관적 상징성의 체계로 본 한국전통 마을의 경관구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국정브리핑자료(2005. 2. 16).
  9. 신상섭(2000). 전통마을 공간구성에 작용된 환경설계원칙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1): 20-31.
  10. 심우경(1987). 조경에서 생태학과 풍수사상의 관련성. 한국정원학회지. 1(6): 149-160.
  11. 이재근(1981). 민간신앙이 한국전통마을의 조경요소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하회.양동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해준(2005). 한국의 마을문화와 자치․자율의 전통. 한국학논집. 32: 213-234.
  13. 임재해(2001). 농촌 공동체 문화의 활성화 방향 구상과 실천과제. 한국민속학회지. 33: 255-297.
  14. 임재해(2007). 마을민속 조사연구방법. 서울: 민속원.
  15. 장동수(2001). 한밤마을 의례경관의 의미. 한국정원학회지. 19(35): 1-10.
  16. 최협(1998). 전통적 공동체의 문화적 재생: 낙안읍성 사례연구.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9: 193-261.
  17. 표인주(2002). 남도민속문화론. 서울: 민속원
  18. 홍성구(2009). 온라인 커뮤니티를 매개로 한 아파트 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9(1): 227-270.
  19. 행정자치부(2007). 살기 좋은 지역만들기 성공매뉴얼 개발연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20. Rapoport. A. 이규목 역(1985). 주거형태와 문화. 서울: 열화당.
  21. Hillery George A.(195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2): 111-123.
  22. Redfield. R.(1947). The Folk Society. American Journal Society. 52: 293. https://doi.org/10.1086/22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