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원가계산방식에 의한 다가구임대주택 해체공사비 예측

Demolition Cost Estimation of Small-size Rental Housing based on the Quantity per Unit Method

  • 투고 : 2011.09.05
  • 심사 : 2011.10.19
  • 발행 : 2011.10.30

초록

본 연구는 LH의 다가구임대주택 철거 신축사업에 대비하여 노후주택에 대한 해체공사비를 합리적 근거에 의하여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소형주택 해체공사 수행 현황과 작업 프로세스를 조사하고 공사비 견적전문가 면담을 통해 해체공사비 산정실태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공공건설공사의 '예정가격 산정기준'과 '건설폐기물 처리비 산정기준',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의 하나로 표준품셈에 기초한 해체공사 원가계산체계와 내역체계 및 관련 일위대가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상 2~3층 규모의 다가구임대주택에 대한 해체공사 예정가격을 산출하였다. 산출 결과, 1개 동당 해체공사비는 18,331천원, 바닥면적($m^2$) 기준 104천원으로 예측되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직접 철거비가 14,339천원/동, 폐기물 위탁처리비는 3,992천원/동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노후 다가구임대주택 철거 신축사업의 예산수립 단계에서 사업비 추정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연구 제안한 해체공사 원가계산체계 및 내역체계는 공공 건설공사의 발주업무에 유용하게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ing at estimating the demolition cost of deterioration housing by the rational method in order to provide for the demolition and new build project of the rental multi-family housing of LH. We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demolition construction and work process of small size housing, and analysed an actual condition of estimation for the demolition cost through an advice by the expert of construction cost estimate. Furthermore, the 'estimation standard for the predetermined amount', 'estimation standard for the disposal cost of construction wastes' and precedent studies in public construction work were considered. As one of results in this study, cost accounting system, breakdown system and construction cost for the demolition work based on the standard of estimate were proposed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demolition construction for the multi-family housing with 2 or 3 floors could be produced by them. Eventually, It is estimated that the demolition cost per a multi-family housing is about 18,331,000(won) and 104,000(won) per floorage($m^2$). To the detail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direct demolition cost needs about 14,339,000(won) per a multi-family housing and the consignment disposal cost of wastes needs 3,992,000(won) per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the fundamental data to estimate the project cost in the phase of budget establishment for demolition and new build project of the deteriorated rental multi-family housings, and also cost accounting system of demolition construction and breakdown system are expect to be used effectively at the ordering of public construction work.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10), 보금자리주택 업무처리지침.
  2. 기획재정부(2010), 예정가격 작성기준(예규, 2200.04-160-8).
  3. 대한주택공사(2008), 2008 견적기준 감독실무.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0), 건설공사 표준품셈.
  5. 김효진, 이철규(1999), 발파해체공사의 품 기준 설정 연구, 대한주택공사.
  6. 김효진, 박성식, 신재완(2000), 해체공사의 설계 및 견적기준 정립 연구, 대한주택공사 .
  7. 김효진, 박성식, 김종환(2005), 공동주택 철거잔재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해체공사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8. 한국건설자원협회(2008), 건설폐기물의 적정처리・재활용 촉진을 위한 업무처리 요령.
  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4), 건설폐기물 분리배출 및 발생원단위 산정 등에 관한 연구.
  10. 조태완(2004), "해체공사비 비교분석을 통한 발파해체 공법 전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5(4): 130-138.
  11. 김창학(2011), "해체폐기량 산정 및 통합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2(1): 133-140.
  12. 홍원화, 손병훈, 정응혁, 정종석(2007) "주거용 건축물 해체 전.후의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 분석을 통한 건설폐기물 발생원 단위 작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0): 169∼170.
  13. 유일현(2005), "건설공사의 표준품셈과 실적공사비 원가계산 방법의 비교연구" 충남대학교 회계논집, 6(1).
  14. 김찬규, 강윤식, 권석원(2006), "건설공사 원가산정의 표준품셈과 실적공사비 비교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82-85.
  15. 한승현, 곽수남, 김두연, 김병일, 최석진(2009), "가용정보를 활용한 기획 및 설계초기 단계의 도로공사비 예측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0(4): 8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