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l for Predicting Accidents at a Unsignail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 사고예측 모형 개발

  • 장일준 (경원대학교 도시계획학과 교통전공) ;
  • 김장욱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
  • 이형록 (한국교통연구원 녹색성장실천연구본부)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0.12.15
  • Accepted : 2011.01.2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in the city of Seoul have 3,753 traffic accidents(9%) of total 41,702 cases in 2008, not high in the occurrence rate of traffic accidents, but seem to have a quite high potential of accidents due to the unreasonable and insufficient operation of systems and facilities in the part of traffic foundations. In particular, the un-signalized intersections in a community road have an insufficient measure for safety as compared to the crossroads with signals, and there are few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and domestic researches on the model of affecting factors. Our country also has no concept of passing priority in operating a crossroad without signals, differently from foreign countries, so the researches and safety measure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a crossroad without signals in a community road are urgent.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road conditions, traffic conditions, and traffic environment conditions on unsignalized intersection, to identify the elements that would impose obstructions in safety, and develop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to evaluate the safety of an unsignalized intersection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and an accident. In addition, the focus was made on suggesting appropriate traffic safety policies by dealing with the danger elements in advance and on enhancing the safety on intersection in developing a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 an unsignalized intersection.

서울시의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는 2008년 총 41,702건의 교통사고 가운데 3,753건(9%)로 교통사고 발생율은 높지 않은 실정이나, 교통 기초부분의 불합리하고 미비한 제도 및 시설 운영으로 인하여 사고의 잠재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경우는 신호교차로에 비해 안전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며, 교통사고의 분석 및 영향요인 모형에 관한 국내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비신호교차로 운영의 통행우선권 개념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도로내 비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와 안전대책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도로내 비신호 교차로 교통사고예측모형 구축 과정 중 일반적으로 제한된 변수의 선정 및 모형의 구축에만 주로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 방법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자료수집 및 수집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료의 불확실한 상태를 인정하면서 자료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으며, 사전에 위험요소들을 처리하여 적절한 교통안전정책을 세우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생활도로내 비신호 교차로의 안전성을 높이려는데 목적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균(2008) 지능형 이론을 이용한 도시부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빈도예측모형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2. 건설교통부(200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대한토목학회.
  3. 고동석 외 2인(2000) 수도권 지역 4-지 비신호 교차로에 대한 이동류별 차량의 임계간격과 추종시간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8권 제6호, pp. 19-32.
  4. 대한교통학회(2004) 도로용량편람.
  5. 문영준 외 1인(2001) 비신호교차로 전방향 정지제어 도입 타당성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총서, 교통개발연구원.
  6. 박용진(1994) 신도시 4지 비신호 교차로의 운영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223-224.
  7. 박용진(1994) 비신호 교차로에서의 교통류 특성 및 접근지체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상충지역 통행속도 이용),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2권 제2호, pp. 47-56.
  8. 이수범(1996) 무신호 교차로의 안전에 의한 서비스수분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4권 제2호, pp. 259-260.
  9. 이슬기 외 2인(2003) 임계간격을 이용한 비신호 교차로의 시거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5호, pp. 97-100.
  10. 이용재 외 1인(2001) 비신호 교차로의 중차량 용량 보정계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9권 제2호, pp. 88-98.
  11. 홍정열(2002) 신호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예측모형 개발 및 위험수준결정 연구, 한양대학교.
  12. Design and Safety of Pedestrian Facilities, FHWA (1998).
  13. James A. Bonneson,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on rural Highway, TRR 1401.
  14. NCHRP REPORT 500 (2003) Guidance for Implementation of the AASHTO Strategic Highway Safety Plan, TRB.
  15. Abishai Polus (1985) Driver behaviour and accident records at unsignalized urban intersection,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