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Regression-based Bike Direct Demand Models

회귀분석기반의 자전거 직접수요추정 모형 구축

  • 이규진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김건욱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Received : 2011.01.12
  • Accepted : 2011.06.07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Bike system is one of the green transportation systems and spotlighted recently. In the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based transportation and urban planning, bike system will be the major part as linkage modes. In this paper, bike demand estimation model was firstly established in Korea, with considering of person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raveller,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city, weather conditions, and so on. The model reflects population density, the number of students excep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umber of vehicles, the length of bike roads, and monthly income. The adjusted $R^2$ was 0.738: the model is highly fitted. The results of this paper yield bike demand estimation in the urban planning area: further estimated results will be using to determine economic feasibility and size of bike facility. In other words,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that supporting justification and investment efficiency of bike plans, which are actively progressed recently.

녹색교통수단의 하나인 자전거는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TOD(Transit-Oriented Development)중심의 교통 도시 계획에서도 대중교통수단의 연계 수단으로써 핵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통행자의 개인 가구 특성, 도시의 사회 경제적 특성, 도로 교통 특성, 기상 특성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는 자전거 수요추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형에는 인구밀도, 초등학생을 제외한 학생수, 승용차 대수, 자전거도로연장, 월평균 소득의 변수가 반영되었으며, 모형의 수정 $R^2$는 0.738로 비교적 설명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특정 도시계획 지역의 자전거 수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자전거시설 투자계획에서의 시설규모 결정 및 타당성 평가에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혁(1994) 도시의 공간적, 사회적 요인에 따른 자전차 보유도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3권 제1호, pp. 85-95
  2. 김용진, 이경환, 안건혁(2008) 자전거 통근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 분석: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도시설계학회지, 한국도시설계학회, 제9권 제1호, 통권 제30호, pp. 19-34
  3. 노혁재(2007) 캐나다 오타와시의통행수요 예측과정과 결과, 월간교통, 통권 제116호
  4. 문대식(2007) 자전거 통행 활성화에 관한 연구-대전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5. 수도권 교통본부(2007) 2006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6. 손영태, 이진각(2008) 자전거도로 건설에 따른 편익항목 계량화 방안, 한국도로학회지, 한국도로학회, 제10권 1호, pp. 38-50.
  7. 오은미(1997) 자전거교통 수요관리의 효과분석: 청주시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8. 이경환, 김승남, 안건혁(2008) 중소 도시의 토지이용 및 도시형태와 자전거 통근통행의 상관관계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3권 제5호, pp. 49-61.
  9. 이규진(2010) 자전거 수단분담률 추정모형 구축 및 자전거 수요 요인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8권 제3호 pp. 145-155.
  10. 이재영, 이재춘, 김형철(1998) 자전거 관련연구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대한교통학회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 216-225
  11. 조중래, 김채만(1997) 출근통행 교통수단과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6권 제4호.
  12. 환경부(2007) 환경친화적 자전거문화 정착 연구.
  13. 황정훈, 김갑수(2005) 자전거 주행환경 개선방안의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8호, pp. 203-213
  14. Dill, Jennifer and Voros, Kim (2007) Factors Affecting Bicycling Demand: Initial Survey Findings from the Portland, Oregon, Region.
  15. Gary Barnes and Kevin Krizek (2005) Estimating Bicycling Deman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939, pp. 45-51.
  16. Jennifer Dill and Kim Voros (2007), Factors Affecting Bicycling Deman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031, pp. 9-17.
  17. John Parkin, Mark Wardman, andMatthew Page (2008) Estimation of the determinants of bicycle mode share for the journey to work using census data.
  18. Juan de Dios Ortuzar, Andres Iacobelli, and Claudio Valeze (1999) Estimating demand for a cycle-way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