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lf-growth Program on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s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허정철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8.19
  • Accepted : 2011.10.27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effect self-growth programs has on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self-growth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general and academic self-esteem. The self-growth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areas including selection of goals, information on job, problem-shooting and future plans out of the area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elf-growth programs had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o help college students respect themselves and others, set their own plans on their future jobs and be responsible for their future, more intensive and useful research on self-growth programs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성장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전체 자아존중감 영역가운데서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 등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대학 신입생들이 자신을 존중하며 타인을 존중할 줄 알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스스로 세우고,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더욱더 다양한 자기성장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 R. Rogers,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ton Mifflin, 1961.
  2. 이재창, "자기성장을 위한 인간관계 촉진", 교육연구논총,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제10집, 1995.
  3. 이형득, 상담의 이론적 접근, 중앙적성연구소, 1989.
  4. 김옥진,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및 진로성숙도 향상을 통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5. 김옥진, 이재창,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3호, pp.635-653, 2007.
  6. 정경미,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 학생생활연구, 제13권, pp.37-48, 2006.
  7. 안순자,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8. 강기정, 정은미,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제11호, pp.171-187, 2003.
  9. 이성현,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이석주,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김현숙,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학연구, 제21권, pp.17-38, 2008.
  12. 권성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3. 강희숙, 이진헌,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기각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2호, pp.43-58, 2009.
  14. 김수리,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5. 백미화, "부모-자녀 의사소통유형 및 부모의 양육태도변인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 성숙 변인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6. 윤경선, "부모-자녀 친밀성이 학교생활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유아교육전공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6권, 제2호, pp.71-92, 2009.
  17. 엄영순, 최연실,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부모지지, 학교생활적응의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97-224, 2009.
  18. 기영락, 임성택, "전문계 고등학생의 부모 관계와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1호, pp.63-80, 2010.
  19. 조규판, 주희진,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273-291, 2009.
  20. 한정아, "독서치료를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제30권, 제1호, pp.205-225, 2011.
  21. 조성심, 주석진,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5호, pp.61-81, 2011.
  22. Arkoff, Psychology and Personal Growh, Allyn and Bocon, Inc, 1975.
  23. 이형득, 집단상담의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1979.
  24. 박성희, 공감.공감적 이해, 원미사, 1994.
  25. 채경선, "기독교 부모의 자기성장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11권, 제3호, pp.53-76, 2006.
  26. 문선모, "개인성장을 위한 교육의 과제", 경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활 연구보, 제12집, 1986.
  27. A. H. Maslow, Motiva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 Harper & Row, 1970.
  28. J. D. MeHolland, Human potential seminars. Evanston : Kendall College Press, 1972.
  29. S. Coopersmith,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San Francisco : W. H. Freeman and co, 1967.
  30.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 Basic Books. Instrument reproduced with permission of Morris Rosenberg, 1979.
  31. N. Branden, The Power of self-esteem, 1992. 강승규 역, 나를 존중하는 삶, 학지사, 1995.
  32. M. McKay, P. Fanning, Self-esteem, Oakland, California : Martin's Paperbacks, 1998.
  33. G. Hackett, N. E. Betz, "A self-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pp.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34. N. Mazurek, A. Shoemaker, Career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Implications fo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ervice provid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89 763), 1997.
  35. 이현주,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인지양식 차이",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제38권, pp.235-257, 2000.
  36. 김민정, "불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7. 조명실,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학생생활연구, 제4권, pp.117-137, 1997.
  38. 조성연, 문미란,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4호, pp.731-748, 2006.
  39. 신종순, "고등학생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40. 조혜미, "비행여자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1. N. E, Betz, K. K. Voyten,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6, No.2, pp.179-189, 1997.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1004.x
  42.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27-136, 2000.

Cited by

  1.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28